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EMC BASICS

EMC BASICS.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란 ?.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전자파 환경의 양립성 , 적합성 통칭 전자파를 주는 측과 받는 측의 양쪽에 적용하여 의도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 , 즉 기기나 부품이 전자파를 발생하거나 , 외래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것.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방해 또는 전자파 간섭

darci
Download Presentation

EMC BASIC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EMC BASICS

  2.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란? •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전자파 환경의 양립성, 적합성 통칭 • 전자파를 주는 측과 받는 측의 양쪽에 적용하여 의도된 성능을 • 확보할 수 있는 능력, 즉 기기나 부품이 전자파를 발생하거나, • 외래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도 않는 것 •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전자파 방해 또는 전자파 간섭 • 기기가 전자파를 외부로 방출하여 복사(Radiation)와 전도 • (Conduction)의 형태로 다른 기기나 제어회로에 방해를 주는 것 • 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or Immunity) : 전자파 내성(耐性) • 각종 전자파 방해로부터 기기나 부품의 성능 저하가 발생되지 • 않도록 견딜 수 있는 정도

  3.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란? • - IT전문교육센터 전문화, 특성화, 맞춤식 교육

  4. 왜 EMC 인가 ? • 방해파 문제의 심각성 대두 -> EMC 규격 제정 • 각종 전자/통신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제품사이의 전자파 간섭발생 • -> 제품의 오동작 발생 •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로 인한 통신 교란 , 방송 수신 장애 발생 • 전자기기 (특히 HAND-HELD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논란 • 방해파 규제의 목적 • 전자파 간섭에 의한 제품의 오동작 문제 개선 • 자국의 전파 환경 보호 •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자국 산업 보호 • 규격 제정으로 인한 관련 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대책 부품 산업, 시험소, 규격 • 승인/사후관리 비용 …..)

  5. 전자파 환경(1) • 방해파의 발생원 • 자연 잡음 • 대기잡음 : 번개, 이온 층 임 펄스, 슈만 공진 (불가항력적임) • 우주잡음 : 궁수자리(150 – 200MHz), 천체 축 열 잡음(3 – 30GHz), • 태양 흑점활동(20 – 35MHz)

  6. 전자파 환경(2) • 인공 잡음 • 의도적 잡음 (Intentional Noise) • - 제품의 성능 또는 기능의 동작을 위하여 의도적으로 RF에너지를 발생 시키는 경우 • (송신기의 고조파, 수신기의 국부발진기(AM/FM), TV의 동기펄스, ISM 기기, 정보처리 • 기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레이다 ….. )

  7. 전자파 환경(3) • 비의도적 잡음 ( Unintentional Noise) • - 제품의 성능 또는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비의도적으로 RF 에너지가 • 발생되는 경우 • - 전동기 응용기기 (Motor), 전기접점 응용기기 (Relay, Switch), Spark 방전 • (Ignition), Glow 방전 (형광등, 네온), Arc 방전 (Arc Welder), Corona 방전 (송전선)

  8. 찌~지~직 찌~지~직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1) • 송전선로 부근 주민 암 발생율 증대 • 전기 기술자의 암 발생 • 세포와 조직에서의 기능 변화 • 암 세포의 증식 가속 • 멜라토닌 호르몬의 감소 • 생체리듬의 변화 • 면역 시스템의 변화 • 인체의 뇌 활동과 심장 박동 수 변화 임상실험에 의한 검증결과는 없다.

  9.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2) • 사례 1. • 1991 Windham박사(미국)의 Kaiser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 VDT를 사용하는 임신부의 유산율 2배. - 일주일에 VDT를 20시간 이상 사용 시. - 저체중 아기 출산율 40%증가, 태아의 발육이 더딜 확률 60%증가. - 하루 종일 사용 시 80%증가 • 사례 2. • 1992 엘마코비(러시아)의 보고, '생물학적으로 허약해진 부화 전 병아리를 VDT앞에서 • 전자파 피폭시켰더니 7시간 후에 모두 사망' • 사례 3. • 1992 시스킨(미국) 보고, 'VDT 앞에서 5일간 전자파에 피폭시킨 계란에서 나온 병아리 • 기형이 60% 증가'

