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1. 제조업 재고관리 형태

1. 제조업 재고관리 형태. 생산부. < 생산 활동 >. 제조. 자 재. 제 품. 경영. < 조달 활동 >. < 마케팅 활동 >. 구매. 판매. 자 금. 영업부. 자재 , 구매부. < 제조업 Cycle>. 설계 , 제도 , 치공구 설계 , 작업표준 설정등. 공정관리. 공정계획. < 자재창고 >. 조 립 계 획. 수 량 결 정. 자 재 발 주. 입고 보관 출고. 재고관리 기법으로 조정. 제품의 검 사 보 관 출 하. 기 업 목 표. 이 익 계 획.

Download Presentation

1. 제조업 재고관리 형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 제조업 재고관리 형태 생산부 <생산 활동> 제조 자 재 제 품 경영 <조달 활동> <마케팅 활동> 구매 판매 자 금 영업부 자재,구매부 <제조업 Cycle> 설계, 제도, 치공구 설계, 작업표준 설정등 공정관리 공정계획 <자재창고> 조 립 계 획 수 량 결 정 자 재 발 주 입고 보관 출고 재고관리 기법으로 조정 제품의 검 사 보 관 출 하 기 업 목 표 이 익 계 획 판 매 계 획 생 산 계 획 자 재 계 획 부 품 전 개 조 립 작 업 고 객 외주품 지 급 납 입 보 관 외 주 계 획 외주 수 결정 외주 품 결정 <제품창고> <자재창고> <생산흐름과 재고관리의 역할>

  2. 공 장 수입 구역 Rack 보관 구역 출하 구역 제 품 포 장 개별 포장 랙 보관 격 납 피 킹 A B C D E 자 동 대 기 트 럭 적 재 랙 보관 출고 품 확인 자 동 봉 인 기 파 레 트 로 드 바코드판독기 Sor t e r (1) 자재 재고관리의 특징 1) 계획적인 물류 재고관리가 이루어진다. <생산흐름과 재고관리의 역할> 2) 상시적정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현대는 유통의 각 단계에서 가능한 한 재고를 억제 - 최저 재고를 유지 - 이론적 재고량 산정 → 장래예측 → 변화상황에 대처 3) 취급하는 제(부)품의 Lot가 크고 Unit Load취급이 많다. 4) 각종 보관장소가 필요하다. (2) 제품 재고관리의 특징 1) 제조계획과의 연관성에 따른 적절한 작업 Scheduling 2) 창고 입출 작업의 Balance 제 품 창 고 배 송 스태커크레인 포크리프트 스태커크레인 팔레 타이저

  3. (3) 제조업 제품 창고 1) Rack의 격납 - 공장에서 컨베이어를 타고 온 골판지 상자를 자동 봉인, 광전 센서가 포장상 인쇄된 바코드를 읽는 다 - 골판지상자가 분기점에 다다르면 소터는 자동 랙 구역에 들어가는 것과 소량용을 구분한다 - 자동 랙 구역에 들어가는 것은 파레타이져, T11 그 외는 작업자가 품종별로 할당한다. 2) 출고와 오더 피킹 - 전산단말기 출고 리스트 상의 오-더 순서에 따라..스태커 크레인이..(대량) - 소량은 출고리스트를 참조하여 오더별로 흘린다. - 작업자에 의하여 각 출하 오더별 장치 장에 배분되고 출고 오더대기는 완료 3) 정보 처리 - 입고는 제조계획에 근거 계획 - 입고지시를 매일 그 익일 분에 대해서 입고리스트가 전산단말기상 출력… - 출고리스트는 품 번, 품명, 로케이션 코드, 오더별 작업순서를 지시 - 기계화 자동 랙에서 스태커 크레인의 입.출고작업은 모두 메인 컴퓨터 지시에 따라 자동처리 된다. 대량 ; 유니트 로드 소량 ; 인력하역으로 대응하고 조정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4. H 산업 재고관리 사례(제조 회사) • 회사 소개 • 고압세척기의 조립과 부품판매에 주력 • 주요 산업고객 : General Motors, Ford, Chrysler, Delta Airline • 자동 세척비 $3(세척기 이용, 수건, 세척제 등 제공) • 3년 동안 적자, 지난해 매출 $1,238,674 - 적자 $17,174 • 재고수준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현재 재고는 $124,324 • 사장, 판매책임자, 생산책임자, 구매 책임자 등 23명의 경영팀으로 구성 • 재고관리 시스템 • 창고관리자, 구매책임자, 생산책임자 중 누구라도 재고수준이 낮다고 통보만 하면 • 발주가 이루어진다. • 정확한 자재명세서가 작성되었고 생산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자재는 • 생산계획 전에 알려져 있다. • 창고 내부는 잘 배치되어 공급업자별로 품목들이 저장되어 있다. • 창고에서 일하는 2명중 1명은 소비자의 주문을 처리 • 많은 소비자들이 직접창고에 찾아와 필요한 부품과 지급품을 주문하며, 전화 주문은 • 주문 받은 날 바로 택배시스템으로 배송한다. • 제품을 조립하는 공장은 재고가 쌓여 있고 이 재고는 볼트, 너트 같은 매일 사용되는 • 가치가 적은 것들이며 구입비용은 그다지 많지 않다. • 생산 조립라인은 이런 부품이 부족할때가 있고 라인정지의 주요원인이 되기도 한다. • 판매시에는 매출전표에 부품번호와 판매량을 기록하여, 조립부서가 공장내에 • 저장되지 않은 부품이 필요하면 조립부서 직원이 창고에 가서 필요한 재료를 가지고 • 온다.(공장에서 필요한 부품에 대해 어떤 문서도 작성하지 않는다.) • 지난해 구입부품 종류는 971종 구매비용 $314,673,000(179종 $ 220,684,000) • 업자로부터 구입하는 부품은 제조업자, 도매 상인들이 항상 비축. • 재고 보충 5-7일 소요 • 새로운 재고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시오

