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모바일인터넷 구성 기술

Chapter 3. 3. 모바일인터넷 구성 기술. Ⅲ. 모바일 인터넷 구성 기술. INDEX.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1 WAP 1.1.2 ME 1.1.3 i-mode 1.2 Core Network 기술 1.2.1 IS-95 1.2.2 IS-136 1.2.3 GSM 1.2.4 GPRS 1.2.5 CDMA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1 Mobile IP 1.3.2 Wireless TCP

Download Presentation

모바일인터넷 구성 기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hapter 3 3 모바일인터넷 구성 기술

  2. Ⅲ. 모바일 인터넷 구성 기술 INDEX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1 WAP 1.1.2 ME 1.1.3 i-mode 1.2 Core Network 기술 1.2.1 IS-95 1.2.2 IS-1361.2.3 GSM 1.2.4 GPRS 1.2.5 CDMA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1 Mobile IP 1.3.2 Wireless TCP 1.3.3 MANET 1.4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1.4.1 Wireless LAN 1.4.2 Bluetooth 1.5 IPv6 1.5.1 IPv6 개요 1.5.2 IPv6 헤더 형식 1.5.3 IPv6 현황 3

  3. Ⅲ. 모바일 인터넷 구성 기술 INDEX 2. 하드웨어 기술 2.1 유선망 부분 2.1.1 유선망 개요 2.1.2 유선망 하드웨어 기술 2.2 무선망 부분 2.2.1 무선망 개요 2.2.2 무선망 하드웨어 기술 2.3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 2.3.1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의 개요 2.3.2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의 종류 2.3.3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의 발전방향 3

  4. Ⅲ. 모바일 인터넷 구성 기술 INDEX 3. 소프트웨어 기술 3.1 모바일 인터넷 운영체제 3.1.1 모바일 인터넷 운영체제 개요 3.1.2 모바일 인터넷 운영체제 특징 3.1.3 모바일 인터넷 운영체제 종류 3.2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 3.2.1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 개요 3.2.2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 요구사항 3.2.3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의 종류 3.2.4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의 도입효과 3.2.5 모바일 인터넷 플랫폼 표준화 3.3 모바일 인터넷 보안 3.3.1 모바일 인터넷 보안기술 개요 3.3.2 모바일 인터넷 보안기능 3.3.3 모바일 인터넷 보안기술의 종류 3.3.4 국외 모바일 인터넷 보안 서비스 동향 3.3.5 모바일 인터넷 보안기술의 발전방향 3

  5. 학습목표 INDEX 3 • 모바일 인터넷 구성 기술을 분류해 보자. • 네트워크 기술로써, 프로토콜 기술, Core Network 기술,이동성 관리 기술,근거리 네트워크 기술,IPv6로 분류해 보고, 각 기술의 개요 및 특성을 비교ᆞ분석해 본다. • 하드웨어 기술 부분에선 유선망, 무선망, 모바일 단말기로 분류하여각각의 기술적 개요와 발전 방향에 대해 토의해 본다. •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운영체제, 플랫폼 및 보안 기술에 대해학습하고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본다.

  6.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 1.1.1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1) WAP의 개요 • 모바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대한 국제 표준(WAP Forum) •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해서 인터넷상의 정보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는 통신 규약 이동 가입자 무선 교환망 WAP 게이트웨이 인터넷 및 콘텐츠 제공업체 WAP Proxy WML Web Server Binary WML 무선 네트워크 WML HTML WTA Server HTML Filter < WAP 네트워크 구성도>

  7. Internet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WAE) Other Services and Applications HTML JavaScript Wireless Session Layer(WSP) Wireless Transaction Layer(WTP) HTTP Wireless Security Layer(WTLS) TLS - SSL Wireless Transport Layer(WDP) HTML JavaScript Bearers : SMS USSD CSD IS-136 CDMA CDPD PDC-P Etc…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1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2) WAP 프로토콜의 구조

  8. < ME 네트워크의 구성도 >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2 ME (Mobile Explorer) (1) ME의 개요 - ME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유선인터넷을 접속하기 위해서 만든 접속 프로토콜 - WAP 게이트웨이가 할 일을 모바일 단말기내의 브라우저가 처리(게이트웨이 필요 없음)

