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976 Views
종묘 생산 및 영양과 사료. 종묘 생산. 1. 자연 종묘 생산 : 자연산의 어린것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양식용 종묘로 이용하는 방법 직접 채묘하여 종묘로 이용하는 경우 인공종묘생산이 불가능한 수산생물 – 뱀장어 등 천연 종묘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경우 – 조개류 (1) 조개류의 종묘 생산 - 대부분 자연 채묘에 의해 종묘를 확보하여 양식에 이용 - 굴 , 피조개 등의 자연 채묘는 채모예보를 실시하여 종묘 확보. 자연종묘생산. 자연종묘 수집. 종묘 생산.
E N D
종묘 생산 1. 자연 종묘 생산 : 자연산의 어린것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양식용 종묘로 이용하는 방법 • 직접 채묘하여 종묘로 이용하는 경우 • 인공종묘생산이 불가능한 수산생물 – 뱀장어 등 • 천연 종묘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경우 – 조개류 (1) 조개류의 종묘 생산 - 대부분 자연 채묘에 의해 종묘를 확보하여 양식에 이용 - 굴, 피조개 등의 자연 채묘는채모예보를 실시하여 종묘 확보
자연종묘생산 자연종묘 수집
종묘 생산 - 부착 시기에 채묘기를 유생 최대 밀도 수층에 설치하여 부착 - 채묘 시설과 대상 생물
종묘 생산 (2) 어류의 종묘 생산 - 바다나 호수에서 자란 치어를 그물로 채포하여 종묘로 이용 → 자연 종묘 - 방어는 6-7월에 쓰시마 난류를 따라 북상하는 치어들이 떠다니는 모자반 등의 해조류 밑에 모이는 습성을 이용하여 이들을 그물로 채포하여 종묘로 이용 - 농어 등은 치어의 밀도가 높을 때 포획하여 종묘로 사용 - 숭어는 염전 저수지나 양어장 수문을 통해 들어온 치어를 채집하여 사용 - 뱀장어는 바다에서 부화하여 해류를 따라 부유 생활을 하면서 유생기를 지나고, 이른 봄에 담수를 찾아 드는것을 잡아 모아서 양식 종묘로 이용
종묘 생산 2. 인공 종묘 생산 : 양식한 어미 또는 채포한 자연산 어미로부터 채란, 부화, 유생기 사육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위적 관리를 통하여 종묘를 생산하는 방법 (1) 종묘 생산 시기의 조절로 계획적인 양식 가능 (장점) → 완전 양식 가능 (2) 관리나 시설 면에서 자연 채묘보다 어렵고 경비가 많이 든다. (단점)
인공종묘생산 성숙어를 수집 인위적으로 수정
어류의 성장 수정란 어미 어린새끼
영양과 사료 1. 사료에 필요한 주요 성분 :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무기염류, 비타민 등 (1) 양식 생물과 영양 공급 - 해조류 : 물 속에 녹아 있는 영양 염류를 흡수하여 성장 → 인위적 공급 불필요 - 굴, 피조개, 가리비 등 : 자연 발생의 먹이를 여과 섭식 → 인위적 공급 불필요 - 어류 및 새우류: 집약적 양식의 경우 → 영양과 사료의 공급 (경영의 대부분 차지)
영양과 사료 (2) 사료에 필요한 영양소
영양과 사료 2. 이용 가능한 사료의 원료 (1) 사료 원료의 구비 조건 - 양적으로 충분해야 한다. - 양식 동물이 필요로 하는 성분을 고루 갖출 것 - 변질되지 않는 신선한 것 (2) 사료의 원료 : 단백질 원료, 탄수화물 원료, 지방 원료 등 - 단백질 원료: 정어리 같이 가격이 낮은 어류, 수산물 가공에 나오는 부산물(머리, 내장, 뼈 등)과 잡어를 이용하여 만든 어분, 번데기,육분,콩깻묵을 비롯하여 기름 짠 찌꺼기, 효모 등의 이용
영양과 사료 - 탄수화물 원료 : 밀, 옥수수, 보리등의 곡물류 가루나 등겨 등의 이용 - 지방 원료 : 어유, 간유, 가축 기름, 식물유 등 각종 동.식물의 기름 이용, 기름은 공기 중의 산소와 쉽게 결합하여 유독하게 되므로 신선한 것 사용 → 항산화제 혼합 사용 - 소금과 무기물 등을 첨가 - 콩깻묵 등 식물성 단백질을 많이 사용시는 인이 부족되기 쉬우므로 인산염 첨가