  5. 2. 유통업 재고관리 형태 (1) 재고 관리전략의 특징 1) 정확한 예측이 어렵고 계획성을 가진 처리가 어렵다. - 무수한 소비자의 소비행동으로 인한 결과 -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 판매,구매계획에 Flexible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2) 관리대상품목이 다종다양하고 내용의 변화도 극심하다. - (제조업은 자사제품을 대상으로 한 자주관리가 가능) 다양한 제품 취급 -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취급한다”는 수직적 사고에서 탈피 - 판매정보를 조기에 파악하고 팔리는 것과 팔리지 않는 상품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네트워크를 구축 3) 물류센터에서는 보관도 하지만 흐름을 중시한다. - 메이커에서 상품을 구입 고객에게 원활하게 공급하면서 체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보관이란 속도가 ‘0’의 운반이라는 발상이 필요하다 ->흐름의 사고방식 -넣기 쉽고 꺼내기 쉬우면서도 물류 센터를 중심으로 레이아웃 4) 정보처리와 물류처리를 System으로 관계시켜 정확, 신속한 업무 추진을 꾀할 필요가 있다. (2) Center 1) 수주 System - QR - TDE - VN - LAN - 인터넷 2) Picking - 고회전품 처리 - 저회전품 피킹 3) 재고관리 4) 자동운임 지불 System

  6. 유통 기업 사례 연구 • 회사 소개 • 승용차 및 트럭의 조립(메이커의 제품 및 스페어 부품 판매 회사 • 5개 도에 30개 지점이 있고 수리회사, 다른 수리회사에 대한 부품을 도매 • 중앙창고를 두고 고객이나 지점에 대한 2차 유통을 하는 구입자재를 보관 • 자재의 발주 작업, 수주처리, 지점관리, 재고전표관리를 수작업으로 효율적으로 • 진행하고 있었으나 매년 30%성장으로 수작업으로 관리의 한계에 도달 • 메이커는 최근 완전히 형태가 다른 신제품을 도입하고 있고 이로인한 재고품의 • 품목 수는 2배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 • 창고의 저장품 수는 10,000여 개에 달하고 Catalogue상 취급수는 100,000여 개에 • 도달. • 10,000개 재고품 수 중에서 2,000개 1일당 주문 취급액의 80% • 재고관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발주시점, 발주량을 계산 • 1개 저장비용이 10,000원 이하 부품에 대해서는 발주점을 과거의 평균 3개월분 • 판매량으로 결정 • 재고량이 발주점 이하가 되면 확보된 재고량에 부가해서 발주점에 대한 양만큼 • Maker에 발주 • 10,000원 이상인 것은 3개월 분 발주를 하고 있으나 경제적 발주 시점, 발주량, • 안전 재고량 같은 계산은 하지 않고 있다. • <창고의 재고관리> • <고객 수주처리> • <창고의 작업관리> • <장표관리>

  7. <GE社 Virtual Inventory System 사례> 1. GE社는 가전제품을 대리점에게 판매 • 넓은 매장을 운영하는 대리점에게 혜택 • ← 주문을 트럭 단위로 대량주문하기 때문 • 중소규모 대리점에게는 불리 2. Direct Connect System을 도입 • 대리점은 매장에 전사모델만 보요 • → 24시간 주문시스템을 클릭, 재고확인 후 주문 → 익일 도착 • 가장 좋은 조건의 가격, 90일 무이자로 상품공급 혜택 • GE社의 모든 제품군을 취급하고 전체 판매의 50% 이상을 점유해야 한다. 3. 대금 지불은 EFT(Electronic Fund Transfer)를 이용 • 효과 • GE社 관리비 감소 • 판매실적의 정확한 파악 • 재고 보충 생산 → 수요에 의한 생산 4. 창고의 위치 단순화 • 미국내 24시간내 90% 배송할 수 있게 하였다. 출처 : P.Kotler and Armstrong, Principles of Maf=rketing, 8th, 1999, p., 37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