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0 likes | 1.39k Views
10. 유무선 통합 서비스. 목차 (1/2). 1. 휴대 인터넷 휴대 인터넷이란 ? 2. 이동통신은 이용한 인터넷 IMT-2000? CDMA? EV-DO? 복잡하군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IPI? 와이파이랑 다른 건가요 ? 휴대 인터넷과 HSDPA 가 뭐가 다르죠 ? 3. 유무선 통합 유무선 통합 현황 ( 국내 ) 유무선 통합 현황 ( 국외 ) 유무선 통합 서비스 출현 배경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 와 FMS. 목차 (2/2).
E N D
목차(1/2) • 1. 휴대 인터넷 • 휴대 인터넷이란? • 2. 이동통신은 이용한 인터넷 • IMT-2000? CDMA? EV-DO? 복잡하군요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WIPI? 와이파이랑 다른 건가요? • 휴대 인터넷과 HSDPA가 뭐가 다르죠? • 3. 유무선 통합 • 유무선 통합 현황(국내) • 유무선 통합 현황(국외) • 유무선 통합 서비스 출현 배경 •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목차(2/2) • 4. 모바일 서비스가 너무 많아요 • 움직이는 VoIP, mVoIP • N-스크린이란? • 테더링 서비스는 또 뭔가요? • 5.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 6.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 유무선 통합 현황(국내) • 유무선 통합 현황(국외) • 유무선 통합 서비스 출현 배경 •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휴대 인터넷이란? • 무선 인터넷 • 무선 단말기나 무선 기기를 이용해 인터넷 서비스를이용하는 것 • 무선랜, 이동통신을 이용한 3G/4G 등도 모두 포함됨 • 휴대 인터넷 • 무선인터넷의 일종 • 정지 및 중저속으로 이동 중에 언제 어디서나 고속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 • “고속”의 의미는 초고속 유선 인터넷 수준의 전송속도(가입자당 1~2Mbps) • 이동 중에도 서비스가 끊기지 않음
휴대 인터넷이란? • 휴대 인터넷 • 전송 속도, 단말기 이동성, 기지국 반경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현재의 이동전화 서비스와 무선랜 서비스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게 됨 •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전송속도는 1~3Mbps • 10~50Mbps정도인 무선랜에 미치지 못함 • 그러나 서비스 반경이 무선랜에 비해 10배 가량 넓고, • 시속 60km/h의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 안에서도 인터넷 접속 상태를 유지
휴대 인터넷이란? <휴대 인터넷 서비스 범위> <휴대 인터넷과 기존 서비스의 비교>
휴대 인터넷이란? • 휴대 인터넷과 무선랜은 음성이 아닌 데이터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 위치 • 무선랜과 휴대 인터넷의 연계를 위한 방안 • 수요가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 휴대 인터넷을 이용해 핫존(Hot Zone)을 구축 • 이 지역에서 빠른 전송속도 제공 및 원활한 트래픽 처리를 위해 좁은 지역을 중심으로 무선랜을 이용한 핫스팟(Hot Spot) 서비스를 함께 제공 <휴대 인터넷과 무선랜의 연계>
휴대 인터넷이란? • Wibro는 "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약자 • 2004년 5월 휴대 인터넷 서비스의 표준화를 위해 정한 이름 • KT와 SK가 Wibro의 전국 상용 서비스 중 • 삼성 등의 기업들은 Wibro 기지국과 단말기 제품들을 세계 곳곳에서 성공적으로 시연 <Wibro 시연>
휴대 인터넷이란? • CDMA/Wibro 통합칩 개발 • 이동전화 결합형 Wibro 휴대형 단말기 보급을 위한 통합 통신칩 개발 필수적 • KT는 Intel 등과 손잡고 통합칩 개발 <Intel Rosedale 인텔이 개발한 WiMAX 고속 통신칩>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세대별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 이동통신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송방식과 전송속도 등을 기준으로 세대를 구분 • 1세대 : 아날로그방식 (1980년대) •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NMT(Nordic Mobile Telephone) 등 • 기지국이 수용량 한계에 부딪히며 디지털 방식의 이동통신 기술이 등장 • 2세대 : 디지털 방식 (1990년대) • IS-95(Interim Standard 95),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 • 음성통화 위주의 기술들 • 문자메시지 등과 같은 단순 데이터정보 밖에 이용할 수가 없음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세대별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 3세대 : 데이터효율 증가 (2000년대) • 1~3Mbps 데이터 전송 • 데이터통신 속도가 2세대에 비해 10배 정도 빨라짐 •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 등의 기술 • 통상 이러한 3세대 이동통신 기술들을 IMT-2000이라고 