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학술영역에서의 오픈액세스와 아카이브 구축방안

학술영역에서의 오픈액세스와 아카이브 구축방안. 2004. 11. 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황혜경 hkhwang@kisti.re.kr 이 저작물은 ‘ 정보공유라이선스: 영리불허.개작허용 ’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차 례 ≫. I.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 II. 오픈액세스 개요. Ⅲ. 오픈액세스 정책. IV. 오픈액세스 구현 전략.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 VI. 국내환경에서의 Open Access 추진방안.

brian
Download Presentation

학술영역에서의 오픈액세스와 아카이브 구축방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술영역에서의 오픈액세스와 아카이브 구축방안 2004. 11. 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황혜경 hkhwang@kisti.re.kr 이 저작물은 ‘정보공유라이선스: 영리불허.개작허용’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 차 례 ≫ I.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 II. 오픈액세스 개요 Ⅲ. 오픈액세스 정책 IV. 오픈액세스 구현 전략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 VI. 국내환경에서의 Open Access 추진방안

  3. New impact cycles:New research builds on existing research Ⅰ.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 Impact cycle begins: Research is done 과거 Researchers write pre-refereeing “Pre-Print” Submitted to Journal Pre-Print reviewed by Peer Experts – “Peer-Review” 12-18 Months Pre-Print revised by article’s Authors Refereed “Post-Print” Accepted, Certified, Published by Journal Researchers can access the Post-Print if their university has a subscription to the Journal <출처 : Brody, T. and S. Harnad. 2001. The Research-Impact Cycle. http://www.ecs.soton.ac.uk/~harnad/Temp/openaccess.ppt>.

  4. Pre-Print is self-archived in University’s Eprint Archive Post-Print is self-archived in University’s Eprint Archive New impact cycles: Self-archived research impact is greater (and faster) because access is maximized (and accelerated) Ⅰ.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계속) 현재 Impact cycle begins: Research is done Researchers write pre-refereeing “Pre-Print” Submitted to Journal Pre-Print reviewed by Peer Experts – “Peer-Review” 12-18 Months Pre-Print revised by article’s Authors Refereed “Post-Print” Accepted, Certified, Published by Journal Researchers can access the Post-Print if their university has a subscription to the Journal New impact cycles: New research builds on existing research

  5. REGISTRATION 등록 Establishing intellectual Priority CERTIFICATION 인정 Certifying the quality/validity of the research AWARENESS 통지 Assuring accessibility of research ARCHIVING 보존 Preserving research for future use Ⅰ.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계속)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 • 수직독점적 모델에서 분산형 모델로의 변화 • 등록(Registration), 인정(Certification), 통지(Awareness), 보존(Archiving) 단계로 Open Access Archives Journals, Repositories Institution Publisher Scholarly Journal

  6. I. 인터넷의 발전과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변화(계속) • 오픈액세스 패러다임에 의한 학술정보자원의 유통 변화 • 인터넷 정보접근, 전자출판물의 유통,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제공 • 전자우편을 통한 논문정보의 송수신 등 • Open Access Journal, OAI-repositories 출현 인터넷, 네트워크화 전자출판의 발달 디지털자료의 등장 도서 잡지 등의 인쇄자료 Open Access Journal , Repositories 단순구매방식 라이센스방식

  7. II. 오픈액세스 개요 • 오픈액세스 정의 • 학술정보의 자유로운 이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대두된 학술정보 유통의 새로운 패러다임 •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이 전세계 이용자 누구라도 자유롭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작물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것 • 연구자들은 자신의 저작권의 일부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무료 또는 저가로 양질의 학술정보 유통시키고자 하는 움직임 • 오픈액세스 특징 • 정보생산자가 곧 이용자가 되고 이용자가 다시 생산자가 됨 • 학술논문의 저자는 출판을 통해 이윤을 추구하지 않음 • 연구결과를 널리 배포하여 정보를 교환, 연구업적을 인정받는 것을 목적으로 함

  8. III. 오픈액세스 정책 오픈액세스를 지지하는 각국의 움직임 2000년 10월 • Public Library of Science(PLoS) • 과학의 발전, 교육, 공익을 위하여 과학 및 의학문헌이 전세계 과학자와 공공에게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기를 바라는 과학자들이 주축이 된 비영리 조직 결성. • 온라인상에서 과학분야 공공도서관을 구축한다는 목적으로 각 출판사 및 연구자들로부터 PLoS의 취지에 동참할 것을 요청함 (PLOS Biology, PLOS Medicine) 2001년 12월 • OSI,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출범 오픈액세스 출판, 셀프아카이빙 전략 제시 2003년 6월 • Public Access to Science Act 미의회 제출 2003년 10월 22일 • MPG, 과학기술, 인문학분야 지식자원에 대한 오픈액세스 베를린선언 2004년 1월 14일 • The U.S. House Appropriations Committee(미의회세출승인위원회) NIH기금을 받은 논문은 PMC에 제출할 것을 권고

