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1 likes | 3.79k Views
Fe 3 C 평형 상태도. ◈ 상태도 관련 용어 정리 ◈. 1. 계 (System) 한 물질 또는 몇 개의 물질의 집합이 외부와 관계없이 독립해서 한 상태를 이루는 것 예 ) 1 성분계 (1 원계 ), 2 성분계 (2 원계 ) 2. 성분 ( Component) 1 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예 ) Cu-Ni 계 : Cu 와 Ni 이 성분 3. 농도 (Concentration), 조성 (Composition) 1 계에서 성분 상호간의 관계분량 즉 상호간의 비율
E N D
◈ 상태도 관련 용어 정리 ◈ 1. 계(System) 한 물질 또는 몇 개의 물질의 집합이 외부와 관계없이 독립해서 한 상태를 이루는 것 예) 1성분계(1원계), 2성분계(2원계) 2. 성분(Component) 1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예) Cu-Ni계 : Cu와 Ni이 성분 3. 농도(Concentration), 조성(Composition) 1계에서 성분 상호간의 관계분량 즉 상호간의 비율 -중량농도(wt%) : 중량 비 -원자농도(at%) : 원자수의 비 4. 상(Phase) ①1계에서 물리화학적으로 균일한 부분 예)물+기름 : 2성분계 2상, 물+에틸알콜 : 2성분계 1상 ②순 금속, 고용체(Solid solution),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 -용체(Solution) : 1물질 중에 타 물질이 용해되어 균질한 물질을 만들고 있는 것 액체인 경우는 solution(liquid solution), 고체인 경우는 solid solution이라 함 -금속간화합물 : 두 가지 이상의 금속원소가 간단한 정수비로 결합된 화합물 보통의 합금인 고용체와는 달리, 결정구조나 물리화학적 성질이 그 성분원소와 명확히 다름, 또한 일정한 녹는점을 가진 것
5. 상변태(Phase Transformation) 한 결정 구조에서 다른 결정 구조로 바뀌는 것 보통 1개의 상은 처음부터 화합물인 경우와 용체인 경우로 나뉨 6. 변태점 상의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 예)순철의 변태 A3변태 A4변태 α - Fe ------> γ - Fe ------> δ - Fe (BCC) 912℃ (FCC) 1394℃ (BCC) 7. 평형 (Equilibrium) 1계에서 압력, 온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 계의 상태가 시간이 경과해도 변화하지 않는 안정한 상태 -상태도 : 1계에 있어서 임의의 농도, 온도, 압력에서 평형상태에 있는 각 상의 종류와 상호량을 도시한 것 8. 상률(Phase rule) 계의 상태를 변화 시키지 않고 그 값을 독립적으로 자유로이 변화 시킬 수 있는 자유도를 규정한 법칙 -자유도의 변수 : 압력, 온도, 성분의 종류와 그 조성
◈평형 상태도 ◈ 1. 평형상태도 (equilibrium phase diagram) 온도, 압력, 성분농도가 변화하는데 따라서 합금의 상이 어떠한 상태로 되는 가를 나타내는 그림. 즉, 평형적으로 존재하는 합금의 상의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 평형 상태도이다. 2. 고용체의 평형상태도 ①액상선(Liquidus): 곡선 A'C2D2B'이 액상선이며 이 선에서 초정(初晶)이 검출되는 변태개시 온도곡선이다. ②고상선(Solidus): 곡선 A'C3D3B'이 고상선이며 이 선에서 액체에서 고체로의 변태가 완료된다.
◈Fe-Fe3C 평형상태도 ◈ • 6.67%C까지의 탄소를 가지는 Fe-C 합금을 매 우 서냉 시킬 때 온도에 따라서 존재하는 상영역을 나타낸 그림. • 2. 종류 • ①Fe-Fe3C계 • :Cementite, 시멘타이트 (실선) • ②Fe-C계 • :Graphite, 흑연(점선) • 시멘타이트로 부르는 Fe3C는 금속간화합물로평형상이 아닌 준평형상이기 때문에 이 상태도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형 상태도가 아니며, 어떤 조건하에서 시멘타이트는 더욱 안정한 상인 철과 흑연으로 분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Fe- Fe3C계 상태도는 준 안정 상태도이다. 그러나 Fe3C는 한번 형성되기만 하며 실질적으로 매우 안정하게 존재함으로 평형상으로 간주된다.