  9. HTML / HTTP 100K ROM/ 20K RAM TCP / UDP 40K ROM/ 10K RAM + 2K/connection (Projected) IP PPP Non-trans RLP v.110 < MME Stack for Version 1.0 >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2 ME (Mobile Explorer) (2) 프로토콜 구조 - MME1.0은 기본 HTML/HTTP를 이용하여 기존에 제작되어 있는 유선인터넷 콘텐츠를 쉽게 무선으로 쓸 수 있는 환경 제공 RLP: Radio Link Protocol

  10.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2 ME (Mobile Explorer) (3) WAP 과 ME의 비교

  11. < i-mode 네트워크 구성도 >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3 i-mode (1) i-mode의 개요 - i-mode는 일본의 NTT DoCoMo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표준으로 시장 선점 차원에서 일본에서 개발한 프로토콜 - HTML/HTTP 방식과 HTML4.0을 약간 수정한 c-HTML(compact)를 사용

  12. 논리적 인터페이스 HTML HTML HTTP SSL SSL WTCP WTCP TCP HTTP IP IP IP 링크 계층 링크 계층 링크 계층 물리 계층 물리 계층 물리 계층 기타 유선네트워크 네트워크 무선 인터페이스 < i-Mode 프로토콜 스택 > 1. 네트워크 기술 1.1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1.1.3 i-mode (2) 프로토콜 기술 - 보안 목적으로 SSL (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과 함께 응용 계층에서 사용

  13. 1. 네트워크 기술 1.2 Core Network 기술 - 무선통신의 진화 1세대(’80) 2세대(’90) 2.5세대(’99~) 3세대 이후(’10~) 3세대(’01~)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 고속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인터넷 voice Voice, SMS ITS AMPS CDMA2000 CDMA(98A) 2010 9.6kbps 14.4kbps 144kbps video Pesonality Mobile Computer 인터넷 IMT 2000 (UMTS) CT2 CT3 95B 115kbps 2Mbps HS wireless Multimedia GSM GPRS/EDGE W-CDMA Mobile Mobile Access 54Mbps 802.11 802.11TGb 802.11TGa 무선 LAN 무선 LAN 무선 LAN 무선 1394 2Mbps 11Mbps 25Mbps >100Mbps Home RF Home RF 2Mbps 30Mbps 블루투스 1Mbps

  14. 1. 네트워크 기술 1.2 Core Network 기술 1.2.1 IS-95 기술 - IS-95는 CDMA 방식의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안 ( CDMA는 여러 사용자들이 한 개의 주파수를 나누어 사용하는 기법 ) - 사용자 신호를 유일한 코드 시퀀스로 변조  동시 접속시 발생하는 주파 방해 문제 해결 가능 1.2.2 IS-136 - IS-136은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통신 기술 -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로부터 두 단계의 진보를 거쳐서 이루어짐 - IS-136은 디지털 제어 채널과 디지털 음성 채널을 둘 다 포함

  15. 1. 네트워크 기술 1.2 Core Network 기술 1.2.3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GSM은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TDMA)의 통신 기술 - 종합정보통신망(ISDN)과의 연동을 중시 - GSM는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 단말기, 팩스, 랩탑 컴퓨터, 텔리텍스트 터미널 등에 직접 접속해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첨단 서비스가 가능 1.2.4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 이동전화의 고속 데이터 통신 규격 - W-CDMA로 이행하기 직전의 기술로 2.5세대 기술로 불림 - 데이터량에 따라 과금하는 패킷통신 방식을 채용

  16. 1. 네트워크 기술 1.2 Core Network 기술 1.2.5 CDMA (1) CDMA의 개요 - 미국의 퀄컴(Qualcomm)사가 주파수 대역확산기술을 응용하려 개발한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 여러 사용자가 사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 (2) CDMA2000 -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① CDMA2000의 장점 - 통화 수용량이 20배 이상 증가 - 고품질 통화서비스를 제공 - 보안성이 뛰어남 - 저전력 경량 단말기 사용이 가능 - 서비스 제공이 가능

