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likes | 733 Views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생명과학과 4 학년 2006310477 이 소희.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1. STS 교육운동의 시대적 배경. 2. STS 교육의 이론적 기초. 3. STS 교육이란 ?. 4. STS 학습 교재의 교육 내용 및 소재. 5. 구성주의와 STS 학습 교재. 6. STS 학습 교재의 접근 방식. 7. STS 학습 교재들의 수업 활동. 8. STS 접근의 의미와 STS 단원 개발. 9. 제 7 차 교육과정과 STS. 10. 문제기반학습.
E N D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생명과학과 4학년 2006310477 이 소희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1. STS 교육운동의 시대적 배경 2. STS 교육의 이론적 기초 3. STS 교육이란? 4. STS 학습 교재의 교육 내용 및 소재 5. 구성주의와 STS 학습 교재 6. STS 학습 교재의 접근 방식 7. STS 학습 교재들의 수업 활동 8. STS 접근의 의미와 STS 단원 개발 9. 제 7차 교육과정과 STS 10. 문제기반학습 11. STS 교재의 예 및 STS 접근의 예 목 발 표 차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 1. STS 교육운동의 시대적 배경
1. STS 교육운동의 시대적 배경 STS 교육운동의 시대적 배경 (2) 1980년대 인간 중심 교육과정의 대두 (3) 현대사회의 특징 (4)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이해 (1) 1960년대 미국, 학문중심교육과정 에 대한 반성 즉, 기존 과학교육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사회와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조류로서 새로운 과학교육의 목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 2. STS 교육의 이론적 기초
2. STS 교육의 이론적 기초 과학교육의 경향 1) 인간 중심적 접근 2) 환경과 생태학적 문제 더욱 강조 3) 과학과 기술의 사회적인 관점이 과학 교육과정에 통합 4) 부진아, 장애아, 영재아 등을 제대로교육하기 위해 융통성 있는 교수 기술과 개별화 학습을 강조 5)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 탐구 과정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한 협동 학습이 사용
2. STS 교육의 이론적 기초 (2) 과학 - 기술 - 사회의 상호관련성 (3) 여러 과학교육자들의 정의 - 로이와 왁스 “과학의 사회, 정치, 경제 및 윤리적 측면에 관한 학습으로의 통합적 접근” “1%의 엘리트 학생을 과학자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99%의 대다수 학생들을 과학과 기 술적 소양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 - 로이:모든 학생들에게 적절한 과학을 위한 노력 - 왁스:기술 사회에 있어서 책임 있는 시민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한 교육개혁 - 호프스테인 “STS 교육이란 과학의 기술적, 사회적 환경 하에서 과학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자연 세계에 대한 그들의 개인적인 이해를 인간이 만든 기술세계와 학생이 매 일 경험하는 사회를 통합하려는 경향을 지닌다.” - NSTA (미국 전국 과학교사 협회) :인간의 경험적 맥락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 사회와 과학, 기술이 연관되는 틀 속에서 과학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 3. STS 교육이란?
3. STS 교육이란? (3) 과학 교육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포함시켜야 할 이유는? (2) 학교에서의 과학이 처할 수 있는 STS와 관련된 상황 (1) STS교육의 정의 - STS교육은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 관련성을 다룬다. - STS교육은 인간의 경험적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 STS교육은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추구한다. - STS교육은 각종 의사결정과 문제해결력을 중시한다. - STS교육은 만인을 위한 과학을 추구한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을 불러 일으켜서 과학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 - 개인적 상황 • 사회적/ 문화적 상황 • (윤리적 문제) • - 역사적 상황 • - 환경 상황 • - 산업/ 상업/ 경제적 상황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4. STS 학습 교재의 교육 내용 및 소재
4. STS 학습 교재의 교육 내용 및 소재 - 지역사회와의 관련성 - 과학의 응용성 - 사회적 문제 - 의사결정 능력 함양을 위한 연습 -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 -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Yager STS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Cheek 프린트물 참고
4. STS 학습 교재의 교육 내용 및 소재 STS 교육의 소재 선정 기준 Hickman 외, 1987 - 학생들이 장차 또는 다른 수업 시간에 배우게 될 소재가 아니라 지금 바로 학생들의 삶에 직접 응용할 수 있는 소재인가? - 학생들의 인지발달 및 사회적 성숙에 합당한 소재인가? - 오늘날 세계에서 중요시 되는 소재이며, 학생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을 것인가? - 과학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도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가? -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열중할만한 소재인가?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5. 구성주의와 STS 학습 교재