부름 •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 4세대 : 통신/방송 통합 • IMT-2000 이후의 이동통신기술들을 의미 • 50Mbps~100Mbps 예상 • 대표적인 기술로는 LTE-Advanced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세대별 이동통신 기술>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 • 데이터를 디지털화한 다음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대역폭에 걸쳐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 • 여러 통화가 하나의 채널에 겹쳐지게 되는데, 각 통화들은 고유한 코드들을 가지고 있어서 자신의 통화 내용만을 수신할 수 있음 <CDMA의 원리>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EV-DO는 "Evolution Data Only"의 약자 • EV-DO는 CDMA 1x(CDMA2000)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속도를 개선하여, 최대 2.4Mbps까지 속도를 낼 수 있는 기술 • EV는 1x기술에서의 진화를 의미 • DO는 음성과 데이터 신호 가운데 데이터 속도만 향상되었다는 의미 <이동통신 서비스의 변화>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CDMA 종주국의 의미 • 국내 정보통신 기술의 큰 전환점을 중의 하나로 1996년 세계 최초로 CDMA 서비스를 상용화 한 것을 들 수 있음 • 이후 우리나라는 정보통신 약소국에서 강대국으로 국제적 위상을 드높이게 되었음 • 세계 최초 CDMA 기술 상용화에 힘입어 IT에 대한 투자 증대로 초고속 인터넷사업 또한 강하게 추진 • CDMA 종주국이라는 것은 최초 상용화를 이루었다는 점 뿐만 아니라 CDMA 기술 개발의 주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 초기에는 CDMA 기술 개발의 주체국이었음을 인정받지 못함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제상공회의소 산하 국제중재재판소에 퀄컴사를 상대로 CDMA 관련 기술료 지급 소송에서 승리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휴대 전화기를 사용해서 인터넷 정보를 신속히 검색, 표시할 수 있는 무선 응용 프로토콜 • 통신 품질의 불안정으로 전송 속도가 느린 휴대 전화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 게이트웨이라는 장비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 • 단시간에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음 •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 • WAP 게이트웨이 • 휴대 전화망과 인터넷 사이에서 HTML를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이라 부르는 독자 언어로 변환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유무선 연동 사이트 • 사이트를 HTML과 WAP로 제작하여 PC와 휴대 전화상의 브라우저로 모두 검색할 수 있는 유무선 연동 홈페이지를 제작 가능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AP 게이트웨이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IPI • WIPI는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 무선 인터넷 플랫폼은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계(OS)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소프트웨어 • 지금까지 이동통신 업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만들어 사용 • 콘텐츠 제공업체들도 동일한 콘텐츠를 각각의 플랫폼에서 동작하도록 여러 개를 만들 수밖에 없었음 • 따라서 콘텐츠 제작과 서비스 개발에 따르는 여러 가지 불필요한 낭비 요소가 발생 •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IPI • WIPI는 이런 낭비 요소를 줄이고자 2001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추진되었음 • SK 텔레콤, KTF, LG 텔레콤 등 국내 이동통신 3개사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및 한국 무선인터넷 표준화포럼(KWISF)이 공동으로 개발 • 2002년 1.0 버전이 표준으로 채택 • 2008년 3.0 버전까지 개발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WIPI를 이용한 콘텐츠 개발의 간소화>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그러나 2008년 방송통신위원회는 위피 탑재 의무를 해제 • 2009년 4월 부터는‘위피(WIPI)’가 탑재되지 않은 애플의 ‘아이폰’, 림(RIM)의 ‘블랙베리’ 와 같은 휴대폰도 국내에서 판매될 수 있게 되었음 • WIPI 관련 방통위 입장 • “2008년 9월 현재 국내 전체 휴대폰의 약 86%에 위피가 탑재되는 등 얼마간 성과를 거둠 • ‘범용 모바일 운용체계(OS)’가 위피와 같은 기존 모바일 플랫폼 기능을 대체 • “세계 기술 발전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 “우리만 위피를 고수하면 세계 시장에서 고립될 것” • WIPI가 통신사 업자가 아닌 정부 주도로 개발 • Java2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단점
