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likes | 291 Views
기계어변천사. 목 차. 1-1 기계어 1-2 어셈블리언어 1-3 컴파일러 2-1 제 1 세대언어 2-2 제 2 세대언어 2-3 제 3 세대언어 2-4 제 4 세대언어. 기계어. 컴퓨터가 직접 읽을 수 있는 2 진 숫자 (binary digit, 0 과 1) 로 이루어진 언어를 말하며 ,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이 된다.
E N D
목 차 • 1-1 기계어 • 1-2 어셈블리언어 • 1-3 컴파일러 • 2-1 제1세대언어 • 2-2 제2세대언어 • 2-3 제3세대언어 • 2-4 제4세대언어
기계어 컴퓨터가 직접 읽을 수 있는 2진 숫자(binary digit,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를 말하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이 된다.
프로그래머가 만들어낸 프로그램은 어셈블러(assembler)와 컴파일러(compiler)를 통하여 기계어로 번역되어야만 컴퓨터가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어셈블리언어 컴퓨터프로그래밍 언어 가운데 하나로서,기계어를 사람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연어에 가깝게 1~6개의 문자로 기호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초기에는 모든 프로그래머가 어셈블리언어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포트란이나 C언어와 같은 고급언어로 작성된다. • 단, 처리속도가 중요하거나 또는 고급언어에서 지원되지 않는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셈블리언어를 사용한다.
컴파일러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일을 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라고 한다.
제1세대 언어 • 최초로 컴퓨터가 만들어졌을 때는 기계어만 사용하였는데 이를 제1세대 언어라 한다.
제2세대 언어 • 기계어에 대응되어 기호로 표시하던 어셈블리어를 제2세대 언어라 한다
제3세대 언어 • 포트란, 코볼,PL/1, 알골, 베이식 등 • 제3세대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려면 컴퓨터와 프로그램 작성 기술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제4세대 언어 • Powerbuilder, FOCUS, Visual- C++ , JAVA 등
4세대 언어(Fourth Generation Language)란 종래의 범용 3세대 언어에 비해 한 단위 배 정도의 프로그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총칭한다. 제4세대 언어는 기업 등의 전자자료 처리시스템(EDPS: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이 큰 규모로 복잡해지고, 경영환경이 급속히 변해 감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유지나 신규개발이 대량화되어, 시스템개발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