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 likes | 841 Views
북한의 수력설비 현황과 현대화방안. 2008. 5. 30. 에너지사업처 백 두 현. 발표순서. Ⅰ.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Ⅱ.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Ⅲ. 북한 수력발전 설비현황. Ⅳ. 수력발전설비 현대화방안. Ⅰ. 우리나라 수자원현황. - 1 -. 우리나라 수자원현황. ( 단위 : 억㎥ / 년 ). - 2 -. 북한 수자원현황. 수자원 총량 1,408(100%). ( 단위 : 억㎥ / 년 ) ※ : 남한현황. ※1,276(100%). 하천 유출량 831(59%).
E N D
북한의 수력설비 현황과 현대화방안 2008. 5. 30 에너지사업처 백 두 현
발표순서 Ⅰ.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Ⅱ.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Ⅲ. 북한 수력발전 설비현황 Ⅳ. 수력발전설비 현대화방안
Ⅰ. 우리나라 수자원현황 - 1 -
우리나라 수자원현황 ( 단위 : 억㎥/년 ) - 2 -
북한 수자원현황 수자원 총량 1,408(100%) (단위 : 억㎥/년) ※ : 남한현황 ※1,276(100%) 하천 유출량 831(59%) 손실량 577(41%) ※731(57%) ※545(43%) 7~8월 유출 462(55.6%) 7~8월 유출 462(55.6%) 평상시 유출 369(44.4%) 생활용수 :10(9%) ※ 73(22%) 공업용수 :16(15%) ※ 29( 9%) 농업용수 :71(67%) ※158(48%) 유지용수 :10( 9%) ※ 71(21%) 총이용량 107(13%) 바다로 유실 724(87%) ※331(45%) ※400(55%) - 3 -
북한 수자원현황 • 북한의 수자원 부존량 : 831억㎥(수자원 총량의 59% 차지) • - 단위면적당 부존량 : 67.8만㎥/㎢ • 압록강 유역(206.8억㎥) 및 대동강 유역 • (149.3억㎥)이 북한 지역 총 부존량의 • 약 43%를 차지 • 도별 부존량 : 함경남도(125.4억㎥), • 자강도(125.3억㎥), 강원도(120억㎥) • - 단위면적당 부존량은 강원도가 104.3만㎥/㎢로 가장 많음 - 4 -
북한내 주요 하천유역 특성 - 5 -
Ⅱ.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 6 -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 사업초창기(1887~1910) • - 한성지역의 전차, 전등, 전화설비의 시설 • 및 운영권을 한성전기회사에서 소유 • 일제강점기(1910~1945) • - 조선총독부에서 3차례의 수력조사 실시 • - 북한지역을 중심으로 수력발전 개발 추진 • 전후복구기(1945~1970) • - 주로 북한의 허천강, 압록강 등에 수력발전소 건설 • - 8.15해방 직전, 전국발전설비용량(172.3만kW)중 북한이 87.6%를 차지 • - 6.25전쟁이후 중국과 구소련의 도움으로 해방당시 전력생산수준 회복 - 7 -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 화력발전 주력기(1970~1990) • - 경제규모의 확대에 따른 전력수요 • 증가로 전력사정 악화 시작 • -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을 사용할 수 • 있는 화력발전에 투자 집중 • 전력난 심화기(1990~1996) • - 발전설비 유지보수와 예비품 • 확보 곤란으로 전력난 심화 • - ’95년~’96년 연속적으로 발생한 대홍수로 석탄생산량은 현저히 감소 평양 화력발전소 전경 - 8 -