  10.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3) • 사례 4. • 1994 국수발전소(경기도 양평)에 과거·현재 근무한 직원의 5가구에서 장애자 발생(6명).두 명이 아들이 있는 한 가정에서 첫 째 아들은 22살임에도 초등학생 수준이 발육 상태와 • 극심한 언어 장애를 보임, 둘째 아들은 출생 시부터 등이 굽어 있었으며, 피부는 노인처럼 • 거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사례 5. • 1995년부터 1년간 전국의 교환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수 검진결과를 인용한 자료.교환원 2천9백37명중 2백 56명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유해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될 • 경우 발생하는 VDT증후군 판정. • 사례 6. • 1996 캐나다의 리버드 논문,‘임신 중에 전자파에 노출된 환경에서 일을 한 어머니로부터 • 태어난 자녀의 백혈병 발생 빈도는 보통의 경우보다 5.78배나 되었다.

  11. 전자파가 기기에 미치는 영향(1) • 사례 1. • 1982년 일본 금속가공업체 선반공, 작업 중 천정 크레인에서 발생한 순간적 전기 스파크의 전자파로 인한 로봇 선반 오 작동 사망(1990년 500여대 자동용접 로봇 고주파 열처리 장치 에서 발생 전자파로 인하여 로봇의 제어부 오 동작으로 공장 가동 중지)

  12. 전자파가 기기에 미치는 영향(2) • 사례 2. • Black Hawk 헬기가 시험 비행 중 통신소 및 함정 레이다 근처 통과 시 추락, 레이다의 고출력 전자파에 의한 전자장비 부품 손상 비행 조종 시스템 오 동작 • 사례 3. • 1984년 뮌헨 부근 전파송신소 밀집지역 상공 저공 비행하던 전투기 조종제어 불능으로 • 추락 사고 • 사례 4. • 1988년 서울 강남 아파트 엘리베이터 정상적 상승도중 갑자기 정지한 뒤 추락 어린이 사망

  13. 기술환경의 변화(1) • 1900년대이전 => 전자파 개념 미 존재 • 교환시설: 수동식(자석식/공전식) • 전송/정보/이동통신 기술 발전 미흡 • 전자파환경: 자연환경에 의한 전자파 존재 _ 전자파 의미 없음 • 1900년대 => 전자파 활용기술 연구 • 교환시설: 기계식(ST/EMD/Cross-Bar) • 전송: 아날로그 전송기술 사용 (나선반송/동축케이블/PCM 방식) • 군사적 목적에 위한 전자파 중요성 인식 시작 • 1970년대 => 군사적 목적에 위한 전자파 대응 • 교환시설: 반전자식 교환기 (No.1AESS,M10CN) • 이동통신: 아날로그 방식 이동전화 상용화 (1978,미국) • 무선분야 기술의 전개에 따른 전자파의 중요성

  14. 기술환경의 변화(2) • 1980년대 => 선진국 중심의 EMI 자율적 규제 • 교환시설: 전전자식 • 이동통신: 아날로그 방식 세계적 운영 • 전송기술: 광 이용 • 전자 산업의 발달에 따른 전자파 문제 발생 및 • 중요성 강조 (전자파 규제 시작) • 1990년대 => 국내 산업기기 EMI 승인 의무화 (정보통신부/산업자원부) • Digital 시대 • 전파환경의 복잡 (무선 시설의 발달) • 사용 주파수 대역의 증가 • 전자파 세계적 강제 규제 (문제발생) • :세계각국 자국 산업 보호위한 규제 • 2000년대 => 기존 EMI 규제에서 EMS 분야까지 확대 • 유무선 & 위성통신이 통합된 첨단 멀티미디어 시대 (IMT-2000) • 전자파환경: 소비자 및 제품 품질 수준의 척도

  15. Freq.(MHz) 제품 Trend 1000 500 100 정보 통 신 Display Digital Analog 제품의 TRAND • 전체적으로 전자제품은 Digital化/ High Frequency化 추세 • 계속적인 화질향상 및 대용량 동화상 처리에 따른 빠른 신호처리가 요구 • 사용주파수도 지속적으로 증가 • 이러한 제품변화에 따라 기존 Trial&Error식 EMC대책이 한계에 있으며 • 선진연구기관은 나름대로의 EMC예측 설계기법을 개발하여 제품개발에 적용 대응기술 [ Trial&Error식 대응 ] 실장설계 Debugging PCB제작 측정/평가 개발지연, Cost_Up, 신뢰성저하 문제 [EMI/ Noise예측설계 ]

