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likes | 1.16k Views
한국의 지질 , 광물자원 개발 현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정 대 교. 발표 내용. 한반도 남측의 지질과 광물자원 개발 개요 주요 광상 : 금속광상 , 비금속 광상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 현황 : 금속광물 , 비금속 광물. 광물자원 개발 개요. 한반도에는 선캠브리아기 , 고생대 , 중생대 신생대 의 퇴적암류 , 화성암류 및 이를 근원암으로 하는 변성암류가 다양하게 분포하며 , 좁은 국토에 비하면 분포 광물의 종류도 다양한 편 .
E N D
한국의 지질, 광물자원개발 현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정 대 교
발표 내용 • 한반도 남측의 지질과 광물자원 개발 개요 • 주요 광상: 금속광상, 비금속 광상 •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 현황: 금속광물, 비금속 광물
광물자원 개발 개요 • 한반도에는 선캠브리아기,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의 퇴적암류, 화성암류 및 이를 근원암으로 하는 변성암류가 다양하게 분포하며, 좁은 국토에 비하면 분포 광물의 종류도 다양한 편. • 한반도 내에서 기재된 광물은 약 330여종이며 이 중 경제성이 있는 유용광물은 약 120종이고, 상품성이 있어 생산되고 있거나 생산된 적이 있는 광물은 약 50종. • 몇몇 비금속 광물을 제외하면 점차 생산 실적이 감소하고 있으며2002년에는 22종만이 생산 중.
금속광물 개발현황 • 산성화강암류와 밀접히 관련이 있는 접촉교대광상, 열수교대광상, 열수맥상광상 등으로 산출되는 것이 대부분. • 사광상으로 산출되는 광물로는 금, monazite, ilmenite, zircon 등이 있고,특히 금은 1920-30년대에는 사광에서의 생산 실적이 많았으나 현재는 서해안에서 소량 생산. • 우리나라에는 염기성 내지 초연기성 화성암류의 노출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성인상으로 이와 관련된 백금, 다이아몬드, 크롬철석 등의 광종은 거의 산출되지 않음.
비금속광물 개발현황 • 무연탄, 석회석, 인상 흑연, 고령토, 활석, 납석, 규석, 규사, 규조토, 석면, 형석, 운모, 사문석,비석 등이 주요 생산 광물임. • 화성기원: 형석, 운모, 규석, 사문석 • 퇴적기원: 무연탄, 석회석 • 광역변성기원: 인상흑연, 홍주석 • 열수변성기원: 활석, 납석 • 풍화잔류기원: 고령토, 비석.
한반도 남측의 주요 광상 • 한반도 남부의 지질구조구는 경기-영남육괴, 옥천변성대, 옥천변성대 내의 소경상함몰대, 경상퇴적분지, 경상화산암대, 제3기 퇴적분지로 구분. • 주요 광화기는 선캠브리아 광화기, 고생대 광화기, 쥬라기-백악기초 광화기, 백악기말-제3기초 광화기, 시대 미상 광화기로 구분. • 금속광화대의 주요 집중지역은 태백산 광화대, 황강리 광화대, 경남 광화대.
금속광상 분포 1 • 금, 은 광상은 대보화성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강암과 관련되어 생성되어 광역적인 분포 보임. • 성인적으로 열수광상(열극충진 맥상광체), 접촉교대광상 및 사금광상으로 분류 - 대부분 맥상 광상으로 배태되며, 접촉교대광상으로 산출되는 금, 은은 대부분 황화금속광물에 수반되어 부산물로서 생산. • 대표적인 곳은 경북 봉화 금정광산, 충남 구봉광산, 충북 무극광산, 인천 부평광산. • 구리 광상은 대부분 연, 아연, 철, 중석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으나 경남지역의 소위 경남 광화대는 구리를 주로 하고 기타 금속은 극소량 함. • 대부분 성인은 열극충진상광상(경남 군북, 함안, 고성)이며 일부는 반암형광상(강원 동점)도 있음.
