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973 Views
컨설턴트처럼 사고하고 실행하라 ! 요 약 본. 1 차시 . 문제해결형 사고기법 Introduction. 1. 문제해결 형 사고는 기존 사실 을 단순하게 재조합 하는 기계적 사고나 , 전체적인 관계 보다는 일부 사실이나 요소에 의존 하는 직감적 사고와는 달리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 를 논리적으로 재설정하여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미 알고 있는 솔루션에 대한 설득력을 높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를 말합니다. 문제해결 형 사고. 문제점. Problem Prototype.
E N D
컨설턴트처럼 사고하고 실행하라! 요 약 본
1차시. 문제해결형 사고기법 Introduction 1. 문제해결 형 사고는 기존 사실을 단순하게 재조합 하는 기계적 사고나, 전체적인 관계 보다는 일부 사실이나 요소에 의존하는 직감적 사고와는 달리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재설정하여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미 알고 있는 솔루션에 대한 설득력을 높임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를 말합니다. 문제해결 형 사고 문제점 Problem Prototype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재설정 Process ofThought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 이미 알고 있는 솔루션에 대한 설득력 높임 Solution 문제 해결
2차시. 로직트리의 개념 1. 로직트리(Logic tree)란, 주어진 문제 또는 과제에 대하여 서로 논리적 연관성이 있는 하부과제들을 나무 모양으로 전개하는 것 2. MECE란,상호 배타적이며 총합으로는 전체를 이루는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요소의 집합 3. 로직트리의 종류 MECE가 어떤 관계에 의해 구성 되었느냐에 따라 문제 해결의 각 단계별 목적에 따라
2차시. 로직트리의 개념 4. 로직트리의 역할 • 문제 해결의 각 단계에서 풀어야 하는 이슈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함. • 이를 기반으로 가설 설정, 가설의 검증을 위한 분석 방법, 정보 source, 담당자 선정 등 문제 해결 과정의 체계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 5. Logic/Issue Tree 작성상의 유의점 • 한 가지 과제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Logic/Issue Tree를 생각해 낼 수 있는 사고의 유연성이 필요 • 어떤 항목은 여러 단계까지 심도 있게 전개되는데, 다른 항목은 1~2 단계에서 막혀 버리거나, 동일한 語句가 각 항목마다 여러 번 반복될 경우에는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각도에서 시도해 보는 것이 효율적임. • Logic/Issue Tree의 충분한 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즉 문제 영역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서는 항상 타인에게 체크해 주기를 부탁해야 함.
3차시. 로직트리를 활용한 문제해결 1. 로직트리를 활용한 문제해결 문제해결의 과정은 로직트리의 연속적인 전개를 통하여 각 단계별로 가장 핵심적인 문제 분야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분석 계획 수립 및 세부 분석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로직트리를 활용한 문제해결 과정 What : 1차 로직트리 작성 ① 현상 진단용 체크 리스트 작성 ② 분석 계획 수립 ③ 집중 분석 이슈의 추출 Why : 2차 로직트리 작성 ① 집중 분석 이슈에 대한 추가 로직트리 작성 ② 해결과제 추출을 위한 분석 설계 ③ 핵심 해결 과제 추출 ④ 문제의 재정의 ⑤ 요인의 추정 : 로직트리에 의한 체크 리스트 ⑥ 요인 추출을 위한 분석 설계 ⑦ 핵심요인의 추출 How : 문제 해결을 위한 로직트리 작성 ① 문제 해결을 위한 Logic/Issue Tree 작성
4차시. 로직트리 활용 Framework 1. 일반적으로 어떤 과제를 수행하더라도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 중에 하나가 산업 환경 분석일 것이며, 이 경우 3C 분석의 framework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일견 단순해 보이지만 초기 분석의 틀을 잡는 데 유용함. 2. 산업 분석의 경우 Michael Porter의 five forces model은 흔히 쓰이는 framework으로 이것도 산업의 경쟁 dynamics를 분석하기 위한 다섯 가지 요소를 적시한 로직트리의 일종임. 산업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이 필요한데 분석 범위의 설정이 잘 떠오르지 않는 경우 참조할 수 있음. 외부 산업 환경 분석과 함께 대부분의 과제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부분 중에 자사 분석 또는 경쟁력 분석의 영역인데, 이를 기능구조나 프로세스 관점에서 분석할 때 value chain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3. 4. 성장전략은 모든 기업을 막론하고 중요한 theme중의 하나이며, 특히 성장 전략의 경우 다양한 사업분야 및 방법을 통한 다양한 방향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역량 평가가 중요하고도 그 방법과 범위가 복잡할 수 있음. 때로는 우리 회사 전반에 걸쳐 현재의 성과 뿐 아니라 전략 방향 및 운영 전반에 걸친 경쟁력은 물론 기업 문화까지 전체적인 관점에서 평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7S framework을 활용함으로써 진단의 범위를 생각할 수 있음. 특히, 큰 범위의 경영혁신이나 이와 관련된 기업 진단에 대한 과제일 경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5.
