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0 likes | 2.02k Views
지하철 정거장 건축마감 하자원인 및 개선사례. 목 차. 1. 정거장 외벽 배수로 누수로 인한 건축 마감재 침윤발생. 1.1. 침윤발생 분석. 1.1.1. 하자사례. 1.1.2. 원인분석. 1.2. 외벽 방수턱 및 배수로 설치방안. 1.2.1. 방수턱 시공현황 및 개선안. 1.2.2. 배수로 시공현황 및 개선안. 1.3 선홈통 시공현황 및 개선안. 2. 정거장내 배수계획 수립. 2.1. 756 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2.2. 755 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E N D
지하철 정거장 건축마감 하자원인 및 개선사례
목 차 1. 정거장 외벽 배수로 누수로 인한 건축 마감재 침윤발생. 1.1. 침윤발생 분석 1.1.1. 하자사례 1.1.2. 원인분석 1.2. 외벽 방수턱 및 배수로 설치방안 1.2.1. 방수턱 시공현황 및 개선안 1.2.2. 배수로 시공현황 및 개선안 1.3 선홈통 시공현황 및 개선안 2. 정거장내 배수계획 수립 2.1. 756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2.2. 755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3. 유지관리를 고려한 벽체 마감재 검토 CHART 8 3.1. 벽체 마감재 현황 3.2. 대합실 / 승강장 외벽 마감재 개선안 CHART 9 3.3. 기능실 외벽 마감재 개선안 -1 3.4. 기능실 내.외벽 마감재 개선안 -2
1.1. 침윤발생 분석 1.1.1. 하자사례 9호선 동작역 침 윤 하 자 9호선 동작역 침 윤 하 자 9호선 동작역 침 윤 하 자 9호선 당산역 침 윤 하 자
1 2 근본원인 3 4 1.1.2. 원인분석 외벽 방수턱 누수 선홈통 이음부 누수 누수 하자 정거장 배수계획 미흡 하자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벽체 마감
1.2. 외벽 방수턱 및 배수로 설치방안 1.2.1. 방수턱 시공현황 및 개선안 ❶방수턱 시공순서 방수턱 철근앵커 매립설치 (후 시공) 수평철근 배근 및 형틀설치 방수턱 내부 시멘트 액체방수 콘크리트 현장타설
1.2.1. 방수턱 시공현황 및 개선안 ❷현황 문제점 시공현황 문 제 점 • 방수턱이 SLAB 골조와 분리시공으로 • 인하여시공 이음부위 발생이 되고 • - 시공 이음부 균열발생 부위로 누수가 되어 • 정거장내 마감재에 침윤하자 발생. (후 시공)
1.2.1. 방수턱 시공현황 및 개선안 ❸방수턱 시공 향후 개선방안 개 선 1 [안] 개 선 2 [안] 개 요 도 개 요 도 SLAB 골조와 방수턱 동시 타설 공법으로시공이음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체의 일체화로 방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 SLAB 골조와 방수턱 분리타설 공법이지만 SLAB 골조공사 시 차수판 및 철근을 매입 시공함으로써 시공이음부위의 누수를 보완하는 방안. 작업의 정밀도를 요하며, 시공품질 관리가 어려움. 후속마감과 불일치 시 부분적인 재시공의경우가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임. 동시타설 공법보다 작업의 정밀도에 유리하 며, 시공이음 부위의 누수하자에 대응할 수 있음.
1.2.2. 배수로 시공현황 및 개선안 ❶시공현황 ❷ 시멘트 액체방수 현장시공 순서 개선 내부 시멘트 액체방수 외벽 시멘트 액체방수 외벽 방수를 선행하여 작업공간을 확보, 배수로 내부 방수의 정밀도를 높임.
1.2.2. 배수로 시공현황 및 개선안 ❸ 내부몰탈 배수구배 강화 및 우레탄 도막방수 부분 보완 개선 중양부위 에서 5%이상구배를 줌 우레탄방수 보강 우레탄방수 보강 ▣ 외벽 배수로 방수공법 향후 개선방안 현재 : 시멘트 액체방수 → 전체 우레탄 도막방수 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함.
1.3 선홈통 시공현황 및 개선안 향후 개선방안 755 정거장 시공현황 756 정거장 시공현황 방수턱 방수턱 방수턱 우레탄폼 사춤 ● 중간 슬래브 시공 시에 Φ125mm PIPE를 매입 시공하고, ● 내부에 Φ100mm PIPE를 후시공 한후 유격부위는 우레탄 폼 및실란트 처리 함. ● 중간 슬래브 시공 시에Φ100mm PIPE를 매입 시공하고, ● 내부에 연결 커플러 및 Φ100mm PIPE를 후시공함. ● 중간 슬래브 시공 시에 Φ100mm PIPE 및 연결 커플러까지 같이 매입 시공됨으로 ● 후속시공이 간편하고 연결부 하자가 가장 작은 방안.
