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likes | 374 Views
- 젠더와 복지정책. 여성 위인. 10 이진영. 한 국 여성 최초의 서양 화가이자 문학가 . 근대 신여성의 시초 나혜석. 1896.04.28 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1896.04.28 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여인의 결혼의 조건으로. 1896.04.28 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E N D
- 젠더와 복지정책 여성 위인 10 이진영
한국 여성 최초의 서양 화가이자 문학가. 근대 신여성의 시초 나혜석
1896.04.28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1896.04.28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1896.04.28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나는 좀 더 사회인으로, 주부로 사람답게 잘 살고 싶었습니다.그러함에경제도 필요하고 시간도 필요하고 노력도 필요하고 근면도 필요하였습니다. 불민한 점이 불소하였으나 동기는 사람답게 잘 살자는 건방진 이상이 뿌리가 빠지지 않는 까닭이었습니다.” (1934년, 8-9월호 <삼천리>에 실린 [이혼고백서] 중에서) ‘이혼고백서’는 결혼에서 이혼에 이르게 된 경위를 적나라하게 쓰고 남성중심의 조선사회를 고발하는 수기였다. 부부 사이의 치부마저도 드러낸 것이다. "조선 남성 심사는 이상하외다.자기는 정조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고 합니다.” ㅡ [이혼고백서] 중에서 이 글에서 그녀는 정조관념을 지키라고 하는 사회 관습을 비판하고 그런 관념은 상대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해체되어야 한다고 까지 주장했다.
1896.04.28일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 출생 •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 •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신념
민족주의자 이자 여성해방론자로써 나혜석 선생의 신념 가부장적 사회제도와 남성중심의식에 대한 과감한 도전. 가정뿐만 아니라 연애와 섹슈얼리티에서도 남녀의 불평들이 강요되는 사회. 여성에게만 정조를 강요하는 이중성에 항의. 남녀 불평등을 포함 정조 관념 해체 주장. 해방론에 가까운 여성관은 전통적인 여성관에 정면으로 도전. 한 인간으로서의 자기주체성을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한 근대 신여성의 효시
“여자도 사람입니다”를 주장한 나혜석 선생. 나혜석 거리’ 탄생에 일조한 ‘나혜석기념사업회’ 유동준 회장은 “천재 예술가이자 독립운동가인 나혜석 선생을 행려병자로 죽게 한 우리 사회의 편견이 완전히 사라져야 이 시대의 여성들도 제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보수적 사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끝내 무연고자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녀가 남긴 생각과 그림과 말은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여성의 삶으로 전해지고 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