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489 Views
분화국화 문답. 진주시농업기술센터 김선희. 재배장소 편. 일조. 문 ] 1일 3시간밖에 직사광선을 쬘 수 없는데 일조부족을 대체 할 방법은? 답 ] 1 일 3 시간이라도 충분한 햇빛을 활용하면 북동향의 베란다 등 일조가 부족한 장소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음 화분과 화분의 간격을 평상시보다 넓혀 빛 쬐는량을 많게 해줌 재배선반 표면에 알미늄 매트나 알미늄반사필름을 깔아주어 빛을 반사시켜 잎의 뒷면까지 광이 가도록 하여 일조 부족을 보충 배양토에 철분을 함유한 비료를 넣어 광합성 능력을 높여줌.
E N D
분화국화 문답 진주시농업기술센터 김선희
일조 문] 1일 3시간밖에 직사광선을 쬘 수 없는데 일조부족을 대체 할 방법은? 답] 1일 3시간이라도 충분한 햇빛을 활용하면 북동향의 베란다 등 일조가 부족한 장소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음 • 화분과 화분의 간격을 평상시보다 넓혀 빛 쬐는량을 많게 해줌 • 재배선반 표면에 알미늄 매트나 알미늄반사필름을 깔아주어 빛을 반사시켜 잎의 뒷면까지 광이 가도록 하여 일조 부족을 보충 • 배양토에 철분을 함유한 비료를 넣어 광합성 능력을 높여줌
옥상 재배 문] 건물 옥상에 국화 재배시 잘 시들고 키가 작은데 대처방법은? 답] 장점 : 건물 옥상은 햇빛쪼임과 통풍이 양호하여 단단하고 충실한 초자를 형성하며 병해충 발생이 적음 단점 : 콘크리트 복사열로 고온과 바람이 강하여 쉽게 건조하여 잘 시들고 초장이 짧아짐 대책 : 옥상이나 베란다의 콘크리트에 우드타일이나 인공잔디를 깔고 수분 간직용 테라코탐을 사용하면 건조를 줄일 수 있음 • 콘크리트 바닥위에 블록을 놓고 그 위에 판자를 올려 선반을 만들거나 스티로폼 판넬또는 토이론을 깐 다음 화분 재배 • 바람이 부는쪽에 2~3mm 방풍네트를 침 • 재배상 윗면에 차광망 또는 한냉사 등으로 가볍게 해가림을 해줌
가로등 문] 국화 재배상 가까이에 가로등이 있어 개화가 늦어지는데 대책은? 답] • 가로등 광선이 들어오는 쪽에 검은색 그물망이나 알미늄 반사시트를 쳐서 광 차단을 하여야 함 • 이상적인 방법은 커튼처럼 개폐가 되도록 하여 일조량 부족을 방지할 수 있는데 타이머에 의한 자동개폐도 고려 할 필요가 있음.
철망선반 재배 • 문) 통풍이나 배수를 좋게하기 위해 철망으로 바닥을 하였는데 자람이 좋지 않은데 대책은? • 답) 철망으로 된 재배선반은 배수가 좋기 때문에 뿌리썩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크지만 건조가 심하여 자람이 좋지 않음 • 초장을 억제하여야 하는 달마작이나 복조작은 알맞지만 뿌리량과 경엽이 많게 되는 재배 후반에는 1일 1회 관수로는 부족함 • 일반적으로 재배선반은 나무판자나 거푸집, 빠레트, 컨테이너 등을 사용한 곳이 물주기가 좋고 자람이 좋게 됨 • 철망 선반에 재배하는 경우 보통때보다 보수력이 강한 배양토를 하거나 테라코탐 등의 보습제를 넣어줌
재배장소 문] 비닐하우스와 노지 중 어느 곳이 좋은가? 답] 국화는 햇빛이 충분하고 완만한 바람이 불어야 하며 일교차가 있어 이슬이 내리는 환경이 이상적으로 잘 자라며 꽃의 착색이 좋음 • 일반적인 관점에서 노지가 좋은 환경이지만 비에 약함 • 장마비나 가을비에 병이 많아지며 개화기 강우시 꽃이 썩음 • 이상적인 것은 노지에서 평상시 재배하고 장마기나 개화 시작시 비가림 재배 • 하우스에서는 벗기는 일이 어려우므로 창을 최대한 열고 환풍기를 가동하고 고온건조시 오후에 엽수를 뿌려줌
환기 문] 비닐하우스내 환기선과 선풍기중 어느 것이 좋은가? 답] 환기의 효과는 환기선과 환기창이 좋음 • 환기선 : 바깥공기를 안으로 유입하거나 빼내는 장치로 흡입구와 배출구가 따로 있어야 함 • 선풍기 : 내부공기를 돌려주어 온도를 같게 하는 장치 • 환기창 : 높은 곳과 측면에 설치하여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바깥으로 더운공기를 내보냄