  9. III. 오픈액세스 정책(계속) 오픈액세스를 지지하는 각국의 움직임 2004년 1월 30일 •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각료급 회의 지지성명 공공기금으로 제작된 연구데이터에 대한 오픈액세스 이용 장려 2004년 2월 24일 • IFLA, 학술연구문헌의 오픈액세스 지원전략 발표 2004년 3월 16일 • Washington DC Principles for Free Access to Science 미국내 48개 학협회/대학출판부 오픈액세스 지지성명 2004년 7월 7일 • UK.House of Commons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Scientific Publications : Free for all ? 영국의회 과학기술분과위에서 국가자금의 지원으로 생성된 연구결과물은 공공에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도록 기관레포지토리를 구축해야 한다는 정책제시

  10. III. 오픈액세스 정책(계속) 국내의 움직임 2000년 1월 “지식정보자원관리법” 제정 급속하게 생성되고 있는 다양한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반마련을 위하여 지식정보자원관리법을 근거로 지식정보자원관리 사업 추진 2003년 • 문화분야 문화관광부에서의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추진(2000.3-2003.8) 국립중앙박물관 등 58개 박물관에 표준 유물기본 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는 표준유물관리시스템개발 및 보급 • 과학기술분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국가연구개발보고서 자동수집 및 서비스시스템 개발 보급

  11. III. 오픈액세스 정책(계속) 국내의 움직임(계속) 2003년 • 정보통신분야 정보통신연구진흥원에서 정보통신분야 연구보고서 등록 및 관리시스템(K-Register) 개발 보급예정 • 교육학술분야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학술 및 학위논문 자동생성·유통시스템(dCollection)개발하여 대학 및 유관기관에 시범 보급 • 산업분야 산업연구원(KIET)에서 23개 정부출연 연구기관(경제사회연구회 산하 14개, 인문사회연구회 산하 9개 연구기관)의 연구결과물(연구보고서, 정기간행물)에 대한 IKIS 자동생성시스템을 개발 2004년 • LG상남도서관 전자논문기증 코너운영 http://www.lg.or.kr/frame/index_treatise_main.html • 정보공유라이센스 공식선포(10월) 정보공유연대의 정보공유라이선스 4가지 유형 개발 및 배포

  12. IV. 오픈액세스 구현전략 • 전통적인 학술출판 유통의 대안적 전략 등장 • 오픈액세스 저널, 셀프아카이빙 [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2002] • 오픈액세스저널 • 수록 콘텐츠에 대하여 전세계 누구에게나 오픈액세스를 허용하는 저널 • BioMed Central, DOAJ(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 PLoS Biology, PLoS Medicine • 셀프아카이빙(Self-Archiving) • 연구자가 기관레포지터리 혹은 기타 OAI 기반 레포지터리에 자신의 저작물을 올리는 행위로서 e-Print 아카이빙이라고도 함 • 대부분의 수록자원은 preprints, postprints가 주류 • ArXiv, CogPrints, Dspace MIT, SHERPA, eDoc Server

  13. 항목 구분 IV.오픈액세스 구현전략(계속) • Open Access 자원현황리스트는 KISTI 지식정보센터 홈페이지 (최신동향뉴스코너) <http://library.kisti.re.kr/>참조

  14.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 Dspace 를 활용한 MIT 공과대학교 • 개요 • MIT 대학 도서관이 HP와 공동으로 대학 구성원들이 생산한 연구 및 강의콘텐트를 도서관에서 관리하기 위하여 개발한 디지털 서고(Digital Repository)시스템 • 대학구성원들이 생산한 연구 및 강의 콘텐츠관리(Digital Asset Management) • 2000년 3월 착수하여 2002년 11월 공개프로그램형식으로 발표 • 주요특징 • 커뮤니티기반의 기관레포지토리 • 각종 국제표준 준수 • OAI-PMH지원, METS반출기능, 고유식별자를 위한 CNRI 핸들기능, OpenURL 연계기능 • 다양한 디지털 포맷 및 콘텐트 유형지원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타입 • Article, preprints, working papers, technical reports, conference papers, books, theses, data sets, computer programs, visual simulations • 디지털 보존 • 디지털 아이템의 장기적 저장 및 관리기능 제공 • 각 아이템에 고유식별자(persistent identifier) 부여하여 검색보장 • 콘텐트 제공자에게 보존지원수준(preservation support levels) 제시하여 제출파일의 보존 가능성 인식토록 함 • 보존 허용 3단계 레벨 제정 : 지원(supported), 인정(known), 지원불가(unsupported)

  15.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Dspace 를 활용한 MIT 공과대학교 • 수록정보자원 • 논문(Article), 배포전기사(preprints), 기술보고서, 토의문서(working paper), 전자논문(E-theses), 각종 연구데이터,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파일, 기타 도서관장서, 웹페이지 등 • 정보시스템 모델구조 • 로컬검색기능, 논문제출기능, 메타데이터기능, OAI 서버기능 < Dspace 시스템 모델구조 > https://dspace.mit.edu/index.jsp

