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926 Views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운영방안. 김진숙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교육정보화실 교육정보서비스팀장 /. 차 례. I. 디지털도서관과 학교도서관 1.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2. 디지털도서관 구축배경 3. 학교도서관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 II. 디지털도서관과 전자도서 1. 전자도서의 개념 2. 전자도서 구입 및 활용의 문제점 3.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서비스 현황 III. DLS 의 전자도서 운영방안 1. DLS 의 개념 2. DLS 의 추진체 3. DLS 의 주요기능
E N D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운영방안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 교육정보화실 교육정보서비스팀장/
차 례 I. 디지털도서관과 학교도서관 1.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2. 디지털도서관 구축배경 3. 학교도서관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 II. 디지털도서관과 전자도서 1. 전자도서의 개념 2. 전자도서 구입 및 활용의 문제점 3.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서비스 현황 III. DLS의 전자도서 운영방안 1. DLS의 개념 2. DLS의 추진체 3. DLS의 주요기능 4. DLS의 활용현황 5. DLS의 전자도서 연계 및 활용 6. DLS 콘텐츠 확보 및 서비스 정책 방향
1.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 주체: 사서 또는 정보 전문가에 의하여 - 역할: 기존의 전통적인 도서관의 대안 또는 지원책으로서 - 기능: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시스템 안에서 디지털 자료를 구축하고, 발전시키고, 제공하는 - 조직 성격: 살아있는 정보 조직이며 - 물리적 성격: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네트워크 안의 - 목적: 이용자 커뮤니티의 정보 요구를 만족시킨다
2. 디지털도서관 구축배경 ◈ 사회적 배경 다품종 대량생산 소품종 대량생산 <생산방식의 변화> ㆍ(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ㆍ 공급자 과잉 및 경쟁 ㆍ 고객 욕구 증가 및 다양 계층제 네트워크 <조직의 변화> ㆍ 의사결정의 분산 ㆍ 책임과 권한의 위임 ㆍ 자율성 증대
창의성 획일성 <인간관의 변화> ㆍ새로운 복잡한 문제 해결 ㆍMulti-skill의 요구 산업사회 지식정보사회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
◈ 기술적 배경 - 디지털 저장 매체의 급진적인 발달 => 디지털 저장 비용의 축소 - 네트워크 기술의 보편화 (인터넷의 등장 등) - 멀티미디어 기능의 향상 (이미지, 소리, 영상 등) - 퍼스널 컴퓨터의 보급과 동시에 일반 이용자에게 이해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개발 - 발전된 메타데이타로 안정적인 서지 정보 확보 및 유통 가능
3. 학교도서관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 ◈ 학교 디지털도서관의 역할 - 학교 공동체의 공간적 확장 (교내 교사 및 학습자 => 지역 커뮤니티를 포함한 교외 학습자) - 기존의 오프라인 자료에서 다양한 온라인 자료까지 포함하는 장서 개발 - 자료검색 공간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디지털 자료를 생산(예: 독서표현 등)까지 할 수 있는 공간 -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이 가능한 교수학습센터 ◈ 학교 디지털도서관의 방향 => 학습 정보센터(Learning Resource Center)로서의 하이브리드 도서관
전자도서의 개념 ◈ 전자도서의 정의 • 컴퓨터 파일로 이루어진 전문 (Full Text) 정보를 담은 전자적으로 유통되는 정보자료 • 종이책의 대체매체로서 PC를 통해 보는 디스크책에서부터 개인휴대단말기나 전자책 전용 단말기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이정춘, 2002) • 일반적 의미: 다운로드 받거나 전용뷰어를 통해 PC나 단말기, 개인용 정보단말기로 볼 수 있는 디지털 출판 영역을 통칭 (성대훈, 2004)