달마작용 품종 문] 달마작 또는 복조작 재배의 적정 대국 품종은? 답] 적합품종 국화월산(백후), 국화금산 정흥대신 (황후), 겸육향국 국화강대(적후), 천향부수(황관), 천향팔석 • 단기간에 잎 수를 확보하고 큰 꽃을 만들어야 하므로 꽃과 경엽이 큰 품종 • 왜화처리제인 B-9(비나인)에 대한 감수성이 큰 품종 선택 • B-9 처리 시 개화가 늦어지므로 조생계통 품종이 유리함
내한성 품종 문] 추운 지역에 알맞은 품종은? 답] 난방을 할 수 있는 하우스가 없는 재배지는 첫서리가 내리기 전에 개화가 되는 조생종과 겨울에도 얼지 않고 동지아가 잘나오는 내한성이 강한 품종 선택 • 적정 품종 동해의진(백후주), 국화횡강(백후물), 국화길조(황후물), 국화미생 (황후물), 동해의환(적후물), 겸육향국(적후물)
화형에 따른 비배관리 문] 후물, 후주, 태관, 간관, 세관의 비배관리 차이는? 답] • 후물은 가장 다비성으로 제일 윗잎의 크기가 최대로 되어야 거대륜 꽃이 핌 • 후주는 후물보다 약간 약하게 추비하여야 하며 강하면 주판이 어지럽게 개화 • 관물은 후물에 비해 비료를 적게하며 출뢰 후 비료 금지로 선단잎을 단단하게 함 • 태관은 초기는 후주와 같이 관리하며 • 세관과 간관은 후물의 50% 정도로 비료 관리하며 9월부터 비료 금지로 선단부 잎이 점차 작게 함
화형에 따른 비배관리 문] 화형에 따른 건조비료 주기 방법은? 답]건조비료 시비량 (단위 : 큰스푼)
화색에 따른 비배관리 문] 적색,백색,황색 등 국화 꽃 색에 따른 관리방법은? 답] 적색품종은 특별 관리 필요 • 황색과 백색계는 별 차이 없음 • 적색계 품종은 화색을 볼 수 있을 무렵부터 개화기에 질소가 많으면 엷게 착색됨 • 적색계는 70~80% 개화될 때까지 충분히 햇빛을 쬐어야 선명한 빨강색 발현 • 그후 강한 햇빛에 의해 바래기 때문에 한냉사 등으로 해가림 필요
품종 확보 문] 새로운 품종 확보 방법은? 답] 국화전문 업자나 통신주문을 통해 가을에 확보하는 것이 좋음 • 가을부터 봄까지 언제든지 가능 • 우리나라의 경우 봄에 종묘 분양 • 꽃을 보고 가을에 일찍 주문하여 11월~12월 상순에 묘를 입수하면 겨울내 많은 묘를 생산할 수 있음 • 품종은 반드시 품종 특성(조만성,크기,꽃의 형태)과 재배포인트를 파악해야 재배가 쉬어짐
B-9(비나인) 감수성 문] 비나인 처리에 따른 품종별 차이가 많은데? 답] 품종별 비나인의 감수성(반응) 차이가 많음 • 비나인 처리 후 왜화 반응이 약할 경우 • 배수를 올려 살포하는 것보다 • 살포량과 살포횟수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임 • 품종별 감수성 차이
분재품종 문] 현애작용 품종으로 분재에도 사용이 가능한지? 답] 현애작 분재작 품종 모두 다 같은 산국형 소국임 • 자람이 좋은 것은 현애작용으로 자람이 더딘 것은 분재용으로 재배 • 대형 목부작은 조기에 현애국으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 함
포트멈 품종 문] 포트멈 전용품종이 아니라도 포트멈재배를 할 수 있는지? 답] 가능 함 • 포트멈 품종은 품종 등록이 되어 증식 판매가 불가하나 자가재배는 이루어지고 있음 • 비나인의 효과가 좋은 소국 품종이 있으면 4~5호분에 3~5본을 심고 10cm정도에서 적심한 후 20일 간격으로 비나인 살포 • 초장 30~40cm 정도로 관리하면 훌륭한 포트멈이 됨 • 만생종 감국도 늦게 8월에 삽목하여 4~5분에 재배하면 훌륭한 포트멈 재배 가능
둥근 소국 문] 적심을 하지 않는 쿳션멈과 가든멈의 차이는? 답] 다같이 자연적으로 순이 멎는 심지현상으로 측지가 자라서 반구형으로 자라나는 품종 • 쿳션멈과 가든멈은 비슷하지만 가든멈의 생육이 왕성하여 화단용으로 적합함 • 쿠션멈과 가든멈은 일본의 보사국(약간 큰꽃)과 립국(작은꽃)을 유럽에서 개량
하국 문] 하국은 언제 심어야 하며 언제 꽃이 피는지? 답] 하국은 일장에 관계없이 6~8월에 개화되는 국화임 • 추동국은 국화가 일정하게 크고, 13시간 이하의 일장일 때 개화 • 하국은 개화 후 지제부 5cm 윗부위를 자르면 신아가 자라 10~11월에 다시 개화 • 하국은 가을에 심어도 되나 3월에 심는 것도 가능
감사합니다!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연락처 사무실 055-749-5552 폰 019-655-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