5. 구성주의와 STS 학습 교재 (1) 구성주의 학습이란? • 학습자가 이미 형성하여 갖고 있는 지식 구조로 학습 내용을 연결시키는 • 능동적인 활동 • - 개인의 선행 개념이 환경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설명 (2) Yager의 구성주의 학습 모형 효과적인 STS수업을 위해서 구성주의 학습 모형 및 구성주의 교수-학습 전략을 이용할 것을 강조, 구성주의 학습 모형이 적용된 과학 수업의 특징을 제시 → STS에서 강조한 교수 전략과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음
5. 구성주의와 STS 학습 교재 ※ Yager & Tamir의 주장에 따른 수업단계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6. STS 학습 교재의 접근 방식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7. STS 학습 교재들의 수업 활동
7. STS 학습 교재들의 수업 활동 (1) STS 수업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의 비교
7. STS 학습 교재들의 수업 활동 STS 교육에 활용되는 수업활동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STS 프로그램 및 학습 교재들이 지니는 특징 1) 지역적 관심사나 지역에 미치는 영향들을 문제화한다. 2)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다. 3)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들을 구하는 과정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학습 기간이나 장소를 학기나 교실에 국한하지 않는다. 5) 과학과 기술이 학생 개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둔다. 6) 과학지식을 단지 학생들이 시험보기 위해 습득해야할 개념 이상의 것이라고 본다. 7) 학생이 문제해결을 할 때 자신의 방식대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정 기술을 강조한다. 8)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규정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도록 함으로써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9) 과학과 기술이 미래에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지 판단한다. 10) 학습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율권을 부여한다. 정리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8. STS 접근의 의미와 STS 단원 개발
8. STS 접근의 의미와 STS 단원 개발 • STS 수업 단원을 위한 소재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 중요 • - 활동, 목표, 평가 등에서도 학생들이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하고 학습의 주체가 교사가 아니라 자기 자신들임을 인식하게 함 • ⇨ STS 접근과 구성주의의 공통점 • STS 접근은 기술과 사회 내용들을 수업의 조직자(organizer)로 적극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의미 • - STS 내용을 수업의 조직자로 활용한다는 것은 기술과 사회 주제가 이끄는 방향대로 수업의 내용, 순서, 평가의 범위와 절차를 결정한다는 것 STS 접근 STS접근은 교사가 교과서를 바탕으로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소재를 결정하고 평가하던 방식에서 모든 단계에서 학생들의 관심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주장이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허용하는 방식으로의 변화를 의미
8. STS 접근의 의미와 STS 단원 개발 일반수업 단원 개발 절차 VS STS 수업단원 개발 절차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9. 제 7차 교육과정과 STS
9. 제 7차 교육과정과 STS -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과학과목에도 과학-기술-사회 관련 내용들이 많이 포함 되어 있음 - 과학 개념을 중심으로 하되 그 개념과 관련된 기술과 사회적 영향을 적극 도입 - 고1 과학 : 「생명」 물질대사 : 바이오스피어Ⅱ 자극과 반응 : 근시와 원시의 교정원리 생식 : 여러 가지 피임법과 인공수정 - 생물Ⅰ : 「영양소와 소화」 : 음주와 건강 「순환」 : 순환계의 질병 「호흡」 : 흡연과 건강 「배설」 : 신장병과 인공 신장 「자극과 반응」 : 호르몬 관련 질병 「생식과 발생」 : 인공 수정과 피임 「사람의 유전」 : 유전병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 모든 내용이 STS관련 내용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10. 문제기반학습
10. 문제기반학습 (1) 문제기반학습의 특징 • 학생들은 여러 가능한 해결책을 갖고 있는 실제적이며 비구조화된 문제에 몰입함으로써 문제기반학습을 시작, 학생들은 그 문제에서 그 영역의 전문가로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정 • 교사들은 학생들이 그 문제를 조사할 때 피드백과 지지를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 의 촉진자가 됨 • - 학생들은 협동적인 그룹별로 연구하면서, 그들이 그 문제를 탐색할 때 내용의 이해와 다 양한 탐구 기능을 발달시키는 과정에 참여
10. 문제기반학습 (2) 문제기반학습의 수업과정
STS 학습과 문제기반학습 11. STS 교재의 예 및 STS 접근의 예
11. STS 교재의 예 및 STS 접근의 예 (1) STS 교재의예 영국 - Science in Society - SISCON (Science in Social Context) - SATIS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 Salters 미국 - Modular-Science/Technology/Society - Science Syllabus for Middle and Junior High Schools: Block J: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ChemCom (Chmistry in the Community) 캐나다 - Science Plus Technology and Society 네덜란드 - Physics on Society
11. STS 교재의 예 및 STS 접근의 예 (2) STS 접근의 예 고등학교 과학 (‘생식’ 부분)
◀ 생물1 ‘영양소와 소화’ ▼ 생물1 ‘호흡’
▲ 생물1 ‘자극과 반응’ ▲ 생물1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