  17. 1. 네트워크 기술 1.2 Core Network 기술 1.2.5 CDMA (2) CDMA2000 ② CDMA2000 특징 - IS-95 의 2배 속도인 144kbps 지원 - 동영상 서비스까지 비교적 자연스럽게 구현 가능 (3)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GSM을 기반으로 구축한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IMT-2000으로 채택한 비동기식 CDMA 기술 - 주요 제원 및 기능 •주파수 밴드 확장 : 2GHz의 주파수 •새로운 스펙트럼 : 5MHz / CDMA •새로운 기술 도입 및 음성, 데이터, 영상 서비스 구현 ※ W-CDMA 방식과 CDMA200 방식의 비교 –교재 참조

  18. 1. 네트워크 기술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1 Mobile IP (1) 모바일 IP 개요 - 단말기에 선 없이 연결하거나 이동하면서 인터넷을 접속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성 접속방식 - Mobile IP 주소를 적용시키면 어디에서나 IP를 변경하지 않아도 인터넷 서비스나 메일을 이용  고정된 IP와 고정된 라우터가 있어야만 통신이 가능했던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 - 현재 망에서 이동 노드가 어디에 있던지 관계 없이 IP 서비스를 제공

  19. HA(Home Agent) 통신 노드 터널링 인터넷 FA(Foreign Agent) FA(Foreign Agent) MN(Mobile Node) 1. 네트워크 기술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1 Mobile IP ※ 모바일 IP 개념도 ① 이동 노드 (MN: Mobile Node) ② 이동성 에이전트(Mobile Agent) : MN의 위치 정보를 관리 ③ 의탁 주소 (Care-of Address) : MN의 현재 접속점을 의미(FA)하는 것

  20. FA 1. Agent Advertisement 2. MN Registration Request Tunneling 2.FA Relays Request to HA HA 3. FA Relays Status to MH 3. Registration Response and Binding 5. HA Tunnels Data to the COA 6. FA de-Tunnel and Deliver Data to the MN 4. CN Send Data to MN Via Standard IP Routing < 모바일 IP의 동작 과정> 1. 네트워크 기술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1 Mobile IP (2) Mobile IP의 동작과정 - 이동 IP의 이동성 지원은 크게 에이전트 발견, 등록, 터널링 동작의 조합으로 설명 가능

  21. 1. 네트워크 기술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2 Wireless TCP - Wireless TCP는 전송속도 및 서비스 품질의 제고를 위해 TCP 전송 프로토콜을 무선망에 최적화 시킨 프로토콜 - 무선망의 높은 사용료와 낮은 전송속도 등의 장애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 - 유선망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무선망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다르게 취급하여 무선망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는 congestion control 알고리즘의 호출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현재 연구 개발 중 ※ Wireless TCP의 특징 ① 12개 알고리즘에 의한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 및 전송품질 향상 ② 2개 알고리즘에 의한 전송데이터의 압축 지원 ③ 기존 TCP 프로토콜과의 100% 호환성(Client 수정 불필요) ④ Clustering 및 Load Balancing 으로 망의 트래픽양 변화에 Flexible하게 대처

  22. 1. 네트워크 기술 1.3 이동성 관리 기술 1.3.3 MANET (Mobile Ad-hoc Network) - 인터넷 기반의 이동 Ad-hoc 기술을 독자적인 구성이 가능한 이동망 기반구조를 지원하는 기술 - MANET은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운용되도록 설계 ※ MANET과 일반 고정된 Hop 망과의 차이점 ① 동적 위상 ② 대역에 의한 제한, 가변 용량, 비대칭 가능 링크 ③ 에너지에 의해 제약을 받는 운용 ④ 무선 취약성과 제한된 물리적 보안 ※ 참고 사항 ) Ad-hoc 네트워크 - 각각의 단말기 기기들이 공간상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자신이 인식할 수 있는 반경 안의 모든 기기들을 모두 연결해서 네트워크화 하는 방식 - 각각의 기기들은 서버가 될 수 있고 허브가 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로도 될 수 있음

