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likes | 549 Views
2010 년 중소기업청 해외마케팅 사업 안내. 2010. 8. 중소기업청. 목 차. Ⅰ. 2010 년 수출지원 정책방향. Ⅱ. 해외마케팅 사업 지원내용. Ⅰ. 2010 년 수출지원 정책방향. 중소기업의 글로벌 촉진활동. 신흥시장 및 FTA 체결. 국제협력을 활용한. 수출단계별 ( 초기 , 유망 , 중견 ). 국가 전략적 진출. 중소기업 위상 제고. 맞춤형 지원. 【 사례 】 ㈜ 오스템 임플란트, ’05년 수출기업화 선정 → ’09년 중소기업 졸업
E N D
2010년 중소기업청 해외마케팅 사업 안내 2010. 8 중소기업청
목 차 Ⅰ 2010년 수출지원 정책방향 Ⅱ 해외마케팅 사업 지원내용
Ⅰ. 2010년 수출지원 정책방향 중소기업의 글로벌 촉진활동 신흥시장 및 FTA 체결 국제협력을 활용한 수출단계별(초기,유망,중견) 국가 전략적 진출 중소기업 위상 제고 맞춤형 지원 【사례】 ㈜ 오스템 임플란트, ’05년 수출기업화 선정 → ’09년 중소기업 졸업 ☞ 수출 실적 : (’05) 20만불→ (’06) 430만불→ (’08) 24백만불 수출초보 기업 부터 글로벌 强小기업까지 성장 단계별 지원 100만불 수출실적 달성을 위해 교육, 바이어 발굴, 시장조사 지원 500만불 수출실적 달성을 위해 유망품목 개발, 전시회ㆍ인증, 해외네트워크 지원 * 5,000만불이상 수출기업 육성을 위한 전용 연구개발 및 수출금융 연계 추진 글로벌 시장 진출 인프라 확충 및 수출환경 변화 대응능력 제고 민간네트워크 지정확대를 통한 바이어 발굴, 기술제휴, 해외투자 타당성 조사 수출전략 품목 확대(31→52), FTA체결국 등 유망 시장 전시회ㆍ시개단 파견 확대 FTA체결국 시장동향 등 설명회 개최, 수출중소기업 대상 환관리 컨설팅 실시
1.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10년 230억, 1500개사 지원) 사업목적 내수 및 수출초보기업의 수출기업화를 통한 수출 중소기업 저변확대 지원대상 전년도 직수출실적이 100만불이하인 기업 지원내용 수출교육, 홍보용 디자인 개발, 바이어 연계 등을 지원 *1500만원한도(정부지원비율 90%) 신청방법 : 수출지원센터(www.exportcenter.go.kr)에서 온라인 접수
2. 수출 중소기업 육성 500프로그램(’10년 100개사 지원) 사업목적 100만불이하 성장잠재력이 있는 기업을 500만불이상 수출기업으로 육성 * 연도별 육성목표(개사, 누계) : ’09(100) → ’10(200) → ’11(350) 지원내용 : 성장단계별 맞춤형 해외마케팅 지원 1단계 : 수출기업화, 해외규격인증, 심층시장조사, 제품디자인개발 2단계 : 해외 규격인증, 전시회, 수출컨소시엄 및 인큐베이터, 글로벌 브랜드 * 1단계(100만불 도달시 최대 2년), 2단계(500만불 도달시 최대 3년) 신청방법 : 수출지원센터(www.exportcenter.go.kr)에서 온라인 접수
3.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10년 120억, 1,800개사 지원) 사업목적 수출 중소기업의 기술무역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해외규격 획득비용을 보조 지원내용 CE(유럽), NRTL(미국) 등 150개 및 제품인증 및 기타 규격인증 지원 * 정부지원비율 60%(동일년도 3개 인증까지 지원) 신청방법 : 수출지원센터(www.exportcenter.go.kr)에서 온라인 접수 * 연중수시신청·접수(9.30일까지) 및 연5회 선정
4. 무역촉진단 지원(’10년 99억, 2,300개사 지원) 사업목적 조합ㆍ단체 등 전문 업종 위주의 전시회, 시장개척단 파견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 지원대상 중소기업 협동조합, 업종별협회 및 수출유관기관 지원내용 업체당 10백만원 한도에서 부스임차료 등 공통 경비 지원 * 단체전시회 : 부스임차료, 장치비, 운송료 등 공통경비의 50% * 시장개척단 : 현지임차료, 바이어 섭외비 등 지원범위의 100% 신청방법 : 중소기업 전시포탈(www.sme-expo.go.kr)에서 온라인 접수
5. 중소기업 수출 전략품목 컨소시엄 지원 (’10년 30억, 23개 컨소시엄 지원) 사업목적 중소기업글로벌전략품목*을 선정하고 수출컨소시엄 **구성ㆍ운영을 통한 타깃시장 공동개척활동 지원 * 수출중소기업수, 수출비중 및 규모, 향후 성장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52개 선정 ** 컨소시엄당 15~20개 업체로 구성 지원대상 : 조합ㆍ협회 등 전략품목관련 주관단체 지원내용 컨소시엄의 타겟시장관련 해외마케팅 비용 지원(컨소시엄 당 1.5억 한도) * 사전준비(시장조사 등)·사후관리(바이어 초청 등) 단계는 70% 지원, * 현지활동(해외로드쇼, 수출상담회 등) 단계는 100% 지원 신청방법 : 중소기업 전시포탈(www.sme-expo.go.kr)에서 온라인 접수