<장점> 제작 비용 절감 휴대성의 편의성 비거리성 영구성 변형성 자원절약 및 환경 보존 멀티미디어 출판 용이 기능성 (검색 등) 신속한 업그레이드 <단점> 소비자의 고정비용 증대 (판독기 비용 등) 기술성 통합되지 않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이용자 불편 보안성 가독성의 문제 ◈ 전자도서의 특징
2. 전자도서 구입 및 활용의 문제점 • 업체별 전자도서의 포맷이 다름 • 전자도서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 (DRM)이 각 업체별로 다르게 적용되어 있어 각기 다른 전용뷰어 사용 • 업체별로 정확한 단가의 기준이 불분명 • 온라인 전송권에 대한 정확한 계약체결이 없을 경우, 저작권의 분쟁의 소지가 높음 • 국내의 경우, 개발된 전자도서가 다양하지 못하여 도서관의 선택의 폭이 매우 좁음 • 전자도서를 운영할 수 있는 운영소프트웨어의 사양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업체별 전용서버를 사용하여야 하며, 데이터 호환에도 어려움이 많음 • 전자도서 운영에 대한 유지보수 지원이 매우 미비함
3.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전자도서 서비스 현황 ◈ 전자도서 서비스 방식 • 도서관 자체 서버 탑재 방식:도서관의 자체 서버에 구입한 자료를 탑재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방식. 해당 기관에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 인력이 있어야함 • 업체의 콘텐츠 구독 방식:도서관과 업체의 사이트를 연결함으로서 이용자는 실제로 업체로부터 전송되는 자료를 보게 되는 방식 • ASP 시스템 활용 방식:복수의 도서관이 일괄 계약 후, ASP 시스템에 자료를 탑재하고 가입한 기관끼리 자유롭게 자료 이용 (예: DLS)
1. DLS 개념 ◈ DLS 정의 “DLS (Digital Library System)는 시ㆍ도교육청 단위에 설치되는 표준화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으로서, 교육청 관내의 개별 학교도서관의 도서관리업무(수서, 목록구축, 대출/반납 등)를 자동화하고, 인터넷 기반의 독서지원 기능 (정보 검색, 독서정보제공, 독서 표현활동, 독서지도 및 상담 등)을 통합적으로 서비스하는 체제”
시ㆍ도교육청 시ㆍ도교육청 학교도서관 업무 지원 서비스 종합목록서비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수서 시스템 목록 시스템 검색 시스템 대출 시스템 종합목록 시스템 통합 웹 시스템 통합검색 시스템 컨텐츠 서비스 - 학교도서관 지원 시스템 - 독서교육 지원 서비스 정보유통 기관간 정보공유 추천 도서 독서 후 표현활동 독서교육 정보 독서 지도/상담 국가 및 공공도서관 시•도 / EDUNET 유관기관 및 외국도서관 인터넷 기반의 One-Stop 도서관 서비스 학교도서관 독 서 지 원 교수학습도움센터 학교단위 디지털자료 종합관리 원문 정보 CD- NET VOD e-Book 디지털자료실 사서교사 학생, 일반교사 ◈ DLS 개념도
2. DLS 추진체 ◈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시도교육청) – 학교도서관 업무 지원 - 시ㆍ도교육청 단위에 구축되는 학교도서관 지원센터로 학교별 자료관리(대출, 반납, 수서, 검색 등), 종합목록 구축 및 소재정보 제공 등의 역할 수행 -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자동화에 필요한 S/W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도서관 업무의 효율성과 정보서비스를 개선※ S/W = DSL (Digital Library System) - 물리적 시설이나 공간의 개념이 아니라 시ㆍ도육교육청 서버에 가상적으로 설치되는 도서관 업무 지원센터로 개별 학교도서관 지원 ◈ 디지털자료실 구축 및 운영 (단위학교) – 도서관 환경 개선 - 각급학교에 구축된 학교도서관의 일부 공간에 관리자용 및 검색용 PC를 설치하고 소장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전산망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 수행 - 전통적인 형태의 학교도서관을 리모델링하고, 학교도서관내에 인터넷 등 디지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첨단형 학교도서관
3. DLS의 주요기능 • 문헌, 영상,전자자료의 목록 데이터베이스 구축 - 자료 대출/반납 자동화 - 인터넷을 통한 이용자 자료 검색 및 희망도서 신청 -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사 및 학생의 교수-학습활동 지원 - 인터넷 이용 운영자와 이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 - 교과별 추천도서, 학생들의 독서 후 표현활동 등 독서지도 프로그램 운영 - 도서관 운영 관련 각종 통계자료/보고서 출력 기능 등