이동통신을 이용한 인터넷 • WIPI 관련 방통위 입장 • Java2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막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단점 • 범용 모바일 OS 기반의 다양한 휴대폰이 국내에 유통되면 장기적으로 단말기 가격이 하락해 소비자 편익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 한국무선인터넷솔루션협회와 위피진흥협회 입장 •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3세대 서비스 가입자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에서 인기 있는 휴대폰을 직수입하고자 하는 이해관계” • 외산 인기 휴대폰을 좋아하는 일부 소비자 욕구가 일치하면서 위피 의무화 폐지가 추진된다”고 주장
휴대 인터넷과 HSDPA •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들의 뒤를 이은 기술 • 초당 다운로드 속도가 14Mbps로, • EV-DO 보다는 7배, WCDMA보다 5배 이상 빠름 • 이동 중에도 동영상 통화는 물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다운로드와 고속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술 • HSDPA는 최근 휴대인터넷과 서비스영역을 두고 경쟁 • 기존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해 저렴한 가격으로 전국망을 구축, 고속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중심을 두고 있음 • HSDPA는 2세대 셀룰러 방식의 음성통신을 3, 4세대로 진화시키면서 영상전화, 데이터서비스 등을‘부가적’으로 얻는 것 • 광범위한 데이터 서비스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음
휴대 인터넷과 HSDPA <HSDPA 시연>
유무선 통합 • 최근 실내에서는 값이 싼 집 전화 요금을 적용하고, 실외에서는 일반 핸드폰 요금을 부과하는 서비스 상품이 판매가 되고 있음 • 이러한 서비스는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을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통신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함 • 이러한 유선과 무선의 통합을 FMC(Fixed Mobile Convergence:유무선통합)이라고 함
유무선 통합 현황 (국내) • 국내에서는 유무선 통합으로 2004년 유선통신사업자 KT의 원폰 서비스인 DU:(듀폰)이 최초 상용화 • 2006년 무선통신사업자인 LG텔레콤이 기분Zone(기분존) 서비스를 상용화 • KT의 DU 서비스 • 유선통신시장의 한계를 느낀 KT가 구 KTF와 함께 제공했던 서비스 • DU: 서비스가 지원되는 단말기와 액세스포인트(이하 AP)가 필요 • 단말기와 AP는 서로 블루투스 통신 지원 • AP의 신호 범위 내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KT의 DSL망에 접속하여 유선서비스 이용 • AP 범위 밖에서는 KTF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유무선 통합 현황 (국내) • KT의 DU 서비스 • AP는 메가패스에 연결되어 KT의 유선통신망에 연결 • AP기기를 통하여 컴퓨터, IpTV 등의 홈 네트워크 구축 가능 • AP 범위 이탈 시 AP 신호와 KTF기지국의 신호에 대한 Hand-off가 필요하기 때문에 끊김 현상이 있음 <KTDU 서비스 구성>
유무선 통합 현황 (국내) • LGT의 기분존 서비스 •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인증기기(기분존 알리미)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 • 인증기기가 설치된 장소 반경 30m 이내에서 할인된 금액으로 서비스를 제공 • 기분존 서비스 지원 단말기는 인증기기와 블루투스로 서비스 인증 • 기분존 범위 내 일 경우 유선전화 수준의 저렴한 요금 서비스를 이용 • 기분존 범위 밖에서의 통화는 일반 휴대폰 요금이 적용 • 기존 무선 주파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지역 인증을 하기 때문에 기분존 범위 이탈 시 끊김 현상이 없음
유무선 통합 현황 (국내) • LGT의 기분존 서비스 구성도
유무선 통합 현황 (국외) • BT • 2005년 Fusion을 개발하여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 • Fusion 서비스는 BT Home Hub를 이용하여 AP를 구축 • Wi-Fi 기능을 통해 BT의 DSL 망에 접속 •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BT Home Hub 구역 안에서는 저렴한 유선통신요금으로 통신서비스를 사용 • BT의 경영악화로 이동통신 사업부분을 매각 • AP 지원 범위 밖에서는 Vodafone의 이동통신망을 빌려 서비스 제공