5차시. Pyramid 원리의 개념 1. 피라미드 원리는 로직트리를 토대로 한 세부 분석을 통하여 발견한 결과를 커뮤니케이션하는 데 필요한 논리 전개 방법이다. 즉, 피라미드 원리는 핵심 finding을 토대로 그 논거를 top-down 방식으로 종합하는 접근방식이다. 2. 피라미드 구조는 주요 논지를 우선으로 하여, 이를 주장하는 데 논거가 되는 하부 논거가 있고 이들 하부 논거에 근거 데이터가 있는 형태를 가진다 3. 피라미드 구조를 제대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명확성, 적절성, 완결성이라는 3가지 원칙이 필요하다. 이 원칙들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설득력을 높일 수 있고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Governing thought Governing thought 6차시. Pyramid 원리의 활용 1. 피라미드 구조의 종류 Argument Grouping 상황에 대한Comment Comment에 대한 시사점 상황 기술 Reason 1 Reason 2 Reason 3 (귀납적) (연역적) 상호 인과관계에 있는 논리 요소들을 연결하여 귀납적인 방법으로 주요 논지를 증명하는 방법 상호 병렬적인 관계에 있는 논리 요소들의 나열을 통하여 주요 논지를 증명하는 연역적 논리 전개 방법
6차시. Pyramid 원리의 활용 2. Grouping형 구조의 세 가지 Golden Rule Golden Rule 1 ‘목적/방향과 action’또는 ‘상황과 원인’의 구조를 만들 것 Golden Rule 2 하부 논리요소들은 같은 구조의 논리적 종류로 구성 할 것 Golden Rule 3 하부요소들은 적절한 순서대로 표현할 것
문제 정의 작업계획 수립 자료수집 세부 분석 건의안 설계 이슈 전개 7차시. 문제정의 1. 문제해결방법론은 문제 정의, 이슈 전개, 작업계획 수립, 자료수집, 세부 분석, 그리고 건의안의 설계라는 6단계로 구성된다. 2. 바람직한 문제의 정의는 해결할 문제점 혹은 이슈를 명확하게 서술했을 때 가능하다. 핵심 질문 혹은 신빙성이 높은 가설을 가지고, 일반적이지 않고 구체적이며, 명확한 내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실행 가능한 문제를 다루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의사결정자의 판단을 지원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면 문제를 바람직하게 정의한 것이다 3. 문제정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의사결정자, 의사결정자에 작용하는 주요 영향력, 한계 및 제약, 성공적인 노력을 위한 기준과 지표, 해결의 기간, 필요한 정확성이 있다.
8차시. 이슈전개 이슈 전개는 로직트리를 활용하여 진행한다.로직트리는 문제 해결의 각 단계별 목적에 따라 이슈트리와 가설 트리의 형태를 띠게 되며, 초기 이슈 전개 과정은 이슈트리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1. 이슈를 전개시킬 때는 혼자 보다는 전체 팀을 활용하고 이슈 세분화가 막히면 앞에서 뿐만 아니라 거꾸로 로직트리를 만들어 보도록 하고 복수의 로직트리를 시도해 보고 지속적으로 수정하며, 질문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틀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이슈 트리에서 비본질적 이슈의 제거는 부단한, 반복되는 정제 과정의 첫 단계로서, 보다 중요한 것에 주력하게 하고 힘든 작업과정에도 불구하고 보다 초점 있는 작업을 유도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3.