  23. 1. 네트워크 기술 1.4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1.4.1 Wireless LAN (1) Wireless LAN 개요 - 무선 형태의 LAN - 다양한 정보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LAN의 장점과 제약 없는 연결성 제공이라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무선통신 기술 (2) Wireless LAN 특징 - 일반 이동전화단말기가 발산하는 전력보다 낮은 저전력(low power) 사용 - 전 세계적으로 인정된 비허가 주파수 대역(license-free radio) 사용 ( 신호간섭이 존재하는 곳에서도 매우 수신강도가 강한 속성(very resilient reception attributes)을 가지는 대역확산기술(spread spectrum techniques)의 이용 ) (3) 전송방식 비교 - 협대역(Narrowband) 마이크로웨이브, 적외선(Infrared), 확산 대역(Spread Spectrum) 기술 기반

  24. 이어폰 복사기 노트북 캠코더 < PAN(Personal Area Network) 에서의 블루투스> 무선 키보드 PDA 1. 네트워크 기술 1.4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1.4.2 Bluetooth (1) 블루투스의 개요 - 블루투스(Bluetooth)는 두 개의 영어단위로 구성된 합성어로서 우리말로는 ‘푸른 이빨’이란 뜻 - 단거리(10m이내)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 규격 - PAN(Personal Area Network)에서 사용

  25. 1. 네트워크 기술 1.4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1.4.2 Bluetooth (2) 블루투스의 필요성 (3) 블루투스의 규격(1.0b) - 1Mbps의 전송 속도(실제 723Kbps) - 전송거리는 10 ~ 100m 까지 가능 - 통신방식은 간섭방지를 위하여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 - 저소비 전력(대기 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 - 변조 방식 :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 3 채널의 Voice 지원(A-Law PCM, u-Law PCM, CVSD) - Point-to-Point, Point-to-Multi 방식의 연결

  26. 1. 네트워크 기술 1.5 IPv6 (1) IPv6 개요 - Internet Protocol version 6로 현 IP 주소 체계인 IPv4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주소 체계

  27. 32 비트 버전 TC 플로우 레이블 페이로드 길이 다음 헤더 홉 경계 발신지 IP 주소(128비트) 수신지 IP 주소(128비트) 1. 네트워크 기술 1.5 IPv6 (2) IPv6 헤더 형식 - 패킷 처리에 대한 오버헤드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 IPv4의 헤더에 비해 명확하고 단순하게 구성 ※ IPv6 에서 변경 된 사항 ① 헤더를 40 byte의 고정 길이로 변경(확장 가능) ② 패킷 단편화(fragmentation) 관련 필드가 삭제 : 패킷을 중계하는 라우터들의 부하 감소 (3) IPv6 향후 - 프로토콜로의 변환은 큰 비용과 노력이 필요

  28. 서버1 BSC BTS 인터넷 서버2 IWF MSC BSC BTS 서버3 단말기 부분 무선망 부분 유선망 부분 < 모바일 인터넷 하드웨어 기술 구분 > 2. 하드웨어 기술 - 모바일 인터넷을 위한 하드웨어 기술은 유선망 부분, 무선망 부분 그리고 단말기 부분으로 나눔

  29. 2. 하드웨어 기술 2.1 유선망 부분 2.1.1 유선망 개요 - 모바일 인터넷에서는 기존의 인터넷 망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됨 2.1.2 유선망 하드웨어 기술 ① 네트워크 장비 기술 : 라우터, 스위치, 허브, 리피터 등 ② 서버 장비 기술 : 프록시, 방화벽, 웹 서버 등 2.2 무선망 부분 2.2.1 무선망 개요 - 이동통신망이라고 불리는 무선망은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 교환망부, 무선망부, 운용지원부로 구분 2.2.2 무선망 하드웨어 기술 ① 기지국 장치(BTS : Base Transceiver System) ② 기지국 제어장치(BSC : Base Station Controller) ③ 이동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④ 망 연동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30. 2. 하드웨어 기술 2.3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 2.3.1 모바일 단말기의 개요 (1) 모바일 단말기의 개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