금속광상 분포2 • 납, 아연 광상은 금, 은, 동 등 다른 금속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주요 분포지는 태백산 광화대와 제천-황강리 광화대, 규모가 큰 것은 접촉교대광상(강원 연화, 신예미, 경북 울진, 경기 시흥)으로 형성. • 철광상은 매우 소규모로 분포하는데, 비교적 규모가 큰 것은 강원도 양양과 신예미 광산이고. 대체로 심열수교대광상 기원이나, 충북 충주나 충남 서산의 경우 함철퇴적암층의 변성광상도 분포. • 중석과 수연(몰리브덴)광상은 대체로 동일 광상에서 산출하는데, 강원, 경북, 충북의 도계에서 약 80%가 밀집 분포. 접촉교대광상은 중석이 우세하고(강원 상동), 맥상광체는 수연이 우세. • 기타 금속으로는 망간, 주석, 창연(bismuth), 안티몬, 니켈, 코발트의 생산 실적이 있음.
비금속광상 분포1 • 주요 비금속 광상으로는 석회석, 고령토, 활석, 형석, 납석, 비석(zeolite),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등이 있음. • 석회석은 전체 퇴적암의 20%를 차지하는 막대한 양으로 대규모 분포지는 고생대 전기의 조선누층군(풍촌층, 막골층, 영월의 삼태산층, 삼척의 석병산층)과 고생대 후기 평안누층군(제천의 갑산층)의 주분포지인 강원도 남부와 충북지역임. • 고령토는 풍화잔류광상과 천열수성 변성광상으로 구분되는데, 산지는 거의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규모가 크고 양질의 것은 전남 완도, 경남 밀양, 하동, 산청 지역이다. 특히 하동, 산청이 국내 생산의 60%를 차지하고 광물은 halloysite.
비금속광상 분포2 • 활석광상은 모암이 돌로마이트 또는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충북 충주)인 것과 사문암(충남 예산과 경기도 동부)인 것으로 나뉨. 충주지역의 활석이 가장 순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생산량도 많다. 캠브리아기 돌로마이트를 모암으로한 열수변성광상으로 생성. • 형석광상의 주 분포지는 강원도 춘천-화천, 충남 금산지역, 충북 충주-제천 지역이고 열수교대광상(춘천-화천)과 석회암을 모암으로 한 열수충진맥광상(충주-제천)으로 대별. • 기타 비금속 광상으로는 납석, 비석(zeolite),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등이 있는데, 성인은 열수변성(납석), 열수교대작용(규석), 응회암의 속성작용(비석) 등 다양.
연료자원 분포1 • 석탄: 석탄층은 대부분 옥천변성대 내의 강릉-해남선을 따라 동북방향으로 분포한 구조선을 따라 분포. 그 밖의 지역으로는 충남탄전과 영일탄전 등이 있으며,가장 대규모 탄전은 태백지역에 있으며(지금은 대부분 폐광) 생산량은 남한 전체의 65%를 점유했음. • 주요 탄층으로는 고생대 후기의 평안누층군 장성층과 금천층(태백, 강릉, 정선, 영월, 문경 지역), 중생대 쥬라기의 대동누층군(충남 탄전, 문경탄전). 제3기층은 탄화도가 낮은 갈탄층(강원도 북평, 경북 영일)을 일부 포함.
연료자원 분포2 • 우라늄: 옥천변성대의 변성퇴적암층에 협재되어 있는 흑색 점판암층에 배태되어 있으나 품위가 낮아 경제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 • 탄화수소: 1970년대 이후 활발한 탐사가 황해 및 남해, 동해 남부 대륙붕 해역에서 실시되어 왔으며, 2004년 전반기 동해 남부 울릉분지 제3기 퇴적층으로부터 최초로 천연가스를 상업적으로 생산할 예정.
