160 likes | 798 Views
구약의 맥 5 : ( 사무엘 , 사울 ). 사무엘서 ( 통일왕국시대 ) 구조. 사무엘의 통치 삼상 1:1-7:17 1) 엘리의 쇠퇴와 사무엘의 등장 삼상 1:1-4:1a 2) 사무엘의 통치 : 실패→성공 삼상 4:1b-7:17 사울의 통치 삼상 8:1-15:35 1) 사무엘의 쇠퇴와 사울의 등장 삼상 8:1-12:25 2) 사울의 통치 : 성공→실패 삼상 13:1-15:35 다윗의 통치 삼상 16:1- 삼하 24:25
E N D
사무엘서(통일왕국시대) 구조 • 사무엘의 통치삼상 1:1-7:17 1) 엘리의 쇠퇴와 사무엘의 등장삼상 1:1-4:1a 2) 사무엘의 통치: 실패→성공삼상 4:1b-7:17 • 사울의 통치삼상 8:1-15:35 1) 사무엘의 쇠퇴와 사울의 등장삼상 8:1-12:25 2) 사울의 통치: 성공→실패삼상 13:1-15:35 • 다윗의 통치삼상 16:1-삼하 24:25 1) 사울의 쇠퇴와 다윗의 등장삼상 16:1-31:13 2) 다윗의 통치: 성공(회개)+실패(가족의 불행) 삼하 1:1-24:25
사무엘의 통치 (삼상 1-7장) • 엘리의 쇠퇴와 사무엘의 등장 (1:1-4:1a) • 사무엘의 출생(1장) • 엘리 제사장들의 아들들의 부정적인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사무엘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임함(2-3장) • 한나의 노래 (2:1-10) : 사무엘서 전체의 서론의 기능. 왕정에서 하나님이 진정한 통치자이시며, 다윗의 위를 높이신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호와께서 땅 끝까지 심판을 내리시고 자기 왕에게 힘을 주시며 자기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의 뿔을 높이시리로다”(2:10). • 사무엘의 통치 : 블레셋과법궤 (4:1b-7:17) • 블레셋(Philistines) 1) 이스라엘과 거의 같은 시기(주전 13세기 후반)에 가나안의 해안 지역에는 상륙한 “해양족”(Sea People) 2) 중심지: 아스돗, 아스겔론, 가사, 에그론, 갓 3) 블레셋은 해안 지역에서 내륙 쪽으로 진행하면서 이스라엘과 충돌 4) 블레셋은 철기문명, 이스라엘은 청동기문명 (삼상 13:19-23)
아벡전투(4장) : 주전 1,050년경 이스라엘과 블레셋 사이에 아벡(Aphek)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이스라엘이 참패함(1-2절) - 법궤를 전쟁터로 운반하여 다시 싸우나 또다시 패배하고 법궤를 빼앗김(3-10절). 왕정을 요구하는 배경이 된다. • 법궤의 승리(5-6장) : 아스돗(신상, 독종)- 가드(독종)– 에그론 – 벧세메스 – 기럇여야람 • 사사로서 사무엘(7장) : 미스바 회개 후 블레셋 격퇴 – 하나님의 승리
사울왕 시대 (삼상 8-31장) • 특징 : 사사시대(군사적인 구원자)와 왕정시대의 중간기 • 이스라엘의 왕 요구(8장) : 블레셋의 위협 가운데 장로들이 왕을 요구하고사무엘은 왕정의 폐단을 장로들에게 말하나, 결국 하나님께서는 왕정이 자신이 왕되는 것을 거절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왕을 허용하신다. 이렇게 세워진 왕이 사울이다. • 사울 : 제한된 왕권(9-12장) 1) 블레셋의 위협 앞에서 세워진 전제적 군주가아닌 군사적인 왕 2) 중앙 집권적인 체제(x), 세금 부과(x), 징병(x), 관료제도(x), 후궁(x). 3) 작은 지파인 베냐민 지파 출신(9:21). 4) 군사적 리더의 외모는 있었지만(10:23), 권위는 없음(10:26-27). 5) 암몬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통해군사적 지도자로서 인정받음(11장).
