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likes | 890 Views
성인간호학 및 실습 I. 교과목표. 1) 건강 , 질병에 대한 개념 이해 , 서술 및 정의 2) 성인 간호에 영향 미치는 요인 서술 3) 성인 간호대상자의 성장발달 단계별 특성과 주요 건강문제 이해 및 서술 4) 암 , 통증 , 수면장애 ,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 산 - 염기 불균형 등의 성인대상자 건강문제 이해 , 발견 및 해결방법 제시 5) 신장장애 , 피부장애 , 면역장애 성인대상자의 건강문제 이해 , 발견 및 해결방법 제시
E N D
교과목표 1) 건강, 질병에 대한 개념 이해, 서술 및 정의 2) 성인 간호에 영향 미치는 요인 서술 3) 성인 간호대상자의 성장발달 단계별 특성과 주요 건강문제 이해 및 서술 4) 암, 통증, 수면장애,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산-염기 불균형 등의 성인대상자 건강문제 이해, 발견 및 해결방법 제시 5) 신장장애, 피부장애, 면역장애 성인대상자의 건강문제 이해, 발견 및 해결방법 제시 6) 성인대상자의 간호중재를 정확히 판단, 결정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전문적 윤리의식 함양
주교재: 김조자 외 (2002) 성인간호학. 현문사 주제: 1. 통증 간호중재 (3/29) 2.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 (5/3) 3. 면역장애 (5/24) 주의사항: - Font size: 11, 줄간격: 200% - A4 용지로 5page이내 - 참고문헌 제시할 것 - 제출시기 늦어지면 감점(1일1점씩) 수업 교재 과제물
성적평가 • 중간고사: 40% • 기말고사: 40% • 보고서: 10% • 출결: 10% • 참고사항 - 결석 1일에 1점 감점 - 지각 3회는 결석 1회로 처리
인간의 성장 발달 • 신생아(생후 1개월) • 영아기(1개월-12개월) • 유아기(12개월-6세) • 학령기 • 청소년기 • 성인초기(18-39세) • 중년기(40-64세) • 노년기(65세 이상)
전체 인구와 인구 구성비 2001년 통계청
성인초기 (18-39세) 1. 신체적 발달 최대수준의 기능(20대 중반) -> 호흡, 순환기, 소화기계 기능 감소됨 모발, 피부변화 2. 사회심리적 발달 1) 발달과업 (1) 직업선택 질병, 사고-> 실직, 고용변화-> 제한적 건강관리, 실패감 여성의 역할갈등(육아)
(2) 배우자선택 환자의 생활, 안녕, 질병회복에 있어 배우자의 역할 (3) 부모됨의 선택 일상생활과 생활양식변화에 적응 (4) 생활의 선택과 가족 결혼과 가족구성의 다양화, 이혼 만성질환의 영향 3. 인지적 발달 - 성인초기는 높은 수준의 인지발달 4. 영적 발달 - 환자에게 특별한 의미
5. 건강증진 1) 영양 골다공증 예방,임신, 수유시 식이, 여성(철분) 만성질환에 따른 식이조절 (암,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병 등) 이상체중유지 생활습관에 따른 식이변화 사회의 가치관 반영 2) 운동 지속적, 규칙적 운동 필요(30분, 매주 3-4회)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조절
3) 휴식과 수면 기본적인 욕구 1일 6-8시간 숙면필요 부적절한 수면으로 인해 불안, 피로, 안절부절, 집중력결핍, 질병회복저하 초래 생활양식, 직업의 영향 고려 6. 건강위험요인 성인기의 사망원인: 자살 성적문제(성병, 임신) 물질남용(담배, 술, 약물)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질환, 외상
연령대별 사망원인 1위 (2003년 통계청) • 1-19세: 교통사고 • 20-39세: 자살 • 40대 이상: 암
중년기(40-64세) 1. 신체적발달 - 심맥관계변화(고혈압, 죽상경화증), - 활동과 대사저하(체중증가) - 폐의 탄력성 저하(만성호흡기질환), - 근육과 관절경직, 모발, 피부변화 - 수정체 조절력 감소, 폐경기, 골다공증, - 전립선비대, 성욕과 성적능력 감소
2. 사회심리적발달 역할전환에 대처, 노인부모 돌봄, 질환에 따른 개인과 가족의 적응 3. 인지적발달 학습능력과 기억력감소가 일어나지 않음 4. 영적 발달 질환은 영적 발달의 변화 초래
5. 건강증진 1) 영양: 균형잡힌 식사, 열량감소식이, 수분섭취, 칼슘섭취 2) 운동: 규칙적 운동(노화와 관련된 신체변화 감소) 3) 휴식과 수면: 6-8시간, 수면양상의 변화 6. 건강위험요인 중년기 성인의 사망원인 암: 폐, 직장, 유방, 자궁, 위, 간 등 만성질환: 당뇨, 관절염, 고혈압, 뇌졸중 등
-원인에 노출된 후 다양한 시점에서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서 장기간 지속, 이후 부분적 회복 - 비가역적인 병리적 상태 - 장기간의 감시, 관찰, 간호 필요 - 환자의 책임이 필요(자가간호) 관해기(remission), 악화기 만성질환(정의, 특성)
- 의학적 위기의 예방, 관리 - 증상조절, 치료요법 이행 - 타인과 정상적인 상호작용 유지 - 재발되는 질환양식에 적응 - 재정적문제 재조정 만성질환의 문제(p73)
한국인의 사망원인(2003년) 2003년 통계청
한국인의 사망원인 순위변화(1993-2003년) 2003년 통계청
우리나라의 연령별 만성질환 사망율 • 40대, 50대 :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 순위가 각각2위와 3위 • 60대, 70세 이상 : 뇌혈관 질환 사망률이 2위,, 당뇨병과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3위(2003년 통계청) • 65세 이상 노인의 87%가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음(보건사회연구원, 2003)
우리나라 만성질환 양상 • 유병율 증가: 95년 전국민의 30%, 2001년에는 46%, 60세 이상 인구의 80%가 만성병 •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허혈성 심질환, 고콜레스테롤 혈증, 관절염 등
고혈압 유병율-성별연령별, 30대이상 - 고혈압 기준 : 2회측정한 혈압의 평균이 수축기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이상 또는 검사당시 고혈압치료제복용자 <자료원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당뇨병 유병율-성별연령별, 30대이상 - 당뇨 기준 : 1)공복시 혈당치 126mg/dl 이상 2) 치료제복용 포함 : 공복혈당치126mg/dl이상이거나 검사당시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자료원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뇌졸중 유병율 <자료원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허혈성 심질환 유병율 <자료원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고콜레스테롤증 유병율-성별연령별, 30대이상 - 고콜레스테롤혈증 : 총콜레스테롤 240 mg/이상 <자료원 :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Primary prevention: 건강증진 • Secondary prevention:조기진단, 질병의 진행중지 • Tertiary prevention: 합병증 예방, • 최적기능 유지 만성질환의 예방(p73)
처방된 섭생에 대한 이행(compliance)과불이행(non-compliance) 영향요인 - 건강신념, 문화, 영적가치, 이해부족 - 수행의 어려움, 시간소요, 비용, 부작용 - 사회적지지 부족
재활 disability, handicap, impairment limitation, physically challenged 장애와 손상에 따른 목표지향적 재적응 과정 다학제적 관리: 간호사, 의사, 사회복지사, 직업상담가, 작업/물리치료사, 언어치료사 재활
- 장애의 최소화- 합병증 예방, 기형예방 - 재활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실행되도록 BOX 3-2 page 83자조집단(Self-help group) 간호사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