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505 Views
16 장 X.25 패킷 교환망 .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X.25 패킷 교환망 ( 계속 ). 1974 년 ITU-T 가 개발 광역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패킷 교환 프로토콜 연결설정 , 데이터 교환 , 확인응답 , 흐름제어 , 데이터 제어 등에 필요한 절차 패킷교환 (SVC, PVC) – 가상회선방식 이용 다중패킷 – 비동기식 TDM 방식이용. X.25 패킷 교환망 ( 계속 ). 16.1 X.25 계층 구조.
E N D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X.25 패킷 교환망(계속) • 1974년 ITU-T가 개발 • 광역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패킷 교환 프로토콜 • 연결설정, 데이터 교환, 확인응답, 흐름제어, 데이터 제어 등에 필요한 절차 • 패킷교환(SVC, PVC) –가상회선방식 이용 • 다중패킷 –비동기식 TDM 방식이용
X.25 계층 구조(계속) • X.25 계층구조 • 물리층 : ITU-T X.21(X.21bis) • 데이터 링크층 :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 네트워크층 : PLP(packet layer protocol)
X.25 계층 구조(계속) • PLP 패킷 계층화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 PLP 패킷 • 정보 패킷(I 패킷 : Information packet) • 제어 패킷(C 패킷 : Control packet)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정보 패킷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헤더 필드 • GFI(General Format Identifier) • Q bit : 상위 계층 프로토콜 식별 • D bit : 패킷 순서 지정 • Module bit : 01(modulo 8), 10(modulo 128) • 가상회선 식별자 • LCGN(Logical Channel Group Number) : 4 bit • LCN(Logical Channel Number) : 8 bit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제어 필드 • P(S) : 패킷 송신 순서번호 • P(R) : 패킷 수신 순서번호 • M(More) : 패킷 순서 지정 • 마지막 bit : 0 - I 패킷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제어 패킷 • Category I(흐름제어, 오류제어)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제어 패킷 • Category II(연결, 해제, 관리제어)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제어 패킷 유형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제어 패킷 형식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연결 설정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연결 해제
패킷 계층 프로토콜(계속) • 완전한 패킷 순서 • M(More), D(Data Terminal)필드 이용
패킷 계층 프로토콜 • 가상 채널 ID번호 • DTE와 DCE간 최대 4096(212)개의 다중 채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