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 likes | 620 Views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2003 월요미술문화총강.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초청강연회. 신라 석탑의 아름다움. 한국 석탑의 기원과 상징성. 박 준 식 (계명대 사회대 교수) http://jspark.kmu.ac.kr. 박 준 식(계명대 사회대 교수) http://jspark.kmu.ac.kr. 200 3 년 4 월 11 일 1 5:00 - 17:00 경주코오롱호텔. 200 3 년 4 월 21 일 1 8:00 - 20:00 동서문화관 중회의실. 나라별 탑의 형태.
E N D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2003 월요미술문화총강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초청강연회 신라 석탑의 아름다움 한국 석탑의 기원과 상징성 박 준 식(계명대 사회대 교수) http://jspark.kmu.ac.kr 박 준 식(계명대 사회대 교수) http://jspark.kmu.ac.kr 2003년 4월 11일 15:00 - 17:00 경주코오롱호텔 2003년 4월 21일 18:00 - 20:00 동서문화관 중회의실
나라별 탑의 형태 • 무덤으로서의 탑 : 피라미드, 불탑, 돌탑 • 신전의 제단: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 바벨탑, 마야문명권의 신전과 탑 • 사원의 기념 건축물: 아시아(인도, 미얀마, 태국)의 불탑, 유럽(피사의 사탑), 중동(사마라대탑) • 기원의 상징(우리나라) : 불교의 탑, 서낭당 돌탑 • 기타 : 예리고 돌탑, 짐바브웨의 돌탑 • 불교문화권: 불타의 몸, 존경과 발원의 대상 • 중동, 중남미 문화권: 신전의 제단, 발원의 장소 • 고대 문명권의 탑 - 인류공통의 코드?
탑의 여러 형태 - 분묘 쿠프왕의 피라미드 페르시아 마우솔루스묘
탑의 여러 형태 - 분묘 인도 산치대탑 의성 석탑동 적석탑
탑의 여러 형태 – 신전의 제단 마야의 티칼탑 메소포타미아의 바벨탑
탑의 여러 형태 – 사원의 기념물 앙코르와트의 부처얼굴형 탑 이라크의 사마라대탑
탑의 여러 형태 – 기념물, 기원의 상징 피사의 사탑 서낭당 돌탑
탑의 여러 형태 – 기타 예리고의 돌탑 짐바브웨의 돌탑
탑과 불교문화 • 삼국유사: 寺寺星張 塔塔雁行 • 탑은 불교사상을표현하는 한 상징물 • 상징물의 유형 :나라별 차이,자유로운 사유세계 • 불교의 사유 세계: 우주관, 신관, 사생관 등이 무한히 넓고 자유롭다(개성의 존중) • 우리나라 탑: 인도. 중국 불교 전래,탑의 형식 전래 - 토착화 과정 독특한 형식과 기법 창조 • 석탑중심으로 발전 • 우리 석탑의 형식의독창성, 예술성 의미의고유성,
우리나라 탑의 현황(2003년 3월) • 문화재 유형별 • 소재지역별
탑의 유래와 전래 • 어원: 범어 스투파(Stupa)– 솔탑파-탑파 - 탑 부처님의 신골(身骨)을 봉안한무덤(방분, 원분) • 석가 열반후 사리봉안 무덤– 복발형(벽돌 장식) • 미얀마, 태국: 석탑(사원일부, 아래-사원, 위-탑) • 중국: 고층 누각형 목탑, 후기 전탑 • 한국: 전통적 돌탑(서낭당 돌탑, 분묘형 돌탑) 불탑 : 중국의 영향 한국 독창적 양식으로 발전 초기 - 목탑, 모전석탑(전탑), 후기 - 석탑 • 일본: 목탑(한국 영향)
탑의 전래(중국) • 불궁사 석가탑(아래) • 자은사 대안탑(오른쪽)
탑의 전래(한국)선산 낙산동, 안동 법흥사전탑
탑의 전래(일본) 흥복사 5층탑 해주산사 5층탑
탑과 사리 숭배사상 • 탑:조형물로서의 탑 + 사리봉안장소 • 어원: Sarira 유체, 유골의미 • 사리팔분:탑건립 확산 • 인도-추모, 숭배 대상 중국-신비, 영험 대상 한국-신앙, 발원 대상 • 탑과 사리숭배와 석가
탑의 유형- (1)토탑 인도 산치대탑3탑
탑의 유형- (2)목탑, (3)전탑 금산사 미륵전 안동 조탑동 전탑
(4)모전석탑, (5)석탑 의성 빙산사지, 성주 법수사지 탑의 유형
(6)이형석탑해인사 청석탑, 화순 운주사 탑의 유형
탑의 형태와 상징성 • 기단부: 상.하층 기단 탑신부: 몸돌, 지붕돌 상륜부: 개념, 형식을 초월한 부처님의 세계표현 • 홀수채용 • 신라: 3층(안정감, 조화) (3: 수의 완성, 길수, 3재) • 백제: 5층(상승감) (天位, 5행) • 10층탑?(원각사, 경천사)
탑의 장식과 상징성 (화엄사 서5층석탑) • 장식의 의미 1)문화발전의 한 단계 2)불교적 상징성의 부여 • 초기: 단순, 소박, 장중 후기: 화려, 경쾌, 섬세 • 조각유형: 분할되는 面 • 기단부: 십이지신상, 팔부중상, 사사자상 • 탑신부: 불상, 사천왕상, 문비와 인왕상
탑의 장식과 상징성-기단부(예천 개심사터 5층석탑) 탑의 장식-기단부
탑의 장식과 상징성-기단부(보살상) (함안 승안사터 3층석탑)
탑의 장식과 상징성- 탑신부 감실,불상(분황사) 문비(장항사터)
탑의 장식과 상징성- 탑신부(불상)(양양 진전사지, 서울 원각사)
탑의 장식과 상징성- 탑신부(화엄사 서오층탑사천왕상, 제천 사자빈신사 사자상)
탑의 사리장치석가탑, 송림사전탑 • 사 리장엄구: 사리, 사리용기, 불경, 불상, 소탑, 地鎭具, 공양구
감사합니다 http://jspark.kmu.ac.kr/stu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