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likes | 799 Views
▣ 국어의 역사 ( 계통 ).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 , 백제. 알타이어. ? ~ 통일신라. 고대국어. 신라어 백제. 남방 한계언어. 원시한어. 통일신라어. 고유명사표기 향찰. 마한 진한 변한.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현대국어. 훈민정음창제. 임진왜란. 개화기. 훈민정음 소학언해. 동명일긔 독립신문. 갑오경장 후 ~ 현재.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 (1894). 고려 건국 (918)~ 임진왜란 전 (10 세기 ~16 세기.
E N D
▣국어의 역사(계통)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백제 알타이어 ? ~ 통일신라 고대국어 신라어 백제 남방 한계언어 원시한어 통일신라어 고유명사표기 향찰 마한 진한 변한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현대국어 훈민정음창제 임진왜란 개화기 훈민정음 소학언해 동명일긔 독립신문 갑오경장 후 ~ 현재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 (1894) 고려 건국(918)~임진왜란 전(10세기~16세기
②고대의 국어 생활 (P17) 지배층 및 한학자(일반 백성이 아님) → 기록의 필요성, 지배의 편의, 국가 통치 체계의 정비를 위해 한자를 차용함.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선진 문명의 상징 → ‘한자 문화권’형성
2. 고대의 국어 생활 (P17) 2. 우리가 고대에 살았다면, 다음 경우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어떤 방법으로 표현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1) 인명(人名)과 지명(地名) 적기 ㉠인명: 한자의 음을 따서 적은 경우. *박종혁: 朴鍾爀*신라: 新羅 ㉡지명: 한자의 뜻을 따서 적은 경우 *안골: 內里*버들골: 柳里*새터: 新垈
2. 고대의 국어 생활 (P17) 2. 우리가 고대에 살았다면, 다음 경우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어떤 방법으로 표현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2) 노랫말 적기 :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적은 경우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羅義 薩多隱 故鄕隱 花皮隱 山骨, 복숭아 꽃 살구 꽃 아기 진달래 福崇亞 花 薩九 花 牙器 進達來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음독 - ‘소나’로 읽음 훈독 - ‘쇠내’로 읽음 (이후에 ‘금천’으로 읽는 방식으로 변함)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金(쇠 금 ) 川(내 천 ) 素(흴 소 ) 那(어찌 나 ) 훈(訓) 음(音)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음독 - ‘소나’로 읽음 훈독 - ‘쇠내’로 읽음 (이후에 ‘금천’으로 읽는 방식으로 변함)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素那 (흴 소, 어찌 나)’ = ‘金川(쇠 금, 내 천)’ → 다른 표기의 두 이름이 같은 사람이라고 전제함. → ‘소 = 쇠, 나 = 내’의 공통점을 발견함. → 당시에는 ‘소 = 쇠, 나 = 내’가 동일 발음이었을 것으로 추정함. → 동일인의 이름을 ‘음차’과 ‘훈차’의 두 방식으로 표기했음.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고유명사의 표기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만 빌려 오는 경우 예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素那’로 적고 그 음을 빌려옴 한자의 음을 버리고 의미만 빌려 오는 경우 예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金川’로 적고 그 뜻을 빌려옴
고유명사의 표기 – 고유어와 한자어와의 경쟁 (P18) 永同郡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음을 빌려 주제의 보조사 ‘은’표기-향찰의 표기상 특징을 잘 보여 줌 주제의 보조사 : 문장에서 주어를 강조하기보다는 주어의 행동, 상태 등을 강조하는 특수 조사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嫁(시집갈 가)’-고어에서 ‘얼다’의 의미로 뜻을 빌림 ‘密(비밀할 밀)’-고어에서 ‘그윽히’의 의미로 뜻을 빌림 ■ 密只 : 그윽히, 몰래 ■ 嫁良 : 정을 통하여, 결혼하여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뜻의 일부를 빌려 ‘-다’로 읽음 ■ 夜矣 : 밤에 ■ 卯乙 : 몰래 음의 일부를 빌려 ‘–고’로 읽음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 향찰 연습하기 ☞ 돌을 던지다. → 石乙 投多 ☞ 산이 높고 꽃이 예쁘다. → 山二 高古 花二 美多 ☞ 종혁이 까불지마. → 鍾赫以 可不之馬 ☞Maybe, I-neun ten years later, 先生主i doe-u it 훈 훈 음 훈 훈 훈 음 음 음음 eul gut gatda. 음 음음 아마도 나는 10년 후에 선생님이 되어 있을 것 같다.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향찰 ▣ 이 노래말을 기록한 표기 방식을 가리키는 명칭을 쓰시오. ▣ 이 글을 지은 서동은 ‘맛둥’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의 뜻은? 마를 파는 아이 ▣ 이 노래가 기록 문학으로 정착되기 이전의 형태인 구비 문학의 갈래는? 민요 참요(讖謠) ▣ 이 노래의 성격으로 알맞은 것은? ▣ 이 노래에서 뜻(訓)을 읽은 글자를 모두 찾아라.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 서동요의 표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향가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쓰였다. ② 우리말을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었다. ③ 우리말을 종합적으로 표기한 방식이다. ④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우리말을 표기했다. ⑤ 우리말 어순에 따라 한자를 나열해 문장을 만들었다. ▣ 서동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경 설화가 있다. ② 동요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③ ‘삼국사기’에 기록이 전한다. ④ 민요가 정착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⑤ 현재 전하는 향가 중 가장 오래 된 작품이다.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 서동요와 같은 형식의 향가로 알맞은 것은? ① 안민가 ② 모죽지랑가 ③ 헌화가 ④ 제망매가 ⑤ 처용가 ▣ 서동요와 관련된 설화를 보면 지은이는 이 노래를 통해 자신이 이루고 싶은 바를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어울리는 속담은? 말이 씨가 된다. 소망 ▣ 서동요의 내용으로 보아 이 글에 담긴 지은이의 심정은? 善 化 公 主 主 隱 ▣ 다음의 밑줄 친 기능과 가장 가까운 것은? 관형사형어미 목적격 조사 주격조사 ① 내 마음은 깊은 곳에 ② 과자는 절대로 안 먹어 ③ 그 곳에 나는 가고 싶어 ④ 너는 군인은 되지 말아라. ⑤ 내가 거기에 가지는 않겠다. ③ 주어 보격 활용 어미 뒤에 오는 보조사의 기능 (생략 가능)
학습활동(P25) 善化公主主隱을 현대국어로 풀어 보면 ‘선화 공주님은’이 된다. 이 구절을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主는 다른 방식으로 두 번 쓰였다. 이 중 어느 것이 음을 따온 것이며 어느 것이 뜻을 따온 것인지 말해 보자. 혼자하기 첫 번 째 主는 음을 딴 것이면 두 번 째 主는 뜻을 따기 위해 쓰인 글자입니다. 2. 隱의 기능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혼자하기 주제의 보조사 은을 나타내기 위해 隱의 음을 따온 것입니다.
학습활동(P25) 善化公主主隱을 현대국어로 풀어 보면 ‘선화 공주님은’이 된다. 이 구절을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3. 隱의 기능에 비추어 보아 이전 시기의 고유 명사 표기와 향찰 표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고유명사 표기 → 단순히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인명 명사나 지명 명사를 표기함. ■향찰 표기 → 조사, 어미 등의 (문법적 요소)까지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함으로써, 우리말 문장 전체를 더 (체계적)으로 표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