영양과 사료 3. 사료의 형태 (1) 인공 사료의 가공시 주의할 사항 - 어류가 필요로 하는 성분을 골고루 갖출 것 - 물 속에 넣어 줄 때 사료가 허실되지 않을 것 - 흡수가 잘되어 성장이 잘되는 좋은 질과 알맞은 형태로 가공 - 장기 보존을 목적으로 가공 - 성장 단계에 따라 사료 입자의 크기가 입의 크기에 알맞게 가공
영양과 사료 (2) 사료의 분류
영양과 사료 (3) 건조 사료의 장점 - 영양적 가치를 대상 어종의 요구에 맞출 수 있다. - 수분 함량이 적으므로 제작, 공정, 보관에 경제적이다. - 자동 공급기에 의해 사료의 공급이 쉽다. (4) 양식 동물의 먹이 습성에 따라 여러 모양으로 가공 - 뱀장어 : 분말 사료를 반죽하여 공급 - 전복 : 해조류를 섞어 편평한 모양으로 가공 - 기타 대부분 : 알갱이 모양이나 원주 모양으로 가공
영양과 사료 4. 사료계수 (Feed Coefficient, FC) - 양식동물의 무게 1단위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사료의 무게 단위 - 양식동물에게 공급한 사료의 효율을 나타내는 기준 - 사료계수 = 사료공급량 / 증육량 - 증육량= 수확 시 중량 – 방양 시 중량 - 사료효율(%) = 1 / 사료계수 × 100 = 증육량/ 사료공급량 × 100
영양과 사료 예) 100kg의 잉어에 1000kg의 사료를 먹어 725kg으로 성장시켰을 때 사료계수와 사료효율은? - 사료계수 = 1000 / (725-100) = 1.6 - 사료효율 = 1 / 1.6 × 100 = 62.5% • 현재 시판되는 완전 균형 사료로 어류를 사육시에1.5 전후의 사료 계수를 나타낸다. • 사료 계수가 낮을수록 양식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사료 계수를 낮추기 위한 많은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지만 현재 1.5-2.0 정도가 많다.
영양과 사료 5. 사료 공급법 - 사료의 먹는 양은 양식 동물의 크기 및 수온, 용존 산소 등 수질에 따라 다르다. - 어류의 1일 사료 공급량 : 몸무게의 1-5% (보통 2-3%) - 뱀장어, 미꾸라지 등의 어린 치어기 : 10-20% 정도 - 사료의 섭취는 수질 (용존산소, 암모니아 등)의 영향이 크므로 좋은 수질 유지 노력 - 한번에 주는 먹이의 양 : 포식하는 양의 70-80%
영양과 사료 - 사료 효율을 높이고, 건강한 어류 양식을 위해서는 특히 치어기에 조금씩 자주 준다. - 수온 상승과 어류가 성장하면 먹이 주는 횟수와 시간이 중요 → 이른 아침과 해질 무렵에는 사료를 충분히 준다. - 어종에 따른 먹이 주는 횟수 * 송어, 메기, 뱀장어 등 : 1일 1회 공급 * 잉어 등 : 위가 없으므로 여러 번 나누어 준다.
Summary • 자연 종묘 생산 : 자연산의 어린 것을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양식용 종묘로 이용하는 방법 • 인공 종묘 생산 : 어미로부터 채란, 부화, 유생기 사육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위적 관리를 통하여 종묘를 생산하는 방법 • 인공 종묘 생산 과정 • 먹이 생물 배양 • 어미 확보 및 관리 • 채란, 수정, 부화 • 자어(유생) 사육
Summary • 사료의 원료 • 단백질 원료 : 저가 어류, 가공 부산물과 잡어 어분 등 • 탄수화물 원료 : 곡물류 가루, 등겨 등 • 지방 원료 : 각종 동.식물의 기름 • 사료계수와 사료 효율 • 사료계수 = 사료 공급량 / (수확시 중량–방양시 중량) • 사료효율 = 1/사료계수×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