2. 정거장내 배수계획 수립 2.1. 756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①756 정거장 현황도 배수판 설치부위 승 강 장 상 부 면 변전실 무근콘크리트 배수판 설치부위 통수단면
2.1. 756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① 756 정거장 배수 계통도 승강장 대합실 외부출입구 배수판을 통하여 승강장 수직배수관 으로 유도. (승강장 방향으로 구배몰탈 추가시공) 배수로 수직관을 통하여 선로측 집수정으로 배수. 외부출입구 주변 배수를트렌치를 통하여 배수판 으로 유도. ③ 대합실 배수판 부위 개선안 ② 외부출입구 하부 트렌치 부위 개선안 토목에서 E/S PIT 로 PIPE 매설 하였으나, (기계하자 우려 폐쇄함) 코어 천공후배수파이프 추가 설치하여 배수판으로 유도. ※골조공사시 배수파이프를 배수판으로매입시공 되어야 함. (토목골조공사 시 반영 요함.) THK50MM 구배몰탈 추가 시공함. ※골조공사시콘크리트 상단면을 배수방향으로 경사시공 되어야 함. (토목골조공사 시 반영 요함.)
2.1. 756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④ 외부출입구 및 E/S PIT 외벽부위 개선안 (755/756 공통사항) 당초 현장시공 E/S PIT 상단부위에 방수턱 추가 설치하여 대합실 외벽배수로 및 배수판에 연결함. 외벽 배수로가 E/S PIT로 배수계획
2.1. 756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⑤ 756 변전실 개선안 (추가 시공분) 배수파이프 추가 설치 부위 배수판 추가설치 H:1m 무근콘크리트 배수판 추가설치 방수턱 하단부 콩자갈 채움 방수턱 설치 완료 지면과 맞닿는 부위 우레탄 방수 추가보강 하부 배수판 추가보완
2.2. 755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① 755 정거장 현황도 배수판 설치부위 D100 코아천공 및 수직배수관 추가설치. 승 강 장 상 부 면
2.2. 755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② 외부 출입구 #1,2 주변 배수 계통도 및 개선안 외부출입구 대합실/풍도층 승 강 장 정거장 환기덕트 #1,3 경사배관을 통해 풍도층 배수로에 연결 풍도층 배수로를 통하여, 승강장 선로측 집수정으로 배수 외부출입구 #1,2 및 E/V 주변의 물을 트렌치를 통하여, 배수판 으로 1차 유도 외부 E/V 외부출입구 #1 외부출입구 #2 토목에서 E/S PIT로 PIPE 매설하였으나 , (기계하자 우려 폐쇄함) 배수판500*500*70T W:260 트렌치 환기구#1 환기구#3 코어 천공후배수파이프 추가 설치하여 풍도층으로 유도. ※골조공사시 배수파이프를 풍도층으로매입시공 되어야 함. (토목골조공사 시 반영 요함.)
2.2. 755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⑥ 외부출입구 #3,4 출입구 주변 배수 계통도 및 개선안 풍 도 층 승 강 장 E/S PIT E/S,E/V 배수로 물을 풍도층 외벽 배수로에유도 외벽배수로 수직 선홈통를 통하여 승강장 선로측 집수정 으로 배수. 풍도층 바닥에 E/S, E/V 테두리에 방수턱 및 배수로 설치 E/S 대합실 E/V 조적벽체 추가시공 방수턱 방수턱 풍도층 ※E/V 관련법상 PIT 벽체는 옹벽으로 되어야 함. (토목 골조공사시 반영 요함.) 승강장 구배몰탈
2.2. 755정거장 배수계획 개선안 ③ 755 풍도층 (지하 중2층) 개선안 우레탄도막방수 (파이프주위) 구배몰탈 5%이상 풍도층 설치 안 승강장 풍도층 - 풍도층과 면하는 대합실 외부 출입구 및 외벽 배수는 풍도층 내의 배수와 통합하여, 승강장 집수정으로 배수 함.