  16. 1930년대 라디오 방송수신 장해 (RFI)의 대두 1940~50년대 군사적 필요성에 의해 연구 (RFI ☞ EMI) 1960년대 EMC (전자파 양립성) 대두 1970년대 FCC에서 상용장비 규제(1979) 1980년대 ~ 현재 고속, 고집적, 광대역화 유럽EMS추가규제(‘96) 국내EMS규제(2000) 미래 EMC HISTORY 전자파의 Emission 및 내성(Immunity) 규격 확대/강화 추세 ?

  17. EMC 규제기구 현황 지역규격 • 미국 (FCC) • 일본 (VCCI) • 독일 (VDE) • 캐나다 (ICES) • 호주 (AS/NZS) • 한국 (전자파적합등록규칙) • 한국(전기용품안전관리법) • NAFTA (북미 자유무역권) • EU (유럽연합) • EFTA (구주 자유무역 연합) • CENELEC (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 국제규격 • IEC (국제전기기술위원회) • CISPR (국제 무선장해 특별위원회) 업체규격 • ETS • BELLCORE 등

  18. 국가별 EMC 규제현황 • CISPR(Comite International Special des Perturbations Radioelectriques :국제무선장해특별위원회 ) •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산하 기구(1934년 설립) • 무선통신에 대한 장해를 방지하는 대책, 허용치 등을 권고하고 통신기기의 • 국제무역 촉진을 목적으로 함. • 7개의 SC(분과위원회) 업무분담 • IEC(TC77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between electrical equipment • including networks) • 3개의 분과위원회가 있으며, 각나라에서 회원가입 및 규격제개정 활동 추진 • 미국 FCC(미연방통신위원회) • 1934년 설립하여 전기전자기기의 장해 규제(1979) • 유럽 CENELEC(유럽전기기술 표준위원회) • 1992년 1월부터 IEC/CISPR표준으로 보완된 공동 기술기준 적용 • 독일 FTZ(중앙전기통신국) • VDE(독일전기기술학회) 기술기준 적용 • 일본 VCCI(정보처리장치 등 전파장해 자주규제협의회) • 1986.6.1부터 자율규제 실시

  19. EU CE Marking 제도 • 유럽의 EU회원국은 EMC 공통 규격인 EN규격(강제규격)을 채택하여, • EMI와 EMS 규정을 만족해야만 시장판매가 가능한 지역임 • EMC Test 실시후 Declaration of Conformity(DOC)를 작성하며, 실제 시험한 • 시험소 이름 및 적용규격과 EU역내 대리인 및 설계책임자 사인을 DOC에 표기함 • 생산제품에는 CE Marking을 표기하여 EU규격에 적합함을 나타내야 함 • 각 국가별 Trading Office에서는 수입 시판되는 제품들의 EMC DOC를 • 수시로 수거 검토하며, 필요 시 사후관리 시험 실시함 • EU 국가내 독일이 EMC 영향력을 가장 크게 행사하고 있으며, 독일 54개 • 도시에 사후관리 검사소를 설치하여 연간 5만 종류의 Sample을 시장에서 • 수거하여 시험 평가함 • 동유럽국가(체코, 헝가리, 폴란드)의 경우, EU내 공인시험소에서 발급한 시험 • 성적서 제출 시 별도의 시험 없이 승인서 발급 가능

  20. 미국 FCC규제 현황 • 규격기관 :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워싱턴 소재) • 연방통신 법에 따라 강제적으로 규제 • 무선통신에 방해를 줄 수 있는 EMI Level에 한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 EMS는 규제하지 않고 있음 • 9KHz 이상의 Timing Source를 가지는 디지털 기기를 대상으로 하며, • 제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7가지 인증제도로 구분하여 운영 • FCC기술기준은 CFR, Title 47-Telecommunication의 각 Section으로 구분 • 디지털 기기 및 무선주파 장치 류 : FCC Part 15 • 산업, 과학 및 의료용(ISM) 장치 류 : FCC Part 18 • 셀룰라(CDMA)전화기 및 기지국 : FCC Part 22/24 • 국선에 연결되는 단말장치 류 : FCC Part 68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