암몬과의 승리(11장)가 사울의 기름부음 사건(10장) 바로 뒤에 배열되었을까? – 하나님의 선택이 정당함을 보여준다. * 길보아산에서 블레셋과의 싸움에서 전사(31장) • 삼상 8-12장은 친왕정(9:-10:16; 11장)과 반왕정(8장; 10:17-27; 12장) 시각이 함께 나타난다. 구약성경은 왕정 자체보다는 그 왕이 하나님의 통치의 대리인으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통치했는가에 따라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평가한다.
사울왕 시대 (삼상 9-31장) • 왕권의 남용 (삼상 13-15장) 1)블레셋과의 전투를 통해 왕권 커짐(13-14장). “사울이 사는 날 동안에 블레셋 사람과 큰 싸움이 있었으므로 사울이 힘 센 사람이나 용감한 사람을 보면 그들을불러모았더라”(14:52). 2) 왕권이 비대해짐에 따라 사무엘에게 배척당함(13, 15장). (1) 왕권(군사적 지도자로 제한된 왕권)이 제사장권을 침해하는 사건: 사무엘이 싸움터에 늦게 오자 대신 제사를 집도(13:8-9, 13-14) (2) 전멸벌(Herem)을 어김(15장) : 아말렉 사람을 진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여 전리품 가운데 좋은 것을 취했다. - 위의 두 사건은 모두 왕권과 제사장권의 대립으로 이해된다. (3) 신앙의 타락 : 그의 아들의 이름(대상 8:33; 9:39 참조) - 첫째 아들은 ‘요나단’(야웨께서 주셨다)이고, 그 이후의 자녀 중 하나는 ‘에스바알’(바알은 존재한다)이다. 또한 실로에서 중앙 성소를 지키는 엘리가의 사제들을 죽이는 신앙적인 범죄를 저지른다(삼상 22장).
사울왕 시대 (삼상 9-31장) • 사울과 다윗의 관계 (삼상 16-31장) 1) 협조자로서의 다윗과 사울 (16:1-18:5) (1) 다윗은 기름부음을 받음으로 야웨께 인정받고(16:1-13), 골리앗을 죽임으로 백성들에게 인정받는다(17장). – 사울의 시기의 시작 (2) 다윗은 사울의 악령을 제거하는 음악치료사로(16:14-23), 사울의 대적을 죽인 장군으로(17:55-18:5) 궁에 들어간다. 2) 대적자로서의 다윗과 사울 (18:6-31:13) (1) 다윗을 죽이려는 사울과 다윗을 살리려는 요나단(18:6-20:42) : 사울은 수금을 타는 다윗에게 창을 던져 죽이려고 하고, 큰 딸 메랍을 주겠다고 약속하며 블레셋과 싸우라 하나 주지 않고, 블레셋 군인 백 명의 양피를 조건으로 미갈을 주겠다고 약속하여 전쟁 가운데 다윗이 죽기를 바라나 다윗은 양피 이백 개를 갖고 와서 결국 미갈과 다윗이 결혼한다. 반면 이러한 위기 가운데 요나단은 사울의 위협으로부터 다윗을 피신시킨다
(2) 다윗의 도피 (21-30장) : 블레셋의 가드지역(21장; 미치광이 짓) – 그일라(23:8) - 유다의 십 광야(23:24) – 엔게디(24:1) - 십 광야(26:2) – 블레셋의 가드의 왕 아기스에게 망명(27:2-5) – 시글락(27:6) • 다윗은 2번씩이나(엔게디 굴: 24장; 하길라 산: 26장) 사울의 목숨을 살려준 이유? i) 하나님께서 기름 부은 자를 죽여서는 안 된다는 신앙과 고결한 성품 ii) 왕이 암살되면 안 된다는 전통을 세워이 후에 왕이 될 다윗 자신의 위치를 곤고히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