◈ DLS 활용 학교 현황 ▫ 초 : 2,446 ▫ 중 : 1,257 ▫ 고 : 974 ▫ 기타 : 72 ▫ 총 등록학교 수 : 4,749 ◈ DLS 이용자 현황 ▫ 교사수 : 104,898 ▫ 학생수 : 2,365,046 ▫ 기타(학부모 등 도우미) : 40,989 ▫ 총 등록자수 : 2,510,933 ◈ DLS 독서 표현 마당 자료 게시건 수 ▫ 초 : 59,660/3,043 (글마당/그림마당) ▫ 중 : 18,119/699 ▫ 고 : 8,697/387 ▫ 총 : 90,605 ◈ DLS 자료 활용 현황(대출건수) ▫ 3월 : 990,625 ▫ 4월: 2,046,408 ▫ 5월 : 2,096,319 ▫ 6월 : 2,730,894 ▫ 일일 대출 건수 : 78,642건 4. DLS 활용 현황
5. DLS의 전자도서 연계 및 활용 ◈ 연계 방안 • 시ㆍ도 교육청의 DLS의 ASP 시스템에 전자도서를 탑재하여 관내 학교도서관의 이용자는 저작권 계약 범위 내에서 자료 이용 • 이용자가 DLS 웹사이트에 로그인 후, 전자도서에 접근 가능 • 다양한 전자도서 및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통일된 gateway 인터페이스 제공 • 전자도서의 통합검색 지원 (KEM 2.0 적용) • 전자도서의 활용 통계 산출 가능
시•도 DLS 시스템 콘텐츠 서지정보 서지반입 콘텐츠 연계정보 ◈ 연계 구성도 대출기록수집 대출기록 통계관리 도서담당 자료검색 센터 DB 센터공유 이용자정보전달 이용자 온라인 콘텐츠 시스템 대출/반납 온라인 콘텐츠 대출/열람 DRM관리
통합 검색 플랫폼 A 업체 가 DRM ◈ DLS 통합 검색 플랫폼 이용자 B 업체 나 DRM C 업체 다 DRM 각기 다른 업체가 상이한 DRM을 적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이용자는 통합 검색 플랫폼 및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콘텐츠를 검색하게 된다
◈ 이용자의 DLS 접속 및 열람 과정 학교 DLS 접속 ID/PW 입력 콘텐츠 통합 검색 열람 관내/외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해당 학교 DLS에 접속 자신의 ID와 PW로 접속 온라인/오프라인 콘텐츠가 모두 통합 검색됨. 온라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선택하면 자동으로 full text가 나타남
글마당 표현하기 도서관 활용 수업 ◈ DLS내의 전자도서 활용의 예 DLS <학습자> 독서하기 독서 토론 자료검색 그림마당 표현하기 추천 도서 목록
6. DLS 콘텐츠 확보 및 서비스 정책 방향 • DLS 콘텐츠 공모 (시ㆍ도 공동사업) ◈ 개요 • 디지털 콘텐츠 확보에 있어 효율성 및 전문성을 도모하기 위해 시ㆍ도의 공동구매 사업 ◈ 목적 • 중앙단위 국가차원에서 양질의 우수 콘텐츠 확보를 통한 시ㆍ도 및 단위학교의 공동 활용 체제 마련 • 콘텐츠 확보의 효율성과 신속성 및 전문성을 통해 양질의 우수 콘텐츠 DLS 활용 활성화 기반 마련
◈ 특징 • 다수의 민간업체 참여 유도 • 수요자(시ㆍ도)의 선택에 의한 공동 구매 대상 콘텐츠 선정 • 학교도서관의 자료기반학습 활동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를 대상 • DLS 통해 웹 기반 학교도서관 교육이 가능한 콘텐츠를 대상 ◈ 추진 절차 • 시ㆍ도 관계기관 공모사업 참여신청 및 위임장제출 • DLS 콘텐츠 공모 제안 사업자 모집 공고 • 콘텐츠 제공 신청서 접수 후, 심사를 통한 콘텐츠 1차 선정 (KERIS 목록) • 1차 선정 콘텐츠 대상으로 시ㆍ도 별 확보 콘텐츠 선정 • 가격 및 DLS 연계 서비스 조건 협상, 계약 체결 (3자 계약 – 시ㆍ도 관계기관, KERIS, 참여업체) • DLS 연계를 위한 콘텐츠 서비스 방식의 커스터마이징 및 서비스 개시
◈ 추진 현황 • 10여개 시ㆍ도 교육청이 사업 참여 • 2004년 제1차 ~ 제3차 DLS 콘텐츠 공모 완료 ▶ 공모 결과: 총 1,341종의 콘텐츠 참여 e-book 1280종, 사전/연감/도감류 30종, 정기간행물 9종, 에듀테인먼트 7종, 기타 15종 • DLS 콘텐츠 심사 (KERIS에 의한 1차 선정) ▶ 심사 결과: 총 149종의 콘텐츠 심사 통과 e-book 125종, 사전/연감/도감류 17종, 정기간행물 4종, 기타 4종 • 현재 시ㆍ도 관계기관에서 최종 선정 목록 제출 마감중
2) 전자도서 품질인증 및 구매 정보 안내 사이트 ◈ 개요 - 전자도서를 심의하여 내용 및 구성의 교육적 가치가 인정된 자료에 한하여 품질인증을 주며, 품질인증된 전자도서에 대해서 단위 학교에서 공동구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운영 ◈ 필요성 - 품질인증을 통해 교육적 가치가 높은 전자도서 개발을 진흥 - 학습자 및 교사의 전자도서 선별의 기준 제시 - 충분한 콘텐츠 전문가가 없는 단위 학교의 취약점 보완 - 단위학교의 공동구매를 위한 근거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