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 likes | 524 Views
전자정부 인프라로서의 전 자 정 부 통 합 망. 2004. 10 전자정부지원센터 전윤산 (yschun@gcc.go.kr). 목 차. I. 구 축 목 적 II. 구 성 요 소 연 계 정 책 연계 및 활용현황 정부기관 연결형태 향후 확대방향. 정부기관간 정보유통 및 공동활용.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전자정부기반제공. 인프라 공동활용으로 국가예산절감. I. 구 축 목 적. Our Customers. 국민 , 기업 , 공무원 , 외국 , Kiosk ….
E N D
전자정부 인프라로서의전 자 정 부 통 합 망 2004. 10 전자정부지원센터 전윤산 (yschun@gcc.go.kr)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목 차 I. 구 축 목 적 II. 구 성 요 소 • 연 계 정 책 • 연계 및 활용현황 • 정부기관 연결형태 • 향후 확대방향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정부기관간 정보유통 및 공동활용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전자정부기반제공 인프라 공동활용으로 국가예산절감 I. 구 축 목 적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Our Customers 국민, 기업, 공무원, 외국, Kiosk … Our Goal 열린전자정부, 변화와 혁신 … Information Sources DB, 공무원, 외국, SI, ISP, Internet … Network Technology Router, Switch, DWDM, Lines, IPv6 …… Policy Internetworking, Security, Charging, IP/Domain… II. 구 성 요 소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III. 연 계 정 책 (1) 내부망과 외부망의 이중망 구성 • 보안성 확보 및 가용성 극대화 • 내부망 :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및 헌법기관 연계 • 외부망 : 민간기관, 산하기관, 인터넷 등 연계 정부기관간 역할분담에 의한 망구축 • 전자정부지원센터 : 정부종합청사내 구내통신망(LAN)구축 • 종합청사, 거점, 16개 시도간 백본망 구축 • 입법부, 사법부, 중앙행정기관 연계 • 정부기관 전용 인터넷망 연계 • 중앙행정기관 : 구내통신망(LAN)구축 • 지방청, 소속기관 연계(WAN)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III. 연 계 정 책 (2) 보안성을 고려한 망 구성 • 전자정부통합망의 인터넷 접점을 종합청사 등 백본으로 일원화 • 연결기관은 백본을 경유, 타 정부기관과 정보유통, 인터넷 접속 • 종합청사에는 국정원 인증K4 등급 이상 장비로 보안구역 구성 • 인터넷 접점에는 GCC, 국정원 24시간*365일 이중 실시간 보안관제 정부기관 IP주소 및 도메인표준 • 정부기관 IP주소 및 도메인명 표준 제정(’95), 개정(’01) • 내부망은 정부기관 표준 IP주소 적용(사설IP주소, A Class 16개) • 정부기관 규모에 따라 B Class, C Class IP주소 할당 • 외부망의 B Class급 공인IP주소 확보 공동활용 (152.x.0.0/16)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 전국 23개 주요지역간 광전송망 구축 . 종합청사 (4) : 중앙, 중앙별관, 과천, 대전 . 지역거점 (3) : 영남, 호남, 인천 . 광역시도 (16) : 서울, 부산, … , 제주 - 광전송장비(DWDM, MSPP) 도입, 100% 지중광케이블 선로 구축 - DWDM+MSPP조합의 광전송망 구축 : 330G DWDM링*3, 2.5G MSPP링* 4 - 링(Ring)형 전송망 구축으로 무중단 전자정부서비스 기반 제공 : 광전송장비 및 광케이블 장애시에도 50ms 이내에 자동 절체 참고 : 전자정부통합망 전송망 전자정부서비스 전용 광전송망 구축 최신 광전송기술 적용으로 망 확장성 및 안정성 극대화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음성 + 화상 + 데이터서비스의 회선통합 참고 : 전자정부통합망의 서비스 통합 East 전화교환기 음성 (행정전화,소방) MSPP장비(2.5G) 2M*n 2M*n 화상 (영상회의 등) 카메라, 코덱 스위치 DWDM장비(330G) 1GE 데이터 라우터 45~155M West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참고 : 전자정부통합망 (데이터망) 백본 : 종합청사, 지역거점간 • 중앙, 과천, 대전, 별관청사 : 1G*3회선 • 중앙-인천거점 : 1G*2회선 • 대전-영남, 대전-호남 : 45M*2회선 백본과 연결기관간 • 중앙행정기관 : 2M~2G • 소속기관, 지방청 : 2~45M 정부전용 인터넷 용량 • 총 3개 ISP와 4.1G 연결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IV. 