6. 해외민간네트워크 활용 지원(’10년 54억, 300개사 지원) 사업목적 해외현지 한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현지 시장진출을 지원 * 현지 컨설팅사나 마케팅 회사 등을 민간네트워크로 지정(34개국, 115개사) 지원대상 : 해외진출계획이 있는 수출 중소기업 지원내용 수출, 해외투자, 기술제휴, 외국인 투자유치, 국제조달시장 진출에 대한 전문컨설팅 지원 * 진출 지역별(1,800~1,300만원), 수출실적별(70~50%)로 차등 지원 신청방법 : 중소기업 전시포탈(www.sme-expo.go.kr)에서 온라인 접수
7. 수출인큐베이터 입주 지원(’10년 67억, 257개사 지원) 사업목적 현지진출 희망 중소기업의 사무공간제공 및 경영애로 상담 지원 *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국가 및 거점별 운영(11개국, 17개소, 257개실) 지원대상 해외시장개척을 위하여 현지법인 또는 지사를 설립코자 하는중소기업 지원내용 사무실임차료, 현지 시장정보 제공, 법률․회계 컨설팅 등 지원 * 기자재 사용료, 회의실 사용 등 입주비용의 80%까지 지원 신청방법 : 수출인큐베이터 홈페이지(www.sbc-kbdc.com)에 온라인 접수
8. 중소기업 글로벌 브랜드 개발 지원 (’10년 33억, 60개 업체 지원) 사업목적 OEM방식의 중소기업 수출에 독자브랜드 개발지원하여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유도 지원대상 : 전년도 수출액 300만불 및 매출액 200억원이상 수출 중소기업 지원내용 시장조사, 브랜드 전략수립, 브랜드개발 및 해외마케팅을 패키지로 지원 * 브랜드 개발(6천만원, 정부지원 70%), 브랜드 개발 + 마케팅(1억원, 정부지원 50%) 신청방법 :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www.exportcenter.go.kr)에서 온라인접수
9. 중소기업 외국어 서비스 지원 (’10년 13.5억, 3,000개 업체 지원) 사업목적 무역관련 통번역 전문가*를 활용하여 수출계약, 바이어 상담 등 수출에 필요한 통ㆍ번역 서비스 지원 * 18개언어 100여명의 전문인력 보유 지원대상 : 전년도 수출액이 200만불이하인 중소기업 * 아랍어 등 특수언어권은 500만불이하 지원내용 수출서식, 무역ㆍ투자 계약서 번역 및 해외바이어 국내방문 통역 등을 지원 * 순수 통번역비용에 한하여 업체당 200만원까지 지원 신청방법 : 무역협회 외국어 지원센터(http://tradesos.kita.net)에서 온라인 신청(연중 수시접수)
10. 중소기업 수출 컨설팅 지원(’10년 10억, 700개사 지원) 사업목적 종합상사, 해외지사 근무 경험 있는 수출전문가를 통한 수출애로 상담 및 수출전략 수립을 지원 * 국가ㆍ품목별로 48개국, 484명(국내 376, 국외 108)의 전문인력 Pool 확보 지원대상 : 전년도 수출액이 200만불 이하인 중소기업 * 수출 전략컨설팅 사업은 500-500 프로그램 선정기업대상으로 지원 지원내용 관세환급, 수출통관및 대금회수 등 수출전반에 걸친 애로상담(100만원) 중소기업의 수출역량분석 및 중장기 수출전략 수립(50만원) 신청방법 : 온라인상에서(www.esnet.go.kr)에서 연중 수시 신청·접수
11.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교육 사업목적 중소기업 수출전문인력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출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온라인 수출의 활용도 제고 * 수출규모 세계 9위의 한국의 온라인 수출활용도는 20위권 후반 지원대상 : 중소기업 수출담당자 * 대학졸업 미취업자 및 무역경험 있는 퇴직인력 등도 교육대상에 포함 교육내용 온라인 수출마케팅 전략, 온라인 수출서식작성 및 제품 카탈로그 등록, 효과적인 키워드 설정 등 * 온라인을 통한 중국시장 진출, 수출제품 동영상 제작․등록방법, 모바일 및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법 등도 강의 신청방법 : 지방중소기업청(수출지원센터)로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