Tip: 스마트폰 OS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스마트폰의 OS는 스마트폰의 머리에 해당하는 핵심부분 • 스마트폰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에서 찾아 설치해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 •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바로 스마트폰의 OS • 컴퓨터의 OS인 윈도처럼 다양한 스마트폰용 응용 소프트웨어가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 • 각종 응용 S/W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사들도 OS가 지원하는 범위에 맞춰 개발할 수밖에 없게 됨 • 지금까지 휴대전화는 제조사가 고화소의 디지털카메라나 디자인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 요소로 승부 • 그러나 향후에는 사양과 디자인은 물론 OS에 따라 선택하게 됨
Tip: 스마트폰 OS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대표적인 스마트폰 OS • 심비안 OS, • 아이폰 OS, • 팜 웹OS, • 블랙베리 OS, • 삼성 바다, • 윈도 모바일, • 윈도 폰 7, • 구글 안드로이드 등 <스마트폰 화면들> <스마트폰 OS 점유율>
Tip: 스마트폰 OS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주요 스마트폰 OS 특징 • 아이폰 OS 4.x • 애플의 스마트폰인 아이폰과 디지털 미디어 재생기인 아이팟터치에 내장된 운영체제 • Max OS X를 기반으로 만들어짐 • 처음에는 사용자가 개발한 앱 추가가 허용되지 않음 • 2008년 SDK가 공개되어 2.0버젼부터 Appstore를 통해 App의 공개/판매가 가능 • 안드로이드 2.x • 휴대폰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운영체제 • 2005년 안드로이드사를 구글에서 인수 • 2007년 11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휴대폰용 OS로 무료 공개 • 자바(Java)로 어플리케이션 작성이 가능
Tip: 스마트폰 OS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주요 스마트폰 OS 특징 • 안드로이드 2.x • SDK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각종 도구와 API를 제공 • 향후 오픈 마켓 규모가 애플의 Appstore와 대적할 만할 정도로 성장하게 되리라 예상 • 팜 웹OS • PDA 제작 경험이 많은 팜에서 만든 스마트폰 OS • 국내에서는 사용자가 적음 • 미국에서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OS • 다른 OS와 달리 강력한 멀티태스킹과 강력한 SNS 서비스 기능을 제공
Tip: 스마트폰 OS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주요 스마트폰 OS 특징 • 블랙베리 OS 5 • 캐나다의 리서치 인 모션(RIM)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OS • 세계적으로 1900만명 이상이 사용 • 대부분 비지니스 맨들에게 인기 • 전자메일 위주의 서비스에 적합 • 윈도 폰 7 •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내놓은 모바일용 OS • 임베디드용 OS인 윈도우CE를 기반 • 기존의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새롭게 바꾼 OS로 탈바꿈
유무선 통합의 출현 배경 • 통신시자의 경쟁 심화 및 수익성 약화 • 유선통신사업자의 경우 • 이미 포화 상태에 접어든 유선통신 시장은 물론, •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유무선 대체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했음 • 무선 통신사업자의 경우 • 일부 국가의 경우 이동통신 보급률이 100%를 초과 • 무선 통신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다다랐음 • 유선통신 사업자들의 유무선통신 융합상품을 기반으로 유무선 통합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유무선 통합의 출현 배경 •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및 통신비 부담 증가 • 소비자는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요구 • 유선전화기에 대해서는 좀 더 넓은 자유도를, • 이동통신 전화기에 대해서는 좀 더 저렴한 비용과 통화 품질의 향상을 요구 •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 통신 기술은 현재에도 급격히 변화하는 기술 중 하나 • 특히 IT기술과 융합되어 엄청난 발전 속도를 보임 • WiFi, Bluetooth 등의 편리한 무선 기술이 대거 등장 • 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제 서로 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
유무선 통합 • 주요 유무선 융합 서비스 비교
Tip: 펨토셀(Femtocells) • 펨토셀(Femtocells)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이동통신용 기지국 • 이동전화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무선 융합 서비스를 제공 • 펨토셀은 100조분의 1을 의미하는 펨토(femto)와 이동전화 통화 가능지역 단위를 말하는 셀(cell)의 합성어 • 펨토만큼 촘촘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는 의미 <펨토셀 개념도>