주요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1 • 2002년 현재 10대 생산 광종: 석회석(79.2%), 규석(5.6%), 고령토(4.1%), 납석(2.1%), 장석(1.9%), 규사(1.5%), 사문석(0.5%), 티타늄광(0.5%), 활석(0.4%), 철광(0.4%)의 순 • 예년에 비해 생산 규모는 큰 차이가 없으나 석회석의 비중이 다소 증가한 상태임. • 총 광물 생산액은 8조 1,914억원(미화 약 70억달러)이며 금속광물 생산액은 6조 7,154억원(약 58억 달러), 비금속광물 생산액은 1조 4,759억원(약 12억달러).
주요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2 • 장석, 고령토, 석회석, 규석 등을 포함한 시멘트 관련 광산물은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의 광종이고, 활석, 납석, 규사, 사문석, 운모를 포함한 내화물 관련 광산물은 감소하는 추세임. • 금과 은은 해남지역 은산광산의 맥상 금은광체에서의 생산활동으로 연간 금 168kg, 은 6,755kg의 생산을 기록했고, 철광석은 강원 영월 신예미철광의 재가동으로 월 13,000톤 수준의 철광을 생산하고 있음. • 무연탄은 1988년에는 24,295 천ton에 달했으나 생산량이 감소하여 2002년 3,318 천ton을 기록.
금속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1(2002년 매장량, 생산량, 자급률, 생산액) • 금: 5,509 천ton(사금: 2,864kg), 188kg, 0.15%, 3조 3,585 억원(수입광 2조 1,749 억원 포함) • 은: 7,119 천ton, 6.8ton, 3.23%, 2,370 억원 • 동: 2,270 천ton, 41 ton(1998), 3%(0%, 2002년), 8,227 억원 • 납: 18,667 천ton, 5,447 ton(2000), 3%(0.03%, 2002년), 1,481 억원 • 아연: - , 22,947 ton(2000), 1.5%(0.02%, 2002년), 3,361 억원
금속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2(2002년 매장량, 생산량, 자급률, 생산액) • 철(티타늄 포함): 33,480 천ton, 156,774 ton(티타늄 142,726 ton 별도), 0.36%, 1조 3,176 억원(티타늄 262 억원 별도) • 중석: 16,538 천ton, 2ton, 2.64% • 몰리브덴: 2,547 천ton, 0, 0%, 292 억원 • 주석, 947 천ton, 0, 0% • 기타 금속: 3,839 억원 • 대부분의 광물 생산량은 1990년 이후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
비금속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1(2002년 매장량, 생산량, 자급률, 생산액) • 석회석(대리석, 돌로마이트 포함): 5,788,670 천ton, 86,008 천ton(대리석: 74 천ton), 99.4%, 8,513 억원 • 규석: 1,131,302 천ton, 3,041 천ton, 100%, 670 억원 • 고령토(도석, 벤토나이트 포함): 81,619 천ton, 2,831 천ton, 92.1%, 1,204 억원 • 장석: 41,470 천ton, 416 천ton, 100%, 271 억원 • 활석: 7,823 천ton, 38 천ton, 33.4%, 163 억원 • 납석: 51,462 천ton, 890 천ton, 100%, 282 억원 • 규사: 6,842 천ton, 891 천ton, 41.5%, 534 억원
비금속광물자원 매장량과 생산현황2(2002년 매장량, 생산량, 자급률, 생산액) • 운모: 11,876 천ton, 30 천ton, 43.7%, • 사문석: 18,879 천ton, 283 천ton, 100%, 81 억원 • 규조토: 3,527 천ton, 21 천ton, 44.6%, 95 억원 • 비석(zeolite): 30,831 천ton, 149 천ton, 98.5%, 22 억원 • 인상 흑연: 2,595 천ton, 94 ton, 1.0% • 중정석: 842 천ton, 78 ton, 0.1% • 기타 비금속 생산액: 1,796억원 • 몇 개 광물을 제외하고는 수입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