5. Fe-C계 상태도에서각 구역의 조직과 결정구조 <각 구역의 조직 성분> <조직과 결정구조>
① α 페라이트(α-Ferrite) -α철에 탄소가 고용되어 있는 고용체, α 페라이트 또는 단순히 페라이트라고 함 - B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723℃에서 0.02% (페라이트에 고용할 수 있는 탄소량은 매우 적음)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감소(상온 0℃에서 0.008%정도) 탄소원자는 철 원자에 비해서 비교적 원자크기가 작으므로 철의 결정격자내의 침입형 자리에 위치 ②오스테나이트(Austenite) - γ철에 탄소가 고용되어 있는 고용체 - F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1148℃에서 2.08% α 페라이트보다 매우 큼.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감소(723℃에서 0.8%) α 페라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는 철의 결정격자내의침입형 자리에 위치
③ δ 페라이트(δ-Ferrite) -δ 철에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고용체 - BCC 결정구조 - 탄소고용도 최대 탄소고용도는 1495℃에서 0.09% ④ 시멘타이트(Cementite) - Fe-C의 금속간화합물인 철탄화물(Fe3C) - 6.67%의 탄소 / 93.3% 철(Fe) - 사방정결정구조 (단위격자 당 12개의 Fe원자와 4개의 C원자를 가짐) - 매우 경하고 취약한 성질
γ 오스테나이트 (0.8%C) 723 ℃ α 페라이트 + 시멘타이트 (0.02%C) (6.67%C) 6. 불변반응 ①공석반응(Eutectoid Reaction) - 어떤 일정한 온도에서 한 개의 고용체로 부터 동시에 다른 두 개의 고상이 석출되는 현상 - 공석반응 : γ -> α + β - Fe-Fe3C 상태도에서의 공석반응 0.8% C의 조성을 갖는 γ오스테나이트가 723 ℃의 일정한 온도에서 0.02% C의 조성을 갖는 α 페라이트와 6.67% C의 시멘타이트( Fe3C)로 분해되는 반응 - 공석강 : 0.8% C의 조성을 갖는 강 - 공석조직 α (페라이트) + Fe3C(시멘타이트) => Pearlite (펄라이트)
1148 ℃ 액상 (4.3%C) γ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2.08%C) (6.67%C) ② 공정반응(Eutectic Reaction) - 용융합금이 냉각 할 때 일정한 온도(공정점)에서 두 고상 이 동시에 정출되는 현상 - 공정반응 : L -> α + β - Fe-Fe3C 상태도에서의 공정반응 4.3%C의 조성을 갖는 액상이 1148℃의 일정한 온도에서 2.08%C의 조성을 갖는 γ 오스테나이트와 6.67%C의 시멘 타이트로 변화하는 반응 - 공정점: 공정반응이 일어나는 조성과 온도 공정조직 : 층상구조
1148 ℃ 액 상 + δ 페라이트 (0.53%C) (0.09%C) γ 오스테나이트 (0.17%C) ③포정반응(Peritectic Reaction) - 하나의 고상(α)과 하나의 액상(L)이 반응하여 새로운 고상 이 (β ) 정출되는 항온변태 반응 - Fe-Fe3C 상태도에서의 포정반응 0.53%C의 조성을 갖는 액상과 0.09%C의 조성을 갖는 δ 페라이트가 1495℃의 일정한 온도에서 0.17%C의 조 성을 갖는 γ 오스테나이트로 변화하는 반응 - 포정조직: α상 주위에 β가 둘러싸는 듯한 조직
<공석강(共析鋼, Eurectoid Steel)> -공석반응에 의해 형성 0.8%C를 함유하는 조성의 탄소강(S점)이 723℃이하로 냉각될 때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분 해되는 반응 -반응이 일어나는 온도:A1선 (723℃) -공석변태, 펄라이트(pearlite)변태, A1변태 -아공석강(亞共析鋼, Hypoeutectoid Steel) : 0.8%C 이하 순철이 γ 철로 변태하는 온도는 910℃(Ac3점)이지만 아공 석강이 γ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변태하는 온도는 GS선 이상이므로 이 GS선을 A3선이라고 한다. -과공석강(過共析鋼, Hypereutectoid Steel) : 0.8%C 이상 과공석강에서는 SE선 이상으로 가열될 때 단상의 오스테나이트 로 변태하므로 이 SE선을 Acm선이라고 부른다. <Fe-Fe3C계 평형상태도와 변태조직도>
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e 공석온도 직상, 오스테나이트 가열(750 ℃) 서냉 f α 페라이트+시멘타이트(Fe3C)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교대로 반복되어지는 층상조직(lamellar structure)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형태가 진주(pearl)와 비슷하기 때문에 펄라이트(Pearlite)라고 부른다. 1. 탄소강의 서냉시 조직변화 ①공석강
아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b 약 775℃,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페라이트 핵생성 서냉 c 오스테나이트 속으로 초석페라이트 계속 성장 페라이트가 형성된 지역의 과잉탄소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계면으로부터 오스테나이트 쪽으로 밀려나므로, 남아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점점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A1변태온도 직상인 c점에 도달되면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0.4%에서0.8%로 증가하게 된다. 가열(900 ℃) 서냉 A1 변태온도 (723℃ )직하, 오스테나이트 ---->펄라이트 (공석반응) d 펄라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페라이트는 초석 페라이트와 구별하기 위해서 공석 페라이트(eutectoid ferrite)라고 한다. ②아공석강
과공석탄소강 (0.8%C) 오스테나이트 서냉 h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초석시멘타이트 핵생성 서냉 가열(950 ℃) j 초석시멘타이트 계속 성장-오스테나이트 내의 탄소 고갈 이 냉각과정이 평형냉각이라고 가정할 때에 j점의 온도에서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의 탄소량은 1.2%에서 0.8%로 감소하게 될 것이다. k A1 변태온도 (723℃ )직하, 오스테나이트 ----->펄라이트 (공석반응) 펄라이트를 구성하고 있는 시멘타이트는 초석 시멘타이트와 구별하기 위해서 공석 시멘타이트 (eutectoid cementite)라고 부른다. ③ 과공석강
2. 강의 열처리에 중요한 임계온도 • A1 • 페라이트-시멘타이트 영역과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 또는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 영역간의 경계 • *강의 가열시 변태온도* • 723 – 10.7Mn – 16.9Ni + 29Si + 16.9Cr • + 6.38W + 290As A3 ②A3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와 오스테나 이트 영역간의 경계 *강의 가열시 변태온도* 910 - 203√C – 15.2Ni + 44.7Si + 104V + 31.5Mo + 13.1W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