  16.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Ohio State Univ.의 Knowledge Bank • 개요 • 강의, 원격교육 및 연구자원 통합관리를 위하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개발 • OhioLINK, Chemical Abstract Services, OSU Libraries, MIT libraries • 수록정보자원 • Course-related content • 강의웹사이트, 전자지정자료, 강의계획서, 퀴즈, 강의노트, 오디오/비디오 강좌, 프리젠테이션 • Research material • 각종 데이터, 방법론, 연구결과물 • 디지털 컬렉션 • 학술논문, 단행본, 워킹페이퍼, preprints, email discussions, e-portfolios • 학내 행사 및 각종 서비스 • 홍보자료, 팜플렛, 교정 안내도, 각종 스포츠프로그램, 웹사이트 • 행정관리 • 학생등록명부, 급여 및 직원관리, 외주관리정보

  17.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Ohio State Univ.의 Knowledge Bank https://kb.osu.edu/index.jsp

  18.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JISC FAIR Project • 개요 • Joint Information Systems Committee(JISC)에서 주관하는 FAIR (Focus on Access to Institutional Resources)프로젝트 • 기관에서 생산된 정보자원의 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프로젝트 • 프로젝트들 • DAEDALUS • ePrints UK • RoMEO(Rights(of) Metadata for Open Access) • SHERPA • TARDis

  19.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JISC FAIR Project

  20.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계속) OAI 아카이브 현황 • OAI service provider인 OAIster 분석 • 2004년 9월 2일 현재, 347개 기관으로부터 3,488,842 레코드 제공 • 사이트 당 레코드 분포 다양성 발견 • 5건 미만에서 265,462건(CiteBase) <source: Mark Ware Consulting Ltd. 2004. Pathfinder Research on Web-based Repositories, Final Report>

  21. V. 아카이브 구축 프로젝트 OAI 아카이브 현황(계속) • OAI repositories 정보자원 유형분석 • 45개 표본 집단 레포지토리 선정 • 42,700건의 문헌(CERN 제외) • 평균수록문헌 수 : 1,250건 • 정보유형 • 22% e-prints (preprints, postprints) • 20% theses and dissertations • 58% other documents (회색문헌 : 기술보고서, 워킹페이퍼 등) • 주제분야 • 물리학, 수학, 컴퓨터공학, 경제학이 주류 • 임상의학, 약학은 제외 • The lack of preprint culture

  22. VI. 국내 Open Access 추진전략에 대한 제언 • 학술정보유통의 변화에 대한 전세계 움직임은 초기단계 • 오픈액세스 출판, 셀프아카이빙 전략모델 구축의 초기단계 • 오픈액세스 지지성명 발표를 통한 각종 캠페인 고조 • 세계적 지명도나 명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황 • 국내 오픈액세스의 세계 선도적 위상정립 가능성 • 국내 인터넷 발달, 선진국수준의 컴퓨터 보급률 • 활발한 인터넷 및 모바일 사용, 능동적 사용자 정서 • 학계, 도서관계 학술정보공동활용에 대한 인식고취 • 국내학자들의 세계적 연구활동의 기반조성 • 범국가적인 차원의 국가 R&D 연구 지원정책 관심집중

  23. VI. 국내 Open Access 추진전략에 대한 제언(계속) • 학술정보유통 단계별 국내 현황 • 정보생성단계의 취약성 • D/B 구축 및 운영의 경험 상당수준 보유 • 인터넷 문화 및 서비스 수준의 강점 • 세계 선도적 Open Access 추진전략 • 제1전략 : 정보의 양적 성장 우선 • 정보 생성/수집과정에서의 혁신적 OPEN을 통한 최대 정보 확보 • 정보의 검증 및 DB화 과정의 원칙적 OPEN을 통한 최대 정보 확보 • 제2전략 :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서비스를 통한 성장 • 다량 정보에 대한 최고수준의 이용자 접근성/편리성 확립 • 민간 서비스 마케팅 기법의 도입을 통한 적극적인 사용자 확보 추구 • 제3전략 : 최고수준의 이용활성화를 통하여 정보 생성단계의 획기적 발전 견인 • 정보의 양과 서비스 이용의 활성화가 자연스럽게 정보생산을 견인하는 토대로 작용 제1 및 제2 전략 추진을 통한 세계 선도적 Open Access Repository 구축

  24. 最大의 정보생성 수집 자유로운 접근 最高 의 이용도 국 내 유력 기관/단체 일반 연구자 OA 포털 제도적 장치 O A D/B KISTI 생성정보 해 외 OA Repositories OA Archival DB 유력 기관/단체 일반 연구자 VI. 국내 Open Access 추진전략에 대한 제언(계속) • 보고서 검증의 OPEN • D/B 호환, 표준화 정보 이용기관 선택과 집중 포 상 제 • 민간포털서비스 도입 • 이용자 편의성 • 이용자 인센티브 • 최고의 활용도 - 최다 페이지뷰 - 최다 다운로드 정부지원보고서 기초&기본토대 제휴 & 공유 정보 이용자 》量的 성장이 質的 성장을 견인《 정보의 확대 재생산

  25. Questions /Comment 감 사 합 니 다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