Tip: 펨토셀(Femtocells) • 펨토셀은 무선랜 중계기(Access Point: AP)와 비슷한 역할 • 하지만 인터넷 접속이 아닌 이동전화 접속을 위한 중계기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 • 기지국(Base Station)과 마찬가지로 자체 용량을 갖고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초고속인터넷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의 이동전화 옥내 중계기와도 차별됨 • 기존 유무선 융합 서비스인 원폰(One phone), 홈존(Home zone) 등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 • 하지만 음성뿐만 아니라 인터넷까지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다 진화된 기술이라 할 수 있음 • 이동전화의 실내 이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실내 커버리지 확대가 중요한 이슈
Tip: 펨토셀(Femtocells) • 일반적으로 실내 커버리지를 위한 기지국 설치는 통화량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듬 • 펨토셀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여 유무선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무선 기술로 떠오름 • 무엇보다도, 펨토셀은 와이브로, 홈랜 또는 무선랜과 결합하여 홈네트워크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 • VoIP 기능을 탑재하여 유무선 융합 서비스를 위한 실내 인프라로도 활용 가능
Tip: 펨토셀(Femtocells) • 펨토셀 사용의 장점 • 첫 번째, 기존 이동통신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던 실내 지역 혹은 지하까지 양질의 통화품질을 보장 • 두 번째, 증가된 데이터 전송률과 호출시간(latency) 감소로 통화품질이 높아짐 • 허가 받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인가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Wi-Fi보다 연결속도가 빠르고 안정성이 높음 • 주파수의 질적 향상은 단말기로 하여금 주파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임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 • 세 번째, 유무선 융합을 통한 통신비 절감은 펨토셀이 가입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는 가장 매력적인 장점 중 하나 • 네 번째, 장기적으로 유무선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
Tip: 평생번호 서비스 • 평생번호 서비스 • 개인번호 서비스(Personal Numbering) 또는 단일번호 서비스(One Number)라고도 불림 • 전화회사에서 부여하는 050X 전화번호(050X-XXX-XXX)에 현재 사용중인 전화번호를 하나 이상 등록해 놓으면 자동 순차적으로 착신전환하여 연결해 주는 서비스 • 전화번호가 자주 바뀌는 경우나 전화번호 변경 시마다 카다로그나 홈페이지의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기업의 경우에 매우 유용 <평생번호 서비스>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 유무선 통합서비스란? • 서로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던 기존의 유선망과 무선망을 모두 이용해 실현 가능한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의미 • 유선망 사업자와 무선망 사업자의 사업 영역을 더 이상 따로 구분하지 않겠다는 의미 •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단말기기들의 등장은 유무선을 넘나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요구 • 이러한 스마트 단말의 급격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WiFi(3G/4G) 인프라 확대 구축, 통신시장의 경쟁 심화, 그리고 모바일오피스(캠퍼스) 환경 구축 등이이루어짐 • 유무선 통합 서비스는 급격하게 그리고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음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 FMC란? •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유무선 통합) • WiFi나 블루투스와 같은 유선망 접속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단말(듀얼모드 단말기)을 이용하여 • 실외에서는 기존의 이동통신망(CDMA)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 • 실내에서는 WiFi와 같은 유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전화(VoIP)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결합 서비스를 의미 • FMC는 이동전화와 무선인터넷전화의단순한 결합뿐만 아니라, • 메신저, e-메일, MMS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통합되는 모바일 UC(Unified Communication) 서비스로 진화
유무선 통합의 산물 FMC와 FMS! • FMC란? • 유무선 통합 서비스는 통신사업자의 상황과 목적에 따라 • 유무선 통합(FMC) 서비스와 • 유무선 대체(FMS: Fixed Mobile Substitution) 서비스로 분류 <FMC 서비스 개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