9차시. 작업계획수립 1. 가설 주도의 작업 계획은 각 세부 이슈별 가설 설정, 이들을 prove or disprove하기 위한 분석 설정, 분석에 필요한 source 선정, 책임자 선정의 구조로 되어 있다. 2. 가설 주도의 작업 계획 수립의 단계는 8단계를 거친다. 1단계에서는 이슈에 대해 브레인 스토밍하고, 2단계에서는 이슈를 세분화하며 3단계에서는 이슈와 질문을 리스트화하고 4단계에서는 각 이슈에 대해 가설을 설정한다. 5단계에서는 분석 내용을 정리하고, 6단계에서는 필요한 자료원을 명확히 하며, 7단계에서는 팀원에게 과업을 할당하고 최종 결과물과 기간을 명확히 하고, 마지막으로 8단계에서는 최종 지원 및 승인을 얻는다. 가설 지향적 사고란, 실제 정보 수집이나 분석 활동에 앞서, 그 과정이나 결과를 추정해 보는 사고이다. 이슈트리를 토대로 작업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가설 지향적 접근방법이 유효한 바, 이를 통하여 시간 낭비 최소화, 성공 확률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10차시. 자료수집 자료수집 및 분석의 단계는 활동 및 커뮤니케이션 수립, 모든 정보원의 정리, field research, 자료 관리 및 결과물 정리라는 4단계를 거친다 1. 인터뷰는 풍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원천이기 때문에 인터뷰를 위한 지침을 사전에 준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터뷰를 실시할 때는 반드시 목적을 밝히고 질문의 순서를 명확히 하며, 인터뷰에서 얻은 정보를 요약하고 확인하도록 한다. 2. 3.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관리하고 결과물을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료를 너무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와 자료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따라 자료 관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
11차시. 분석계획 1. 분석 계획에는 가설 지향 과 80:20 rule이 포함됨 - 가설지향(hypothesis driven) : 실제로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가설을 기술하는 storyline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blank chart를 작성함으로써 체계적이고 focus가 있는 분석을 할 수 있음 - 80:20 법칙: 전체적인 스토리라인 상에 핵심적인 분석에 초기에 집중함으로써 조기에 분석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 2. 분석 흐름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설 Story를 기술(記述)하고, 어떠한 분석을 수행할 것인가를 정리한 Story-board를 만들어 두는 것이 편리함. Blank Chart는 Story-board상에서 페이지별로 가설 메시지와 Supporting 도표의 윤곽을 이미지화 한 것 3. 최소한으로 필요한 분석의 정도는 support해야 하는 메시지의 성격 등 상황에 대한 판단과 함께, 비용, 가용 자원 등에 의해 결정됨. 분석은 가설(또는 메시지)을 제대로 support하기 위해 최소한의 필요수준에서 행하는 것임.
12차시. 분석실행 1. 분석 실행에는 사실 기반과 논리적 정합성이 포함됨 - 사실 기반 (fact based) : 분석 내용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실기반의 분석이 필수적임 - 논리적 정합성 (logical) : 분석내용이 가설을 확실하게 prove 또는 disprove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정합성이 뒷받침 되어야 함. 논리 전개의 원인 결과는 적절하게 구성 되어 있는지, 논리 요소 간 MECE 구조는 완벽한지에 관한 자명한 논리가 있어야 함 2. Fact-base란 전체의 사고 또는 활동의 출발점을 ‘사실(事實)’에 놓는 것으로 Zero-base에서 접근, 사실이 있는 현장을 직시, 정보의 최대한 정량화 라는 세 가지 포인트를 염두해 두어야 함. 3. 논리적 정합성은 가설 검증에 필요한 논리구조를 어떻게 잡느냐에 달려있음. 즉, 논리적 정합성은 분석의 기준을 무엇으로 잡느냐에 달려 있고, 분석의 기준은 많은 경우 MECE 구조의 논리에 근거하여 생각할 수 있음
13차시. 건의안 설계 1. 건의안을 도출할 때에는 제언 안들의 실행이 궁극적으로 가져오게 될 제반 효과 와 실행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들을 명확히 제시해야 하며, 제언안의 기회 분석을 위해 4단계 접근법을 활용함 2. 최적 건의안의 선정은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 를 고려할 수 있으며, 정성적인 평가는 논리적으로 예상되는 리스크 대비 예상 효익(benefit) 또는 예상 효과(impact)와 타당성(feasibility)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임. 이러한 논리적 체계하에 건의안의 성격에 따라 재무적인 분석을 통하여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등의 계산을 통하여 건의안을 평가할 수 있음. 3. 건의안 설계는 문제해결을 위한 분석 과정과 반대의 방식으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이를 support하기 위한 명제 설정 및 이에 대한 분석 내용 정리의 사고 과정 을 거치게 됨 4. 건의안을 합성하고 수립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째는 초기 분석을 통하여 제안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최종 대안들을 중심으로 back up 논리를 전개하는 피라미드 방식임
14차시. 메시지 구성1 1. 의사소통의 형태는 비공식미팅, 경영층과의 우연한 만남, 공식적인 프리젠테이션 등 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의사소통할 내용에는 항상 What, Why, How가 명쾌히 담겨 있어야 함 2.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는 개별 메시지의 유출, 메시지의 결정화(Crystallization) 완성이라는 관점에서의 체크, Package 구성이라는 4단계를 거침 3.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 중 첫번째 단계인 개별 메시지의 유출 에서는 기존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가설과는 다르거나 더 세부적인 부분의 finding 발견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별 finding을 여러 시각에서 깊이있게 고찰할 경우 기존의 가설 범위를 넘어선 의미 있는 메시지를 도출할 수 있음 4.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 중 두번째 단계인 메시지의 결정화에서는 도출한 개별 메시지를 묶어, 결국 무엇을 말할 수 있는지,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를 한층 더 높은 시각에서 생각함. 이를 위해 List-up, Grouping, Crystallization라는 메시지 정제의 프로세스를 거침.
