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593 Views
Linux 9.X 기초에서 활용까지. Chapter 03 리눅스 설치. Content. 레드햇 리눅스의 단계별 설치. 리눅스 설치 과정. 설치 프로그램 부팅하기 부팅 디스켓 또는 부팅 CD 를 통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부팅 텍스트 모드에서 설치 시작 ISO 이미지의 체크섬 (Checksum) 완결성을 테스트 전문가 (Expert) 모드에서 설치 시리얼 모드 (Serial Mode) 에서 설치. boot: linux text. boot: linux mediacheck.
E N D
Linux 9.X 기초에서 활용까지 Chapter 03 리눅스 설치
Content • 레드햇 리눅스의 단계별 설치
리눅스 설치 과정 • 설치 프로그램 부팅하기 • 부팅 디스켓 또는 부팅 CD를 통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부팅 • 텍스트 모드에서 설치 시작 • ISO 이미지의 체크섬(Checksum) 완결성을 테스트 • 전문가(Expert) 모드에서 설치 • 시리얼 모드(Serial Mode)에서 설치 boot: linux text boot: linux mediacheck boot: linux noprobe boot: linux console=<device>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설치 방법 선택하기 • CD 설치 • CD-ROM 드라이브와 레드햇 리눅스 설치 CD가 준비 • 가장 일반적인 설치 방법 • 하드디스크 • 레드햇 리눅스의 ISO 이미지를 로컬 하드 디스크로 복사한 경우 • NFS 이미지 • ISO 이미지나 레드햇 리눅스의 미러(Mirror) 이미지를 사용하여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에서 설치를 수행하고자 할 때 이용 • 기타 방법 • FTP(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한 설치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언어 선택 • 마우스를 사용하여 설치시 사용할 언어를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키보드 설정 •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키보드 자판 배열을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마우스 설정 • 시스템에서 사용될 마우스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업그레이드 및 설치 여부 결정 • 업그레이드 또는 새로 설치 항목을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설치 유형 선택 • 실행할 설치 유형을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디스크 파티션 설정 • 디스크 파티션 분할 방법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디스크 파티션 분할 • Disk Druid는 하드 디스크의 상태를 그래픽으로 보여준다.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Disk Druid에서 사용되는 버튼 • 새로 생성 :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 • 편집 : 현재 선택된 파티션의 속성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 • 삭제 : 현재 디스크 파티션에서 선택된 파티션을 삭제 • 재설정 : Disk Druid를 원래 상태로 돌리기 위해 사용 • RAID : 일부 또는 디스크 파티션에 중복(Redundancy)을 제공 • LVM : LVM(Logical Volume Manager) 논리 볼륨을 생성 • 생성된 파티션 정보 레이블 • 장치 : 파티션의 장치 이름 • 마운트할 지점/RAID/볼륨 : 디렉토리 구조에서 볼륨이 위치할 장소 • 유형 : 파티션의 유형 (예, ext2, ext3) • 포맷 : 만일 파티션이 만들어졌다면 포맷될 것이라는 정보를 보여줌 • 용량 (MB) : 파티션의 크기를 MB 단위로 보여줌 • 시작 : 하드 디스크의 어느 섹터에서 파티션이 시작하는지 보여줌 • 끝 : 하드 디스크의 어느 섹터에서 파티션이 끝나는지 보여줌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파티션의 생성 – (1) • 마운트할 지점 • 파티션의 마운트 지점을 기입 • 파일 시스템 유형 • 풀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이 파티션에 사용될 적절한 파일 시스템 타입을 선택 • 할당 가능한 드라이브 • 시스템 상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의 목록을 보여줌 • 용량(MB) • 파티션의 크기를 MB 단위로 입력 • 추가 용량 옵션 • 파티션을 고정된 크기로 할 것인지 아니면 지정한 크기만큼 증가하도록 할 것인지, 혹은 남아있는 모든 하드 디스크 공간을 채울 때까지 증가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파티션의 생성 – (2) • 첫 번째(Primary) 파티션으로 함 • 생성할 파티션이 하드 디스크 상의 첫 4개의 파티션 에 첫 번째 파티션이 되도록 선택 • 불량 섹터 검사 • 불량 섹터의 검사 수행 • 확인 • 설정을 모두 확인하였으면 '확인'을 클릭 • 취소 • 설정한 파티션을 취소하길 원한다면 '취소' 버튼을 클릭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파티션의 생성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부트로더 설치 • 부트로더란? • 부트로더란 컴퓨터를 켰을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운영 체제 커널 소프트웨어를 읽어 들이고, 몇몇 커널 매개 변수를 커널에 넘겨주는 역할 • 설치 프로그램에서 GRUB(GRand Unified Bootloader)과 LILO(LInux LOader) 부트로더 중 하나를 선택 • 일반적으로 LILO를 사용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부트로더의 설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장치 목록에 표시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방화벽 설정 •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방화벽 설치 • 최상위 수준 • 사용자가 특별히 허락하지 않은 접속은 인정되지 않음 • 접속 허용 항목 • DNS(Domain