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민속악기

민속악기. 기술교육과 201003799 이동주. 목차. 1 . 가야금 2 . 거문고 3 . 장구 4 . 꽹과리. 1 . 가야금. 가야금이란 ?. 국악기 중 사부에 속하는 현악기 (12 줄 ) 가얏고라고도 한다 . 손가락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 가야금의 탄생. 가야의 가실왕의 명령을 받아 우륵이 만들었다 . - 삼국사기 -. 우륵.

erica-dale
Download Presentation

민속악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민속악기 기술교육과 201003799 이동주

  2. 목차 1.가야금 2.거문고 3.장구 4.꽹과리

  3. 1.가야금

  4. 가야금이란? • 국악기 중 사부에 속하는 현악기 (12줄) • 가얏고라고도 한다. • 손가락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 •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

  5. 가야금의 탄생 가야의 가실왕의 명령을 받아 우륵이 만들었다. -삼국사기- 우륵 우륵은 신라로 망명하여 가야금을 전파. 일본에서는 이를 ‘신라금’이라 한다.

  6. 가야금의 종류 • 풍류가야금(범금, 정약가야금) • 궁중음악이나 풍류계통의 음악을 연주 • 삼국시대의 가야금 • 명주실을 꼬아 12줄의 현악기 • 통일신라시대에 일본에 전파되어 • “신라금”이라 부름.

  7. 가야금의 종류 • 산조가야금 • 풍류가야금보다 약간 작고 줄과 줄 사이 • 간격을 좁혀 만든 것 • 남도시나위의영향을 받아 빠르고 느린 • 악곡을 타기에 편하도록 개량한 것 • 우리가 흔히 보는 가야금

  8. 가야금의 특징 -손가락을 이용해서 연주한다 -우리나라 현악기중에서 연주가능한 속도가 가장 빠른 악기이다 -12줄이 가장 기본적인 종류이다. -우리나라 현악 중 가장 속도가 빠른 악기이므로 산조중휘모리가 유일하게 있다.

  9. 가야금 연주 감상

  10. 2.거문고

  11. 거문고란? • 국악기 중 사부에 속하는 현악기 (6줄) • 현금이라고도 한다. • 술대로 쳐서 소리를 낸다. • 깊고 장중한 음색

  12. 거문고의 탄생 • 『삼국사기』- 중국 진나라에서 보내온 칠현금을 고구려의 왕산악이 본디 모양을 그대로 두고 그 법제를 많이 고쳐 만든 것이다. • 왕산악이 곡을 지어 연주하였더니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을 추었기에 ‘현학금’ • 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 후에‘현금’이라 하였다고 • 하였다.

  13. 거문고의 탄생 •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 • 이는 악기그림이 발견 • ‘고구려금’, • ‘감고(가뭇고)’ • ‘검고(거뭇고)’

  14. 거문고의 특징 • 정적이고 내부 지향적인 악기 • 음량이 크지 않고 음색이 화려하지 않음 • 품위와 웅장함, 소리의 여백 • → 옛 선비들이 좋아함

  15. 가야금과 거문고의 차이점 위쪽 거문고, 아래쪽 가야금

  16. 거문고 연주 감상

  17. 3.장구

  18. 장구란? • 한국 전통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는 타악기 • 국악기 중 혁부(革部)에 속함. • 장구(獐狗) 장고(杖鼓/長鼓), 세요고(細腰鼓)라고 도 불린다.

  19. 장구의 구조

  20. 채 잡는 법

  21. 장구 연주법 • 장구의 오른편을 ‘채편’왼편을 ‘궁편’이라 함. • 왼쪽 궁편은 손바닥으로 치거나 궁굴채로 치고, 오른쪽 채편은 대나무로 만든 채로 친다. • 정악에서는궁편은 손바닥으로 치고 채편은 채로 친다. • 민속악에서는 정악에서궁편을 손바닥으로 연주하는 경우와 궁굴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궁굴채를 사용할 경우는 장구의 크기가 조금 작고 소리가 큰 것으로 연주한다.

  22. 장구 연주법

  23. 장구의 종류 • 반주 장고 • 전통적 장고의 원형에 가깝다. • 양편머리가 크고허리가 가늘다. • 농악 장고 • 반주장고와 동일한 생김새. • 치는 사람에 따라 장고의 크기가 다름. • 무용장고 • 장고를 메고 춤을 추면서 치는 장고. • 장고의 크기 축소. • 울림통이 작아서 소리가 높고가볍다.

  24. 다양한 장구 제작 방법

  25. 4.꽹과리

  26. 꽹과리란? • 놋쇠로 만든 무율 타악기 • 소리가 높고 날카로움. • '꽹꽹'하는 소리가 난다고 해서 꽹과리로 이름 붙여짐. • 놋쇠판을 왼손에 쥐고, 오른손으로 방망이 모양의 채로 침 • 풍물놀이나 사물놀이에서 지휘자의 역할 • 괭과리를 들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꽹과리의 뒤쪽에 넣어 소리의 여운을 조절(막음새)

  27. 꽹과리의 명칭-용도에 따라 • 소금(小金):궁중제향에 쓰일 때 명칭 • [악학궤범]에 의하면 소금은 둑제에 사용되었다. 제향에 쓰이는 소금은 붉은색을 칠한 자루에 매달려 있는데 자루 윗부분에는 채색한 용머리가 달려 있으며 연주할 때는 자루를 잡고 나무망치로 친다. • 꽹메기:풍물에 쓰일 때 • 징과 같이 홍사 끈으로 손잡이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만든 채로 친다.

  28. 꽹과리 유래 • 신라시대 때 만들어졌다 • 고려 공민왕 때 주나라에서 만들어져 중국 명나라 때 들어왔다

  29. 상쇠와 부쇠 • 상쇠 • 맨 앞에서 쇠를 치는 사람 • 매우 중요한 위치 • 모든 풍물 굿을 총 지휘 • 부쇠 • 상쇠를 도우며 변형 가락 등을 • 쳐 흥을 돋움. • 판의 분위기와 상황을 이해하고 • 가락을 바로 잡음.

  30. 꽹과리의 의미 • 꽹과리는 장구와 아울러 율동악기로서 으뜸이며 • 옛날에는 군악,정악, 무악, 풍물굿 등  두루 쓰임 • 풍물굿에서 자극적이고,  충동적인 가락으로 사람 • 의 느낌을 고조시키고, 흥을 돋구는데 중요한 역할

  31. 사물놀이연주 감상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