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류태범 1 , 정인준 2 , 유희천 1 , 김광재 2 1 인간공학 설계기술 연구실 2 품질공학 연구실 포항공대 산업공학과

가상환경상의 인간공학적 설계지원 시스템을 위한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및 적용. 류태범 1 , 정인준 2 , 유희천 1 , 김광재 2 1 인간공학 설계기술 연구실 2 품질공학 연구실 포항공대 산업공학과. 목 차. 인간공학적 설계 기법 고찰 연구 목적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 기법 개발 인체모델군 자동 생성 시스템 개발. 인간공학적 설계 기법 추이 : 자동차 내장 설계. 설계지침서 및 인체 template. 실모형 (physical model). 가상환경상 설계

belle
Download Presentation

류태범 1 , 정인준 2 , 유희천 1 , 김광재 2 1 인간공학 설계기술 연구실 2 품질공학 연구실 포항공대 산업공학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가상환경상의 인간공학적 설계지원 시스템을 위한표본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및 적용 류태범1, 정인준2, 유희천1, 김광재2 1인간공학 설계기술 연구실 2품질공학 연구실 포항공대 산업공학과

  2. 목 차 • 인간공학적 설계 기법 고찰 • 연구 목적 •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 기법 개발 • 인체모델군 자동 생성 시스템 개발

  3. 인간공학적 설계 기법 추이: 자동차 내장 설계 설계지침서 및 인체 template 실모형 (physical model) 가상환경상 설계 (design in virtual environment) 예  SAE J883 (body size)  SAE J287 (reach)  SAE J1050 (visibility)  SAE J941(eye location)  SAE J826 H-point manikin  Prototype testing  JACKTM  SAFEWORKTM  RAMSISTM 특징 • 순차적 설계-평가 process • Trial-error를 통한 시작품 제작 • 비효율적인 설계 평가 및 수정 • 동시 병행적 설계-평가 process • 시작품 제작 비용 절감 • 효율적인 설계 평가 및 수정

  4. 가상 환경상의 설계를 위한 주요 기술 인체모델 생성기술 (human modelgeneration) 설계 평가/최적화 기술(design diagnosis & optimization) 자세/동작 예측 기술(posture/motion prediction) JACKTM RAMSISTM SAFEWORKTM

  5. 가상환경상 인간공학적 설계기술의 현 수준 인체모델 생성기술 설계 평가 기술 • 인간공학적 측면의 정량적 설계 평가 기능 미흡 • 설계 진단 및 개선해법 제공 기능 부재 • 인체 크기의 수작업 입력으로 인한 인체모델 생성의 비효율성 • 국부적(5%, 50%, 95%) 인체 모델 사용 설계 대상 집단의 다양성을 반영치 못함 정성적인 설계 평가 및 가시화 기능 설계 실무 적용시 유용성 한계

  6. Virtual Ergonomic Design Support System 개발 인체모델 표본집단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 설계 대상집단을 통계적으로 대표하는 표본 인체모델군 자동 생성 가상 환경 상 인간공학적 설계 진단 시스템 개발 • 정량적 설계 진단 • 종합적 진단 정보 제공 설계 Solution Developer개발 • 설계 개선 방안 제공 • 최적 설계 • 설계 민감도 분석

  7.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및 시스템화 • 설계 대상 집단의 인체크기 특성을 통계적으로 대표하는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 기법 개발 • 표본 인체모델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성해 주는 시스템 • 국가 • 수용범위 • 인체모델 수  설계대상집단의 인체크기다양성을 적확히 반영하는 설계 및 평가 지원

  8.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 설계대상집단 수용범위내의 신장과 체중 생성 algorithm • 기본적이며 중요 인체 변수 • 신장과 체중의 이변량 정규분포를 이용한 특정 수용범위(%)내의 신장과 체중값을 생성 체중 (Kg) 신장 (cm) • 신장과 체중 기반의 인체변수 추정

  9. 인체모델1(어깨높이, 허리높이, ... , 앉은키) 인체모델2(어깨높이, 허리높이, ... , 앉은키) 인체모델3(어깨높이, 허리높이, ... , 앉은키) ... 인체모델n(어깨높이, 허리높이, ... , 앉은키)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기법 개발 (cont’d) • 신장과 체중 기반의 인체변수 추정 계층적 다변량 회귀모형

  10. 인체변수 추정: 단층적 vs. 계층적 단층적 회귀모형 계층적 회귀모형

  11. 인체변수 계층적 다변량 회귀모형 (예) 머리마루-눈길이 = 67.25+0.06*앉은키 팔/손길이 = 100.69+0.66*대퇴돌기높이 어깨높이 = -101.31 + 0.86*신장 + 0.04*체중 윗팔길이 = 62.09+0.43*팔손길이 신장, 체중 허리높이=130.97+ 0.999*대퇴돌기높이 팔꿈치-손목길이 = -14.86+0.63*아래팔/손길이 아래팔/손길이 = 63.60+0.59*팔손길이 대퇴돌기높이 = -182.83 + 0.64*신장 - 0.03*체중 무릎높이 = 2.51+0.541*대퇴돌기높이 무릅중앙-바깥복사높이= -27.038+0.920*무릎높이 발길이 = 60.71+1.078*손길이

  12. 계층적 회귀모형 추정 정확성 평가 • 1988년 US Army data를 이용한 계층적 다변량 회귀모형과 단층적 회귀모형(Annis & McConville, 1996) 비교 (59개 인체변수)

  13. 회귀모형 추정 정확성 비교 • Adjusted R2증가 정도 • 표준오차 감소 정도

  14. Web 기반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 시스템 • 입력 정보의 간단성 • 표본 인체모델군 자동 생성 • VRML을 이용한 인체모델 가시화

  15. 결 론 • 설계 대상 집단을 통계적으로 대표하는 표본 인체모델군 생성 기법 개발 • 신장과 체중의 이변량 정규분포 기반 • 인체변수 추정을 위한 계층적 다변량 회귀모형 개발 (단층적 회귀모형 보다 평균 약 30% 정도 추정 성능 향상) • 표본 인체모델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성해 주는 Web 기반 시스템 개발 • 국가, 수용범위, 인체모델 수  설계대상집단의 인체크기다양성을 적확히 반영하는 인간공학적설계 및 평가 지원

  16. Q & A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