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likes | 510 Views
녹색성장과 도로. 무사고 ‘ Green Road ’ 구현 기술 개발. 2009. 3. 25. 도로교통연구실 김 영 호 책임연구원. 발 표 순 서.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Ⅱ.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 Ⅲ.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한국교통연구원의 노력. Ⅳ. 무사고 ‘ Green Road ’ 구현 기술 개발. Ⅴ. 정책제안.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1.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2. 우리나라 도로교통사고의 심각성.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
E N D
녹색성장과 도로 무사고‘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2009. 3. 25 도로교통연구실 김 영 호 책임연구원
발 표 순 서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Ⅱ.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 Ⅲ.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한국교통연구원의 노력 Ⅳ. 무사고‘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Ⅴ. 정책제안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1.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2. 우리나라 도로교통사고의 심각성 •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 • - 총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 10,236명(’00) → 6,166명(’07) (지속적인 감소추세) • -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치 : OECD 가입국 중 최하위권 자료 : 1) OECD 2007년도 교통사고 통계, IRTAD, 2008 2) OECD 2005년도 교통사고 통계, IRTAD, 2005
Ⅰ. 도로교통사고의 폐해 3. 도로교통부문 교통사고비용 • 높은 도로부문 교통사고비용 • - 2006년 약 14.4조원 (2006년 GDP 848조원의 약 1.7%) 교통사고비용 (백억) 자료 : 2005, 2006 교통사고비용 추정, 한국교통연구원, 2006, 2007
2011년까지 교통안전수준 OECD 중위권 도달 2011년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수 1.9명으로 감축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프로젝트 교통 안전의식 제고 도로 이용자 행태 개선 도로시설 안전도 개선 및 교통안전시설 확충 교통사고처리 및 응급구조 체계 강화 교통사고 취약계층 보호대책 추진 조사·연구기능 및 기상지원 강화 자동차 안전도·탑승자 보호개선 교통안전제도 정비를 통한 선진제도 도입 Ⅱ.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 2008년도 목표 도로교통 사망자수 5,800명 보행자 사망자수 2,100명 자료 : 2008년도 국가교통안전시행계획, 국토해양부, 2008. 5
Ⅲ.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한국교통연구원의 노력 안전지향형 교통환경개선 기술개발 • 연구목적 :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안전성 향상 기술 개발 • 연구기간 : 2006. 10 ~ 2012. 5 / 연구비용 : 37,420 백만원 도로교통 안전진단 및 관리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 연구목적 : 도로교통 안전진단 을 위한 통합관리체계 개발 • 연구기간 : 2005. 6 ~ 2010. 6 / 연구비용 : 7,507 백만원 제6차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연구 • 연구목적 : 국가의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기본 계획수립 • 연구기간 : 2005. 6 ~ 2006. 8 / 연구비용 : 136 백만원 도로교통 안전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 연구목적 : 교통안전사업을 효율적 추진을 위한 사업체계 정비 • 연구기간 : 2006 . 2 ~ 2006 .11 / 연구비용 : 15 백만원 네트워크 차원의 교통안전 개선사업을 통한 안전성 제고방안 연구 • 연구목적 : 도로망 차원의 종합적 교통안전 개선사업 개발 • 연구기간 : 2003. 3 ~ 2003. 11 / 연구비용 : 38 백만원
