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likes | 264 Views
Oral health management based on a result of oral hygiene product of regular dental clinic visits of students in university Hye -Jung Shin, A -Rum Jung, Yu-Jin Kim, So-Ra Park, Yu-Mi Lee, Kun-Oak L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hod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troduction
E N D
Oral health management based on a result of oral hygiene productof regular dental clinic visits of students in universityHye-Jung Shin, A-RumJung, Yu-Jin Kim, So-Ra Park, Yu-Mi Lee, Kun-Oak Lim.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hod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troduction 구강은 신체기관 중에서 소화기관의 첫 번째 관문이다. 구강은 단지 인체를 구성하는 한 기관으로서가 아니라 음식물의 저작과 언어기 능은 물론 심미적 기능과 기타 부수적인 여러 가지 지능적인 면 까 지 영향을 끼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좌우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그러함에도, 구강질환은 직접적으로 생명과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잘 못 생각하여 소홀히 다루어져 온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를 위하여 치과의 정기적 내원의 유무에 따 라 대학생들의 구강위생용품사용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Material & Method 1.연구대상 2009년 5월1일부터 5월 31일까지 광주,전남지역의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자가기입 식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은 치과 정기적 내원의 유무로 그룹화하였다. (총 32문항) ① 일반적 특성 : 성별, 나이, 체중, 신장 ② 구강건강 및 습관 : 치과 방문 경험, 칫솔질 회수, 칫솔질 방법 교육유무, 사용 칫솔의 종류, 칫솔 교환 시기, 치실 사용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3. 자료 분석방법 치과의 정기적 내원 유무를 그룹화하여 카이제곱검정과t-test를 시행하였으며, SPSS program ver 12.0을 사용하였다. Results 치과의 정기적 내원 유무에 따른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신장, 체중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250명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27부로 분석 하였을 때 대학생들의 치과의 정기적 방문이 현저하게 내원을 하지 않는 사람 187명, 내원 하는 사람 39명, 무응답 1명으로 낮게 나왔다. 구강건강 상태를 비교해 보았을 때 정기적 내원 환자가56.4%로 양호하다 하였고, 22.8%가 나쁘다고 응답하였다.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정기적 내원을 받지 않는 그룹은 사용법을 잘 몰라서(9%), 구입의 어려움(9.5%), 불필요 성(32.9%), 비경제적(2.6%), 구강위생용품의 지식부족(18.0%),무응답(27.6%)의 이유로 정기적 내원을 받은 자 보다 설문의 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Table 1. 연구대상자의 구강위생용품 관리와 실태 Discussion 구강위생용품사용의 목적은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는 치면 세균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칫솔 질이 효율적이며, 그 외에도 각 개인에게 알맞은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강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 치과의 정기적 내원을 하는 그룹이 하지 않는 그룹보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가 19.6%로 높았다. 따라서 치과의 정기적 내원을 도모하여 구강위생용품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 점은 표본 집단이 일부 대학교 대학생들에게 한정되었다는 한계점이 있어, 향후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표본집단의 추출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onclusion 대학생 개개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하여 구강 보건 교육을 실시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의식을 높이고, 구강위생용품 사용률이 낮은 원인을 찾고, 구강위생용품을 이용해 구강건강을 지킬 수 있는 능력배양과 함께대학생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