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린 스타트업

린 스타트업. 2014.4.26 곽동현. 린 스타트업이란. 기존의 개발 방식 오랜 기획과 개발 끝에 제품의 출시 . 기획서와 제안서 , 시장 조사에 의존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대부분이 실패함 . 기획자의 통찰력에만 의존하며 , 단 기획에 프로젝트의 승패가 갈림 . 그러나 인간의 인지 범위에서 그러한 제품을 기획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움 그래서 이것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것이 린 스타트업. 린 스타트업이란. 린 스타트업

deanna
Download Presentation

린 스타트업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린 스타트업 2014.4.26 곽동현

  2. 린 스타트업이란 • 기존의 개발 방식 • 오랜 기획과 개발 끝에 제품의 출시. 기획서와 제안서, 시장 조사에 의존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대부분이 실패함. • 기획자의 통찰력에만 의존하며, 단 기획에 프로젝트의 승패가 갈림. • 그러나 인간의 인지 범위에서 그러한 제품을 기획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움 • 그래서 이것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것이 린 스타트업

  3. 린 스타트업이란 • 린 스타트업 • 1) 스타트 업은 우주선 조종이 아니라, 자동차 운전이다. 정밀한 분석과 • 예측보다는 민첩하게 순간적인 상황에 반응해야 한다. • 2) 제품의 진화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개발 방법. 실패하지 않고, 유의미 • 한 기획을 할 수 있는 일종의 프로토 타이핑 개발론. • 3) 여러 개의 창업자가 세운 가설을 최단시간에 검증하는 것이 핵심. • Ex) 유저는 아이스크림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원한다. • Ex) 자동으로 인맥을 관리해주는(경조사 알림 등)서비스를 원한다.

  4. 린 스타트업이란 • MVP: 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실행가능 제품. 내가 세운 가설이 맞는지 검증하기 위한 최소 기능 • 을 갖춘 제품. • 반드시 제품이 아니어도 됨-> 어떤 기능을 구현하는데 3달이 걸린다면, • 단순히 데모 동영상을 유저에게 보여주어 반응을 확인함. 실제 제품이 돌 • 아가는 것 처럼 연기해도 됨(뒤에서 사람이 서비스) • Ex) 드롭박스의 멀티플랫폼 파일 공유 서비스 • Ex) 저자가 개발한 3D아바타 시스템에서 캐릭터가 이동하는 기능을 실험 • 해보고자함. 제대로 구현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림. 그래서 그냥 클릭하 • 면 캐릭터가 순간이동 하는 방식의 MVP로 실험 -> 반응이 매우 좋자 실 • 제 개발에 착수함.

  5. 린 스타트업이란 • 실제 적용 – 선물 추천 • 유저에게 UI만을 제공하고, 실제 선물 추천은 사람이 해주는 MVP를 만든다. 또는 카카오톡 예약 서비스를 가장해, 뒤에서 사람이 실제로 예약해주는 방식의 MVP를 서비스해본다. • 수용 가능한 유저에게 서비스한다 (100명-SNS로 모집) • 유저의 리텐션(재접속률)을 체크하고 제품의 장단점을 묻는다. • 가설을 수정하고 보완해 다시 MVP를 만든다.

  6. 린 스타트업이란 • 결과 확인 • 리텐션이 높을 수록 • 유저 확산 속도가 클 수록 (100명에게 서비스했는데 다음날 2배) • 바이럴 루프 계수 측정(리텐션과 확산속도의 곱 = 1.1이 넘을 경우 초대박 서비스임. 보통 1을 넘지 못해서 추가 마케팅을 하는 것임.)

  7. Thank You.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