15차시. 메시지 구성2 1.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는 개별 메시지의 유출, 메시지의 결정화(Crystallization) 완성이라는 관점에서의 체크, Package 구성이라는 4단계를 거침 2.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 중 세번째 단계인 완성이라는 관점에서의 체크에서는 개별메시지를 마지막으로 What, Why, How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지를 ‘완성’이라는 관점에서 확인하는 것임. 대안을 선정하거나 제시할 때 조건부 실행의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방의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함 3. 메시지의 기술 프로세스 중 마지막 단계인 Package에의 응용 에서는 모든 chunk의 메시지가 결정되었을 때 전체 Package를 구성함. 이 때 pyramid principle을 활용하게 됨. 구성원리에 있어 Story-line은 Argument형으로, 장 이하에서는 Grouping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효함
16차시. 차트의 기본구조 1. Presentation을 위한 자료는 정보 수집과 이슈 분석을 통해 전달할 메시지와 Support할 개별 챠트로 구성된다. 주제가 선정 된 후에는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선별 한 후 자료를 구성하여 메시지를 추출한 다음, 이에 대한 도표를 작성하고, 보고 챠트를 재확인하여 Presentation 자료를 완성한다. 2. 챠트의 기본 구성요소에는 메시지, 표 제목, 도표, 각주, 자료명, 쪽번호가 있다. 챠트의 기본 구성요소 이외에도 부표, 설명풍선, label 등과 같은 부수적인 구성 요소들도 경우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챠트 내 문장, 도표 등의 배치는 논리적 Structure를 가져야 한다. 챠트 디자인시에는 도표의 배치, 페이지의 활용, 그림의 사용, 순서의 고려, 칼라의 사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17차시. 챠트작성의 원칙 1. 챠트 작성의 기본 원칙은 ‘1 Page, 1 Message’로, 이는 전체 논리 구성에 따라 제시할 정보/자료의 범위를 정하고 메시지와 도표를 일체화 시키는 방법이다. 이 원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즉독성, 간결성, 소구성을 확보해야 한다. 2. 즉독성이란 도표의 시각화를 통해 의미하는 바를 신속, 정확하게 audience에게 전달,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쌍방이 같은 보조로 인식해 가도록 하는 것이다. 3. 간결성이란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에 초점을 두고 정보의 선택과 삭제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4. 소구성이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정확히 일치되는 도표의 형태를 적절히 구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18차시. 도표작성1 1. 통계 도표 유형 중에는 구성비 분석, 차이 분석 및 시계열 분석이 있다.
19차시. 도표작성2 1. 통계 도표 유형 중에는 구성비 분석, 차이 분석 및 시계열 분석 외에도 빈도분포 분석, 상관 관계 분석이 있다. 2. 빈도 분포 분석은 1개 요인, 2개 요인 및 기타의 분도 분포로 구분할 수 있다. 3.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正의 상관/負의 상관, 손익 분기점 분석, 상관 관계의 대비 및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4. 눈금을 표시할 때는 눈금의 수와 단위, 눈금의 절단 및 생략, 별도 눈금의 추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도표 내 구성 요소에 적절한 변화를 주기 위해 강조를 하거나 막대그래프에서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거나 반복하는 항목을 일원화시키거나 보조 설명을 추가할 수 있다.
20차시. 프리젠테이션 1. 프리젠테이션은 먼저 대상의 특성을 파악 한 후, 프리젠테이션의 스토리라인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의 내용을 준비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는 4단계를 거쳐 준비 한다 2. 프리젠테이션의 첫번째 단계는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여 프리젠테이션의 포맷을 결정하는 것이다. 대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계의 성격, 일반적인 태도, 선호 사항, 역할, 커뮤니케이션 에 대한 준비 상태, 예상되는 반응을 파악해야 한다. 대상에 대한 이러한 분석은 프리젠테이션 및 커뮤니케이션 양식, 지지 자료,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3. 스토리라인은 두괄식과 미괄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두괄식은 전략에 대한 결론을 먼저 개진하고 논거를 나중에 설명하는 방식이고, 미괄식은 그 반대로 결론을 나중에 제시하는 방식이다. 프로젝트 내용에 대한 지식이 많고, 의사결정자 등을 대상으로 프리젠테이션 할 때는 두괄식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지식, 경험이 더 필요한 실무진, 팀장 등이 대상 일때는 미괄식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한다. 4. presentation contents를 결정할 때는 전체 내용의 introduction, body, closing에 따른 구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5.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할 때는 시선, 자세, 움직임 등에 대해 유의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