OECD 국가 10위권의 도로교통안전수준 기반조성 교통사고 사망자수 감소 : 6,166명(2007년) →3,500 - 4,000명(2016년) 운전자∙도로안전시설 위험요인 제거 교통안전개선사업 관리시스템 구축 교통사고분석, 교통안전감시기술 과학화 도로교통 안전진단과 안전개선사업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도로 시인성 향상 및 안전운전환경 확보기술 개발 실시간 교통안전감시 및 분석시스템 개발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도로교통안전관련 R&D 연구 과제 수행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안개대응 시스템 개발 필요성 • 기상상황별 교통사고 치사율 (1990년-2007년) • 서해대교 참사 (2006년 10월 3일) 안개로 인한 29중 차량 추돌사고로 사망 11명 부상 57명, 피해액40억 추정 • 기상상황별 교통사고 발생현황 (2005년-2007년)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1 안개대응 시스템 기본 개념도 Light Bar 안개검지 시정계 <표출 예> • RGB color로 구성되며 평상시 2단으로 표출되며 경우에 따라 상단 (혹은 하단)에 차량의 속도를 표출함 • 주야 및 기상상황에 따라 다양한 휘도 및 형태를 표출할 수 있음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충돌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주개발 필요성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2 충돌피해 최소화를 위한 지주 개발
실시간 교통안전감시 시스템 개발 필요성 실시간 위험운전 행태 관리시스템개발 필요성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 총 사고발생건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교차로 교통사고는 매년 3.5% 증가추세 •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 중 교차로 교통사고가 약 30%를 차지 • 교차로교통사고의 주 원인은 교차로 신호 위반과 운전자/보행자 부주의 임
돌발상황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3 실시간 교통안전 감시시스템 개 발 기 술 활용 및 적용 유관기관과의 연계시스템 개발 Tracking을 이용한 교통정보수집 • 교통량,속도 등 • 혼잡도 • 위험도 • 실시간 영상 • 사고위치 정보 • 사고영상 정보 • 사고 DB 제공 실 시 간 교통안전감시시스템 실시간 사고모니터링 • 단속류/연속류 도로축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개별차량으로의 정보전달체계망 구축 • 사고발생시 경고 • 사고위치 정보 영상+위치기반 사고 및 상충 DB개발 사고 및 상충 D/B 실시간 상충모니터링 • 단속류/연속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세부기술 – 도로 교통사고 검지 시스템 교차로 교통사고 검지 시스템 • 교차로에 설치된 영상 검지기의 영상을 분석하여 교통사고를 실시간으로 자동 검지하여 신속한 사고 대응을 구현한 시스템
위치정보 가속도 차량정보 영상정보 주변차량정보 운전자상태 운전자조작 음성정보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4 실시간 위험운전행태 분석 및 관리 시스템 State-of-the-art 형태의 운전행태 분석 도구 개발 및 연구 수행 실시간 위험운전판단장치 시험차량 및 평가시스템개발 무선 및 기간통신망 운전 행태 정보 안전운전관리 프로그램 위험운전판단 알고리즘 도로 및 교통 환경 정보 단말기 장착 차량 (버스, 트럭 등 사업용 차량) 유선 네트워크(인터넷) 운행기록장치 분석 • - 안전운전 진단 • 운전자 성향 분석 • - 운전행태 분석 등 차량 주행 정보 안전운전관리시스템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5 차량탑재형 자동사고기록장치 (AARS) 기술 개발 • 교통사고 전,후의 영상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사고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자동사고기록장치 개발 운행기록 사고기록 영상기록 GPS GPS위성 차량속도 브레이크 A/V In & SD Serial RPM 트로틀포지션 연료소모량 사고정보 분석 운행정보 분석 영상정보 분석 연료소모 분석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AARS를 통한 사고 비용 감소 효과 • 2008년도 부산 대도택시 사고율 및 대인, 대물 보상금액 (2007년 12월 29일 전차량 장착)
Ⅳ. 무사고 ‘Green Road’구현 기술 개발 6 교통안전통합관리시스템 • 도로교통안전진단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교통안전개선사업 관리가 가능한 Web기반의 시스템 구축 GIS를 통한 구간 정보 입력/표출 클릭시 단계별 요구기능 popup으로 표출
Ⅳ. 정책제안 • 도로교통 안전정책의 방향 전환 • - 자동차 주행 편의 및 차량사고 방지 위주의 교통안전 정책 • 보행자 및 교통약자 보호 중심의 교통안전 정책 • - 교통사고 발생 후의 기하구조 및 시설물 개선 대책 중심 • 교통사고 발생 전의 위험 요인 제거 • - 친환경 교통안전정책의 확대 (예: 교통정온화 기법) • - 교통약자의 통행권을 강화하는 법·제도 정비 • 녹색도로교통안전연구의 체계화 • - 녹색도로교통안전기술 개발 • - 중장기적인 현장 검증 및 기술 보완 체계 구축 • 녹색도로교통안전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 • - 교통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주체의 일원화 • - 교통안전관리 전담 기구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