Name System) 응답 • DHC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나 프로그램 • 접속 차단 항목 • Active 모드 FTP • IRC(Internet Relay Chat)의 DCC(Data Communication Channel) 기능을 통한 파일 전송 • RealAudio™ • 원격 X 윈도우즈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접속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중간 수준 • 시스템 상의 특정 자원에 대한 원격 네트워크 접근을 허락하지 않음 • 접근 허용 항목 • 1023 이하의 포트 •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 포트(2049) • 원격 X 클라이언트에서 지역 X 윈도우즈 시스템의 화면을 표시 • X 폰트 서버 포트 • 방화벽을 사용하지 않음 •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사설 네트워크 자원으로 접속이 곧바로 전달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허용할 서비스 • DHCP • DHCP의 질의와 응답 및, DHCP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DHCP는 일반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음 • SSH • SSH(Secure SHell)는 원격 기계에 로그인하여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집합 • 텔넷 • 원격 컴퓨터에 로그인하기 위한 프로토콜 • WWW(HTTP)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를 통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메일(SMTP)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메일 수신을 허용 • FTP •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원격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언어 지원 선택 • 다양한 언어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시간대 설정 • 세계 협정 시간에서 사용자 시간대의 오프셋을 지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루트 암호 설정 • 관리자인 루트 사용자의 암호를 설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인증 설정 • 네트워크 암호 설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네트워크 암호의 종류 • MD5 암호 사용 • 8글자 이하로 구성된 표준 암호 대신 256자까지의 긴 암호를 사용 • 쉐도우 암호 • 암호를 유지하는 보안법을 제공 • 암호는 /etc/shadow에 저장되며, 이곳은 루트에 의해서만 볼 수 있음 • NIS 사용 • 공통 암호와 그룹 파일을 가지고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 도메인내의 컴퓨터 그룹을 운영할 수 있게 해 줌 • LDAP 사용 • 일부 인증 과정이나 전체 인증에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을 사용하도록 지시 • Kerberos 사용 • Kerberos는 네트워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시스템을 의미 • SMB 인증 사용 • 사용자 인증을 위해 SMB(Server Message Block) 서버를 사용하도록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을 설정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패키지 그룹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개별 패키지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패키지 그룹 설치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부팅 디스켓 만들기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비디오 카드 설정 • X 윈도우즈 시스템 패키지를 설치하기로 설정하였다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비디오 카드의 목록을 리스트에서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모니터 설정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를 골라 선택
리눅스 설치 과정 (Cont.) • 설치 완료 • 설치 프로그램은 시스템을 재부팅 하도록 요구 • 만일 재부팅시 자동적으로 제거되지 않았다면 디스켓 드라이브에 있는 설치 디스켓과 CD-ROM 드라이브에 있는 CD를 제거한 후 재부팅을 수행 • 정상적으로 레드햇 리눅스가 동작하는지 부팅을 시켜보고, 설치시 지정하였던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여 확인
학습 정리 • 레드햇 리눅스 설치 프로그램 부팅하기 • CD-ROM으로 부팅하여 그래픽 설치를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가장 쉬운 방법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식으로 부팅할 수도 있음 • 텍스트 모드에서 설치 시작 • 부트 로더의 종류 • GRUB(GRand Unified Bootloader) • LILO(LInux LOader) • LILO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부트로더이다. • LILO는 특정 파일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플로피 디스켓과 하드 디스크에서 리눅스 커널 이미지를 부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운영 체제도 부팅할 수 있다.
학습 정리(Cont.) • 네트워크 암호 설정 • MD5 암호 사용 • 쉐도우 암호 사용 •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 사용 •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사용 • Kerberos 사용 • SMB(Server Message Block) 인증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