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likes | 857 Views
서울지하철 건설 3 5 년의 설계 및 시공. 2010. 08. 경 복 대 학 건설환경디자인과. 1. 서 론. Part - 1.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4. 제 3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1-1. 1. 서 론. 서울특별시 현황. 면 적 : 605.8 km 2. 인 구 : 12 million. 자동차 : 2.7 million. 예 산 : 8.8 billion U.S $. 서울지하철 건설 역사.
E N D
서울지하철 건설 35년의 설계 및 시공 2010. 08 경 복 대 학 건설환경디자인과
1. 서 론 Part - 1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4. 제 3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1-1
1. 서 론 • 서울특별시 현황 • 면 적 : 605.8 km2 • 인 구 : 12 million • 자동차 : 2.7 million • 예 산 : 8.8 billion U.S $ • 서울지하철 건설 역사 • 1971년 지하철 1호선 착공 • 2000년 지하철 6, 7, 8호선 개통 • 1~8호선의 총 219km 서울 지하철망 구성 1-2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1, 2, 3 그리고 4호선은 1971~1985에 걸쳐 시공되었다.) • 제 1 기 지하철 건설 및 운영현황 1-3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지하철 1호선 건설현황 • 공사기간 : 1971~1974 • 전체연장 : 9.5 km • 정거장 수 : 9 개 • 시공공법 : 개착식 공법 1-4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설계 및 시공 내용 • 설계기준 : 허용응력 설계법 • 개착식 공법 - 토 압 : Rankine, Terzaghi, Peck 공식 - 지하구조물의 방수는 Asphalt roofing 공법을 사용하였다. - 토류벽 : 엄지말뚝 + 목재 토류판 • 지하철 운영 시스템 - 표준궤간 : 1,435mm (레일 50kg N형) - 전기시스템 : DC 1,500V - 신호시스템 : TTC (Total Traffic Control system) ATS (Automatic Train Stop device) - 통행은 좌측 운전 1-5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지하철 2호선 건설현황 • 공사기간 : 1978~1984 • 전체연장 : 46.5 km • 정거장 수 : 43 개 • 시공공법 : - 고가 구조물 - 터널 (ASSM) 1-6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설계 및 시공 내용 • 방수공법 - Asphalt roofing waterproof → Sheet waterproof • 지하철의 주요 시스템 - 궤도, 전기, 신호방식은 지하철 1호선과 동일하다. - 상이한 점은 : • 좌측운전에서 우측운전으로 변경되었고, • 최소곡률 반경이 125m에서 250m로 확대되었다. - 장대 레일 부설 1-7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지하철 3, 4호선 건설 현황 • 공사기간 : 1980 ~ 1985 • 공사기간 : 1980 ~ 1985 • 전체연장 : 29.8 km • 전체연장 : 30.3 km • 정거장 수: 23 개 • 정거장 수: 24 개 • 시공공법 : • 시공공법 : - 고가 구조물 - 고가 구조물 - 터널 (NATM) - 터널 (NATM) 1-8
2. 제 1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설계 및 시공 내용 • 터널 공법 - ASSM (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의 운영 • 노면 활하중을 DB-18에서 DB-24로 상향조정 • 지하철의 주요 시스템 - 궤도, 전기, 통행계는 지하철 2호선과 동일하다. - 신호 시스템 : ATS (Automatic Train Stop device) → ATC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 장대 레일의 부설 1-9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지하철 5, 6, 7 그리고 8호선이 1989년~2000년까지 건설되었고, 지하철 2, 3, 4호선을 15km 확장하였다.) • 제 2 기 지하철 건설 및 운영현황 1-10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지하철 5, 6호선의 건설 현황 • 공사기간 : 1990 ~ 1996 • 공사기간 : 1993 ~ 2000 • 전체연장 : 54.85 km • 전체연장 : 36.1 km • 정거장 수 : 51 개 • 정거장 수 : 38 개 • 시공 공법 : • 시공 공법 : - 고가 구조물 - 고가 구조물 - 터널 (NATM) - 터널 (NATM) 1-11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지하철 7, 8호선의 건설 현황 • 공사기간 : 1990 ~ 2000 • 공사기간 : 1990 ~ 1999 • 전체연장 : 46.1 km • 전체연장 : 19.6 km • 정거장 수 : 42 개 • 정거장 수 : 17 개 • 시공 공법 : • 시공 공법 : - 고가 구조물 - 고가 구조물 - 터널 (NATM) - 터널 (NATM) 1-12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설계 및 시공 내용 • 설계기준이 개정된 시방서의 내용에 따라 허용응력 설계법에서 극한강도 설계법으로 변경 • 연약 지반 보강 공법 및 차수 공법 - SGR, LW, JSP, SGR, LW, Urethane injection, Steel pipe roof • 자갈 도상에서 콘크리트 도상으로 변경 • 레일이 60kg까지 조정되었다. • Turn-Key 제도의 도입 • 세계의 대도시와 대등한 지하철망을 구축 1-13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현행 서울특별시 지하철 노선도 1-14
3. 제 2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각국의 지하철 비교표 1-15
4. 제 3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지하철 9, 10, 11 그리고 12호선은 2001년부터 시공될 예정이다.) • 제 3 기 지하철 건설 및 운영 1-16
4. 제 3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제 3 기 지하철 건설의 기본 방향 • 시민이용 편의시설의 확충 - Elevator - screen door의 설치 - 급행열차 운행 • 지역주민 불편의 최소화 - 설계단계에서부터 교통처리계획을 반영 - 교통장애를 줄이는 저감공법을 채택 • 체계적인 사업관리 • 재원조달의 다원화 1-17
4. 제 3 기 서울지하철 설계 및 시공 • 시설개선 연차별 추진계획 - 내용을 살펴보면 2002년까지 환승역에 대하여 1차로 Escalator, Elevator, 수평자동보드도 등을 확충하고, 전 정거장에 대한 Elevator, Wheel chair lift 등의 장애인, 노약자 편의시설은 2005년까지 완비할 계획이다. 1-18
Part - 2 지하철 5호선 한강 하저터널 공사 현황
서울지하철 노선도 Part - 2 • 한강하저터널의 단면도 • 인공섬의 전경 • 한강하저터널과 일반터널의 표준단면도 • 지반보강 및 굴착공법 순서 • Core boring (수평선진 시추) • L.W grouting (지반보강) • Pipe roof (강관보강) • Road header (기계굴착) • 와이어 매쉬, 강지보재 그리고 숏크리트 • 숏크리트 라이닝과 굴착완료 2-1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Part - 2 • 바닥 중앙 흄관 설치 • 바닥 중앙 수직관 설치 • 바닥 종방향 배수관 설치 • 터널 내공 검측 • 인버트 철근 배근 • 방수 쉬트 설치 • 어깨부와 천정부 철근 배근 • 간격재의 설치 • 강재 거푸집 투입 • 강재 거푸집 설치 • 콘크리트 라이닝의 전경 • 시공 완료 2-2
서울지하철 노선도 한강하저터널 2-3
한강하저터널의 단면도 마포대교 여의도 마포 한강 터널 2-4
인공섬의 전경 ☜ 인공섬 마포대교 지하철 노선 수직구 ☞ 2-5
하저터널과 일반터널의 단면도 ☜ 하저터널의 단면도 일반터널의 단면도 ☞ 2-6
지반보강 및 굴착공법 순서 • Core boring (수평선진 시추) 2-7
지반보강 및 굴착공법 순서 • L.W grouting (지반보강) 2-8
지반보강 및 굴착공법 순서 • Pipe roof (강관보강) 2-9
지반보강 및 굴착공법 순서 • Road header (기계굴착) 2-10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와이어 매쉬, 강지보재 그리고 숏크리트 ☜ 와이어 매쉬, 강지보재 숏크리트 ☞ 2-11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숏크리트 라이닝과 굴착완료 ☜ 숏크리트 라이닝 굴착완료 ☞ 2-12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바닥 중앙 흄관 설치 • 바닥 중앙 수직관 설치 ☜ 흄관 설치 수직관 설치 ☞ 2-13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바닥 종방향 배수관 설치 • 내공 검측 ☜ 배수관 설치 내공 검측 ☞ 2-14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인버트 철근 배근 • 방수 쉬트 설치 ☜ 인버트 철근 방수 쉬트 ☞ 2-15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어깨부와 천정부 철근 배근 • 간격재의 설치 ☜ 어깨부와 천정부의 철근 간격재 ☞ 2-16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강재 거푸집 투입 • 강재 거푸집 설치 ☜ 강재 거푸집 투입 강재 거푸집 설치 ☞ 2-17
☜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완료 ☞ 한강하저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순서 • 콘크리트 라이닝의 전경 • 시공 완료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