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605 Views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Ubiquitous Government) 추진 전략 및 구축 방안. 한국전산원 정보화지원단장 오광석. 목 차.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성과 II.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 및 추진전략 III.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방안. I.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성과. 행정전산망사업은 제 1, 2 차 국가기간전산망사업 (’87-’96) 의 일환 이를 통해 주민등록 , 부동산 , 자동차 등의 국가운영 기본정보에 대한 DB 구축 완료
E N D
유비쿼터스 전자정부(Ubiquitous Government)추진 전략 및 구축 방안 한국전산원 정보화지원단장 오광석
목 차 •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성과 • II.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 및 추진전략 • III.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방안
I. 전자정부 추진과정 및 성과 • 행정전산망사업은 제 1, 2차 국가기간전산망사업(’87-’96)의 일환 • 이를 통해 주민등록, 부동산, 자동차 등의 국가운영 기본정보에 • 대한 DB 구축 완료 • 1991년부터 거주지 단위로 주민등록등본, 토지대장 발급서비스 • 개시 •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전자정부’ 개념 등장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구축 사업 • ‘정보화촉진기본법’ 제정 • 기타 제도 등의 외부환경 조성
정부 내 전자결재 및 전자문서유통 등의 정보화사업 추진 • 부동산 등기업무, 특허, 병무 등의 민원업무 처리 온라인화 • 1999년 6월, ‘전자정부 종합실천계획’ 수립 • 1999년, 2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인 ‘Cyber Korea 21’ 수립 • 2001년,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행정업무 등의 전자화촉진에 • 관한 법률’ 제정, ‘전자정부특별위원회’ 구성 • 2002년, 전자정부 11대 과제 중심의 전자정부 기반 완성 Keyword: 상호운영성 확보 및 정보공동활용, 다부처 연계사업, 국민편의 위주의 통합서비스 제공(One-Stop Portal)
구분 중점과제 대국민/대기업 서비스 제고 (G2C/G2B) • - 5대 민원분야 정보공동활용 및 민원처리시스템 등 민원서비스 혁신시스템 구축(G4C) • 4대 사회보험 정보시스템 간 상호연계체제 구축 • - 종합국세서비스시스템 구축 •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구축 행정생산성 향상(G2G) - 재정정보시스템 구축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 전국 232개 시·군·구의 21개 공통행정업무 정보화 - 공무원 전자인사시스템 구축 - 전자결재 및 행정기관 간 전자문서유통 확산 추진 전자정부 기반구축 - 전자서명·전자관인시스템 구축 및 사용자 확산 - 범정부 통합전산환경의 단계적 구축 * 전자정부 11대 과제
* 전자정부 추진 성과 •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및 전자정부 기반 고도화 •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법 · 제도, 추진체계 정비 • 부처간 · 시스템간 상호운영성 확보 및 정보공동활용 노력 • 다부처 연계사업을 통한 대민서비스 향상과 정부의 효율성 증대 노력
II.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 및 추진전략 * 전자정부 성숙모형(가트너그룹) (자료: Gartner Research, 2000.)
e-KOREA VISION 2006 • 초고속통신망 고도화(IPv6, 무선인터넷 등) • 홈네트워킹 기반 구축 • 유무선통합을 위한 기반 구축 • 모바일 전자정부 기반 구축 • - 언제, 어디서나 이용가능한 민원서비스 채널 구축 • - 이동공공서비스 추진 등
* 차세대 전자정부 관련 연구성과(한국전산원, 2002. 12.) 한국전산원, ‘Beyond e-Government’ 비전수립 및 중점 추진과제 개발, 2002.12. 서비스 원클릭 & 언제, 어디서나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 운 영 투명성, 책임성, 효율성 제고 인프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자정부 인프라 확보 [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 목표] [ 차세대 전자정부 구성도]
* 차세대 전자정부 비전 및 추진전략 유무선 네트워크 고도화 유비쿼터스(Ubiquitous) 전자정부 협업형(Collaborative) 전자정부 대국민 접근성 · 편의성 제고 정부 효율성 향상 통합전산환경 대국민 서비스 • 원클릭 & 언제, 어디서나 전자정부 서비스 제공(u-Gov) • CRM 구현을 통한 능동적 상호작용 • 정보소외 및 직접민주주의 보완 행정효율성 행정 투명성, 효율성 제고할 수 있는 협업형 전자정부 구현 (정보공동활용 개념 확장) 인프라 유무선 네트워크 고도화 및 범정부 통합전산환경 완성
III.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방안 *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요(Mark Weiser의 개념) • 메인프레임 중심의 중앙집중 컴퓨팅 PC 중심 컴퓨팅 • 인터넷과 분산컴퓨팅 유비쿼터스 컴퓨팅 • 기존 컴퓨터 이외에 지능형 센서와 프로세서가 결합하여, • 수많은 컴퓨터들이 무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 • Invisible & Calm Technology • 2005-2020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일반화 [ 컴퓨팅 환경의 변화] (자료: Mark Weiser, www.ubiq.com/hypertext/weiser/UbiHome.html)
*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확장 • 유무선통합과 IT 융합(Convergence) • 초소형 센서기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공간과 • 전자공간의 교집합인 제 3공간 개념 등장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제 3공간]
*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기반기술 Broadband 확산 및 고도화 무선•모바일 네트워크 고도화 IPv6 초소형 칩 •센서 기술 유무선 통합 •보편적 상시접속/ 지능형 네트워크로의 진화 • Ubiquitous 환경을 위한 Infra 측면 •멀티미디어 기반의 대용량, 고속 서비스 기반 • Ubiquitous 환경을 위한 Infra 측면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 가능 •위치추적 및 맞춤서비스 가능 •홈네트워킹 (무선근거리통신) •모든 (가전) 단말기에 대한 Network화 기반 •홈네트워킹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제3공간으로의 공간개념 확대 미래 현재
* 유비쿼터스 전자정부란? 유비쿼터스 전자정부(u-GOV)는 e-GOV, m-GOV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광의의 개념 • e-GOV : 유선인터넷 기반의 전자정부 • m-GOV : 모바일 환경을 지원하는 전자정부 • u-GOV : 유무선 어느 네트워크에서나, 어떤 단말환경에서나 •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전자정부
*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개념도 Contents & Data Level Application Level Publication Wired Integration Interaction Transaction IT Network Multi-Channel Access Gateway Publication Wireless Integration Interaction Transaction Any Time, Any Where 정부 통합 IT 환경
*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 전략 1.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을 위한 기반 조성 • 브로드밴드 확산 및 고도화 • 무선 · 모바일 네트워크 고도화 및 서비스 확산 • IPv4 네트워크에서 IPv6 네트워크로의 성공적인 전환 2. 모바일 전자정부를 우선적으로 추진한 후 단계적 추진 • 핸드폰, PDA 등 이동 단말기 중심의 m-GOV 구축 DTV, • 전화기, KIOSK, 기타 가전제품으로 단계적 확대 • m-GOV는 u-GOV로 가기 위한 전단계 • 유무선 통합 및 보편적 상시접속 3. 응용기술 및 서비스 발굴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제 3공간 등의 개념에 맞는 • 공공부문 응용기술 및 서비스 발굴 • (ITS, 최소형칩을 이용한 의료분야 적용, 스마트먼지를 이용한 • 국방분야 적용 등)
* 모바일 전자정부 아키텍처 • 이동통신사업자의 망개방 계획에 맞춰 이동통신사업자의 • 망연동장치(IWF)와 연동한 정부 모바일 IDC 방식으로 추진 • 통합적인 관점에서 공공부문 게이트웨이와 플랫폼을 구축하여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