북한 수력발전 개발사 • 소형발전소 주력기(1996~2000) • - 석탄 생산량은 증가 없이 국제무역 • 제재로 전력난 가중 • - 전력난을 지역별로 해결하기 위해 • 소형발전소를 주로 건설 • 중대형 발전소 주력기(2001~현재) • - 1999년 이후부터 중대형 발전소를 • 건설하여 강, 하천의 종합적 활용 등 • 질적수준 제고에 주력 • - 김정일은 “중소형발전소를 많이 건설하는 것보다 전기를 1년내내 • 생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99.1.18, 노동신문) 강계청년 3호 발전소 - 9 -
Ⅲ.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황 - 10 -
우리나라 발전설비 현황 (2005년도 기준) ( ) : 건설중 - 11 -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황 - 12 -
북한 수력발전소 분포도 - 13 -
북한 수력발전설비의 문제점 • 설비노후화로 불안한 운전 • - 60년 이상된 설비 38% (’45이전 건설), 20년 이상된 설비 79% 차지 • 적정 유지관리 미시행으로 가동율 저하 • - 예비품 부족, 적기 유지보수 미시행 • - 신규설비 증설 미흡 • - 수력발전용 댐 토사 준설 미진 • 낮은 가동률로 인한 심각한 전력난 • → 시급한 현대화 필요 • - 600만㎾중 400만㎾ 이상이 가동정지 예상 • 산림의 무리한 채벌과 다락밭 시책으로 • 홍수에 의한 소수력발전소 피해 동북아시아의 밤 풍경 - 14 -
Ⅳ. 수력발전설비 현대화 방안 - 15 -
기 본 방 향 추 진 절 차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대화 방안 • 수력발전 설비 노후화 수준별, 단계별로 현대화 추진 • - 1단계 : 간단한 소모품 또는 윤활유 교체 등으로 조치 가능한 발전소 • - 2단계 : 경상보수 정도의 부품 교체로 조치 가능한 발전소 • - 3단계 : 전력계통 정상화를 위해 시급하고 중요한 발전소 • - 4단계 : 중고장 이상으로 중·장기 개·대체가 요구되는 발전소 ① 대상 발전소 우선순위 선정 ② 성능진단 실시 및 조사결과 분석 ③ 현대화 범위 결정·기본계획 수립 ④ 기본 및 실시설계 수행 ⑤ 설계·발주·감독, 건설사업 관리 ⑥ 준공시험 및 사업 준공 - 16 -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대화 방안 1. 성능진단 및 개·보수 • 단계별 현대화 범위 결정을 위한 성능진단 및 운영실태 조사 필요 • 노후 수력발전설비(200만 kW상당) 현대화 우선 추진 - 17 -
북한 수력발전소 전경 수풍 발전소 대동강 발전소 강계청년 1호 발전소 영원 발전소 - 18 -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대화 방안 2. 공사중인 수력발전소 건설지원 • 황해도 및 압록강 유역에 건설·계획중인 수력발전 지원 • - 태천2호(250㎿), 삼수(50㎿), 선군청년(60㎿), 림토(420㎿), 문악(420㎿) • - 사업비 50%를 지원하고 공사인부는 북측 인력을 지원 받는 형태 ※발전소 건설비용 산정은 기 공정을 50%로 가정하고 50%만 지원 - 19 -
북한 수력발전소 건설 전경 원산청년 발전소 건설현장 홍봉 발전소 건설현장 상원군민 발전소 건설현장 - 20 -
북한 수력발전설비 현대화 방안 3. 농촌 불 밝히기 사업 • ○○ 소수력발전소 건설 • - 황해북도 신평군 생양리주변 농촌지역 가정용 전원공급 • △△ 소수력발전소 (300kW×2대) 재개발 - 21 -
북한 수력발전 개발 가능량 향후계획 향후계획 • 총 포장수력 8,833㎿중 기 개발 6,130㎿, 잠재량 2,700㎿ 중 20%를 • 개발 가능량으로 산출할 경우 540㎿임 • 향후 대북사업 진출을 위해 국내 관련 산·학·연과 협력체계 구축 등 • 사전준비 필요 • - 공공기관 협력 • - 국내 연구 / 조사·설계기관 • - 국내 제조·건설업계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