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likes | 424 Views
Macrolide 내성. 다원환 lacton 과 당의 구조를 가진 항균제의 총칭 화학구조는 다르나 내성기전이 유사한 것 : MLS 항균제하 함 macrolide(M), lincomycin (L), Streptogramin (S) lincomycin (L): 일종의 proline 골격을 가진 염기성 화합물 Streptogramin (S) : peptide 항균제의 일종. 1. macrolide(M) 내성 세균의 출현 Macrolide 분자는 크기때문에 그람음성 세균의 외막을 투과하기 어려우므로
E N D
Macrolide 내성 다원환 lacton 과 당의 구조를 가진 항균제의 총칭 화학구조는 다르나 내성기전이 유사한 것 : MLS 항균제하 함 macrolide(M), lincomycin (L), Streptogramin (S) lincomycin (L): 일종의 proline 골격을 가진 염기성 화합물 Streptogramin (S) : peptide 항균제의 일종 1. macrolide(M) 내성 세균의 출현 Macrolide 분자는 크기때문에 그람음성 세균의 외막을 투과하기 어려우므로 이 세균들은 자연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항균 범위는 그람양성 세균과 일부의 그람음성 세균에 국한 예 ) Haemophilus, Legionella, Campylobacter및 beta –lactam 항균제에 자연 내성세균인 Mycoplasma, Chlamydia에 국한 Macrolide 는 ribosome 의 50S subunit 에 결합하여 단백합성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2. Macrolide 내성 세균의 분류 1) 구성형 Macrolide 내성 S. aureus 의 MLS 내성은 구성형이거나 유도형이다. 구성형 내성인 균주는 모든 Macrolide 내성일 뿐아니라 Lincosamide 와 streptogramin B 항균제에도 내성이다. 그러나 streptogramin A 에는 감수성이다. 2) 유도형 Macrolide 내성 S. aureus는 최소억제농도 이하의 erythromycin 또는 oleandomycin 에 노출된 후에야 고농도의 macrolide 가 함유된 배지에서 증식이 가능하다.
3. Macrolide 내성기전 • Macrolide 대한 내성기전 • Macrolide 표적 부위의 질적 변화 •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 • 항균제의 불활성화 • Macrolide 표적 부위의 질적 변화 • : 표적부위가 erm내성 유전자의 지배를 받아 질적으로 변화된 내성균이 많다. • 1976년-유도형 marcrolide 내성유전자 erm 이 plasmid pE194 에 존재함 • 1977년-S. aureus 의 plasmid 로 B. subtilis 를 형질전환 시킬 수 있음을 밝힘 • 1980,1982년- pE194 DNA 에 Taq 1 제한효소 를 작용시켜서 세가지 절편을 • 얻었고, 단편중 하나에서 macrolide 내성 유전자 ermC 가 있음 •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 • : 투과성 변화에는 약제가 세포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소위 투과성 저하로 • 인한 것과 들어간 약제를 어네지를 소모해서 적극적으로 세포외로 능동적으로 • 유출하는 2가지 기전이 있다.(유도적, 구성적) • ribosome 단백질의 변화가 투과성 저하에 관계하는 특이한 기전도 있다.
Tetracycline 내성 • Tetracycline 항균제 : chlortetracycline (1948) • Penicillin 보다 항균범위가 훨씬 넓고 경구투여가 가능하고 • 부작용도 적으므로 순식간에 널리 이용됨 • 1948년 냉동해둔 균주에서도 Tetracycline내성유전자를 가진 • plasmid 가 관찰됨 • 일본에서는 1952년에 내성균주가 출현 • 지금은 널리 쓰이지는 않으나, 야토병, lyme 병, • 발진티푸스를 치료하기 위해서 현재에도 이용됨 • Brucella 증 • 분류 : 인간-B. melitensis, 소유산균-B.abortus, • 돼지유산균-B. suis • 병원성 : 인축공통감염증 brucellosis(undulant fever ; 파상열 ) • 야토병 Francisella tularensis( 인축 공통감염증) • 병원성: 감염 야토에 접촉되거나 날고기 섭취등
Borrelia recurrentis(재귀열-Lyme병의 병원체 • Rickettsia prowazakii(발진티푸스-epidemic typhus) : 이를 통해 매개
Tetracycline 의 작용기전 • 단백합성을 저해하므로서 항균력을 발휘하며 정균성 항균제이다. • 이항균제는 세균의 30S ribosome subunit 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므로서 • Aminoacyl-Trna 와 ribosome A 부위가 결합하지 못하게 하여 • polypeptide 합성을 저해한다. • Cheleocardin 과 thiatetracycline 은 E. coli와 B. subitiis 에 • 대한 항균력이 강한데 이들은 ribosome 과 잘 결합하지 않음이 보고 되었다. • 2. Tetracycline 내성의 분류 • 내성기전: 막단백에 의한 에너지 의존성 유출, • 가용성 단백에 의한 ribosome 보호 • 효소에 의한 불활화 • 1980년-tetracycline 내성균에는 유출계가 있음 • 내성균주중 class A-G는 그람음성 세균, K-P는 그람양성 세균에서 주로 관찰 • 그람음성 세균의 tetracycline 내성 유전자는 거의가 plasmid 에서 관찰 • 그람양성 세균의 tetracycline 내성 유전자는 plasmid 뿐아니라 염색체에서도 •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