3.1. 벽체 마감재 현황 서울지하철 1호선 ~8호선 구간의 상당수 역사 외벽 건축마감의 공법이 습식공법으로 시공 되어 있어 ,외벽부위 누수 및 결로에 의한 하자발생 시 유지보수가 어려운 실정임. 최근 개통된 9호선 및 개선공사가 시행중인 정거장의 대합실 / 승강장 외벽 마감재의 경우 건식공법으로시공 되었으나, 특히 기능실 내부벽체의 경우도 여전히 블럭벽체의 습식공법으로 시공 되어지고 있어 지하철의 누수 / 결로 / 마감처리 / 유지관리 등 하자보수에 불리한 조건임. 3. 유지관리를 고려한 벽체 마감재 검토 ① 최근 동향 (대합실 / 승강장 외벽 마감기준)
3.2. 대합실 및 승강장 외벽 마감재 개선안 현장 시공 (TRUSS 건식석재) 실시 설계 (보강블럭 + TRUSS 건식석재) 향후 개선방안 (TRUSS 건식 금속판넬) 구 분 금속판넬 개요도 150 150 -단일공정으로 공기절감. -완성 후 해체/조립이 가능하여 하자보수/유지관리에 좋음. -습식에 비해 진동에 유리함. -건물의 경량화 (습식대비) -BUILT-IN 시공이 용이함. • 외벽면 방습효과 높음. • 압축강도,내구성,내마모성 좋음. • 천연자재로 친환경적임. -블럭삭제로 공정의 단순화. -공기 / 공사비 절감. -BUILT-IN 시공가능. 장 점 • 블럭벽체+건식석재 TRUSS공법 • 으로 공정이 복잡. • -공사비 증가. • -유지보수 등 해체 시 재사용 안됨. • -BUILT-IN 시공이 어려움. -석재 건식공법 이지만 하자보수 및 유지관리 시 철거 후 재사용 안됨. -시설물 변경 시 매입배관 안됨. • 용접/도장/조인트 처리 등의 품질 • 관리요함.(녹 발생) 단 점 -대합실/승강장 외벽의 하자보수,BUILT-IN,시설물변경,추가공사 등을 고려 시 건식 금속판넬 공법의 마감재를 사용 하는 것이유지관리에 유리하며, 마감재로 현재 범랑판넬, 세라믹판넬, 아연도강판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있으 나향후 자재개발에 따른다양한 마감재 적용이 필요하다 판단됨. 총 평
3.3. 기능실 외벽 마감재 개선안 -1 공조실 / 물탱크실 / 환기실 / 오토필터실 등의 기계실 (인력 미 상주실 ) 실시 설계 (보강블럭 치장 or 미장) 현장 시공 (보강블럭 삭제) 구 분 개요도 -외벽면 및 배수로 현황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여 관리에 용이함. -하자발생 시 보수가 용이. -공사비 절감. -결로 및 방습에 효과적임. 장 점 • 외측벽면의 하자발생시 보수작업 • 어려움.(벽체 해체 / 신설) • -벽면 점검구 설치요함. • -전기 / 설비 배관BOX 매입부위 취약. -배수로가 개방되어 수시로 관리 요함. -골조면 노출로 마감이 미려하지 못함. 단 점 -하자발생 및 유지관리에 용이하며, 장비 기계실의 경우 실 기능에 무리가 없으므로 노출로 마감하는 것이 타당하다 판단됨. 총 평
3.4. 기능실 내.외벽 마감재 개선안 -2 전기실 / 통합기계실 / 통신실 / 운영원관리실 / 대기실 외 (인력상주 등의 기능실) 현장시공(보강블럭치장 or 미장) 구 분 향후개선방안 (건식벽체 –압출성형시멘트 판넬) 내벽 외벽 개요도 건식 금속판넬 마감 -단일공정으로 공정의 단순화로 공기단축/품질관리 용이함. • 결로 및 방습에 유리함. -유지관리 및 보수 작업 시 해체/조립이 용이함. -기능실 벽면 매입시설물 설치 및 마감이 용이함. 장 점 -습식공법에 비해 진동에 유리함. -마감표현이 자유로움 (도장 등) • 습식공법으로 공정이 복잡함. • 블럭공사 중 배수로에 몰탈 잔재물 • 적체등의 관리요함. • -하자및 유지관리에 어려움. • -전기/설비 BOX 매입부위 취약 -습식공법에 비해 외벽공사비 다소 증가함. 10,000 원/M2 증액 보강블럭+미장+도장 : 55,000 원/M2 truss 압출성형시멘트판넬 T35 : 65,000 원/M2 ※ 내벽은 양면 건식벽체 마감으로 공사비 절감효과 기대됨. 단 점 -기능실 외벽 및 내벽 하자보수 등을 고려 시 건식공법의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지관리에 용이하며, 향후 근래 개발된 (압출성형시멘트판넬 등)자재 등을 도입하여 습식공법에서 건식공법으로 변경하는 것이 품질관리 및 유지관리에 바람직하다 판단됨. 총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