연계 및 활용현황 내부망 연계 및 활용현황 • 중앙행정기관 58, 지방자치단체 16, 헌법기관 6 등 80개 전 국가 • 주요기관 직접 연계완료(’99~) • 국가재정정보(NAFIS, 재경부),인사정책지원(PPSS, 인사위), • 국가예산관리(FIMSYS, 기예처)등 35개 기관 172개 국가주요업무 외부망의 연계 및 활용현황 • 인터넷, 공인인증기관, 금융권, 이통사 등 95개 기관 연게 • G4C(민원혁신 행자부),특허출원(특허청),국세정보(국세청)등 • 35개 기관 242개 대국민 전자정부서비스에 활용 중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V. 정부기관 연결형태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VI. 향후 확대방향 전자정부통합망의 IPv6 전환방안 검토 및 전화추진 • sTLA 급 이상의 IPv6 주소 확보 및 Kreonet2 등 국내 IPv6망과의 연게 • IPv6 DNS, 시범 홈페이지 등 조기구축으로 기술 노하우 축적 • 정부기관 IPv6 주소체계 제정 및 IPv4→IPv6로 무중단 전환계획 수립 • eNUM, 와이브로 등 신기술의 전자정부분야 적용 검토 및 시범서비스 참여정부의 전자정부로드맵 과제의 수용기반 확충 • 통합전산센터(05, 07)의 연계로 서비스 차원의 정보유통기반 정비 • G2G, G2B, G4C 등 다양한 로드맵과제의 추진에 따른 수요기반 확충 급증화, 악성화, 조직화 하는사이버위협에 대한 보안대응체계의 고도화 • 전자정부통합망의 실시간 보안관제, 대응체계의 지속적 고도화 • 전자정부법 등 법제도 정비, 국정원 등 관련기관과 정보공유 및 대응체계 강화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참고 : 전자정부통합망 운영센터 GONMC ( Government Network Managemet Center ) • 중앙, 중앙별관, 과천, 대전의 정부종합청사내에 위치 • 전자정부통합망의 전송망, 백본, 연결기관망의 24시간*365일 망관리 • 전송, 네트워크, 망관리서버, 운영지원 홈페이지 등 관리운영 GONIC ( Government Network Information Center ) • 정부기관 도메인명 및 IP주소 체계 제정 및 개정 • 전자정부 전용 DNS, WHOIS 등 망정보서비스 제공 GVPNC ( Government Virtual Pirvate Network Center ) • 정부기관 도메인명 및 IP주소 체계 제정 및 개정 • 전자정부 전용 DNS, WHOIS,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GISAC (Government Information Sharing & Ananysis Center) • 전자정부통합망 연결기관에 • 최신 보안위협정보, 보안취약점 등의 • 정보제공으로 보안침해사고 예방 • 보안침해사고 발생시 정보공유, • 공동대응, 긴급대응 • 국가정보원 사이버안전센터에 • 실시간 연계를 통한 • 전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 24시간*365일 실시간 모니터링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참고 : 네트워크 기반서비스 제공 대통령님 공직자와 온라인대화시스템 • 전 중앙행정기관의 사무관급 이상을 대상으로 대통령님의 말씀 영상을 송출 • Question) 500Kbps * 15,000명 = 요구 회선 용량은? 정부기관간 행정전화망에 VoIP 서비스 제공 • 중앙, 과천, 대전 종합청간 PBX간 E1*13회선(동시통화자 390명 가능) VoIP 구현 기타 정부기관 공통 기본서비스 • 전자문서유통, 행정전자서명(GPKI), 정부전자우편, 인사급여, 정부지식관리 등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방송서버 Multicast LAN Unicast Source Unicast X Non-Multicast LAN 1 Stream 전송 X X xDSL, Cable Modem ` 방송단말PC 방송서버 인코딩 서버 제한적 연결기관 청와대(K-TV) 2 2 2 L3 S/W GbE L3 S/W L4 S/W L4 S/W GbE GbE L2 S/W L2 S/W L2 S/W FE FE 정부기관망 분배서버 DB서버 웹 서버 R1 R2 R3 R4 (랙 1기로 구성) 랙 4기(방송서버 각 10대) 중앙행정부처/시도 내부망 정부고속망 외부망 공직자 온라인 대화시스템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참고 : 전자정부통합망의 보안체계 보안 역할 분담 해당기관 내부 보안위협 정부기관간 보안위협 인터넷으로부터 보안위협 네트 워크 계위 기관고유업무 (전자결재, 재정정보 등) 행정정보유통 (인사급여, 문서유통 등) 대국민서비스 (G4C, 홈페이지 등) 인터넷 해당기관망 내부망 외부망 날로 급증화, 악성화, 조직화되고 있는 사이버위협에 대비, 다단계 보호대책 적용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
감 사 합 니 다. Government Computer Center yschun@gc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