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likes | 931 Views
태양에너지 이용기술. 태양에너지 자원의 특성 태양열의 이용 태양광발전. 태양에너지 자원의 특성. 지구상에 존재하는 깨끗하고 안전한 자원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음 태양 표면온도 : 5,500 C 태양복사에너지 : 가시광선 38%, 자외선 9%, 적외선 53%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우주로 재반사 : 30% 지표나 대기 중에 흡수 : 47% 물증발 , 광합성 : 23% 대기권에서 바람 등 기상변동 유발 : 0.5%
E N D
태양에너지 이용기술 • 태양에너지 자원의 특성 • 태양열의 이용 • 태양광발전
태양에너지 자원의 특성 • 지구상에 존재하는 깨끗하고 안전한 자원 •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음 • 태양 표면온도 : 5,500 C • 태양복사에너지 : 가시광선 38%, 자외선 9%, 적외선 53% • 지구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 우주로 재반사 : 30% • 지표나 대기 중에 흡수 : 47% • 물증발, 광합성 : 23% • 대기권에서 바람 등 기상변동 유발 : 0.5% • 태양상수 : 1.36 kW/m^2 (지구 공기층 밖에서 단위시간, 단위면적당 수직으로 들어오는 태양복사량) • 직사(직달)일사와 산란일사 : 총일사량
국내 일사량 조사자료 • 전국 연평균 하루 일사량 : 3,042 kcal/m^2 (3.537 kWh/m^2) • 대기오염이 심한 서울, 수원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낮은 일사량 • 해안지방의 일사량 조건이 대체로 양호 • 월평균은 5월의 일사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청주 : 연평균 3,044 kcal/m^2봄 : 3,778 kcal/m^2여름 : 3,745 kcal/m^2가을 : 2,652 kcal/m^2겨율 : 2,000 kcal/m^2 • 대기의 청명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태양열의 이용 •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전체에너지의 ¼정도가 저온 가열이나 냉방을 위해 이용되며 상당부분이 건물의 냉난방에 이용 • 유리온실 • 유리는 파장이 0.3~3 um범위에서 복사에 대한 높은 반사 효율 • 유리를 통과한 후 온실안에서 파장이 증가하여 내부에서 산란, 회절로 인해 에너지가 온도상승에 기여 • 열전달방법에 따른 구분 • 강제순환적 열전달 : 설비형 (active solar thermal system) • 비기계적 열전달 : 자연형(passive solar thermal system) • 공업용 태양열 온수시스템 • 보다 높은 온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집광기(렌즈)를 활용 • 극히 제한된 경우에만 이용
태양열의 이용(계속) • 태양열 온수 : 난방 보다는 급탕용으로 활용 • 태양열 온수시스템의 작동원리 • 소용량(가정용) : 축열탱크는 상부에 집열기는 하부에 설치,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서 온수가 탱크에 저장 • 대용량 : 집열된 열을 축열탱크로 강제순환, 온수는 배관을 통해 사용됨. 집열량이 부족한 경우 심야전기 등을 보조열원으로 이용 • 시스템의 구성 • 집열부(집열기) : 평판형, 진공관형, 혼합형 • 축열부(축열탱크) : 소용량, 2중자켓형, 열매체 축열식, 판튜브형 • 이용부 : 배관, 보온, 열교환기, 각종 밸브 및 제어장치, 지지 구조물 • 개략적인 규모 산정 • 소용량 : 4-5인 가정용 : 일일 온수사용량을 기준 (180-300리터) • 사계절이 있는 경우 동절기를 기준으로 설정하면 하절기의 과열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집열면적 • 집열면적 • 축열용량, 일사량, 집열효율 등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 축열용량 : 253 L * 50 C = 12,650 kcal/day일사량 : 일평균 3,000kcal/m^2집열 효율을 70%= 12,650 /3,000 /0.7 = 6 m^2
집열부의 구조
소형 태양열 온수기의 구성도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건조장치 • 곡물 건조 등에 활용 • 기본 원리 • 투명한 피복재료 • 집열부분은 어두운 또는 흑색으로 • 바닥은 단열처리 • 공기의 유입과 유출 : 습공기를 배출되고 외기의 건공기가 유입
곡물건조장치 • 직접 적용법
직접방식의 장단점 • 장점 • 시설비가 낮다 • 유지관리비가 저렴 • 연료가 이용되지 않는다 • 일부의 경우 건조시간이 짧다 • 단점 • 외기 조건에 노출 • 과다 건조 또는 과열의 위험성 • 건조 대상물질의 물질 변형이 가능
간접방식의 장단점 • 장점 • 고열에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르는 위험성이 낮다 • 자외선 등에 노출되지 않는다 (변색, 물질 변형 등이 없음) • 단점 • 건조대상 물질이 엉킬 수 있다 • 하부의 더운공기가 위로 상승하면서 상부에서는 건조가 불량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Solar photovoltaic conversion) • 광전효과 : 전해질에 담근 전극 사이에서 재료들이 빛을 받을 때 혹은 셀레늄과 같은 고체에서도 작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현상 (photovoltaic effect) • 태양전지 : • 태양열전지 :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 태양광전지 :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광 다이오드의 역) • 초기 전환효율 : 1~2% • 이후 4% 대에서 현재 10%의 효율 수준에 이름 • 태양전지의 장점 • 교체 부분이 없어 유지비가 저렴 • 무공해 청정에너지생산 • 내구성이 우수 • 전기공급이 되지 않는 원격지에서 활용가능 • 실리콘으로 제작
태양발전 비용 • 연도 발전단가 • 1973년 : $7.5/kWh • 1983년 : $0.65/kWh • 1997년 : $0.18~0.25/kWh • 일본 2005년까지의 목표 • 발전단가 : 144-240원/kWh • 태양전지 : 140-250원/W • 태양전지의 종류 • 결정질 실리콘 : 단결정은 효율이 높으나 생산비용이 높으며, 다결정은 저효율인 반면 생산단가가 낮다 (최대 35%, 19% 예측) • 비결정질 실리콘 : 10%이상의 효율 • 기타 (GaAs, CdTe 등)
개략적인 설치 발전량 : 100W/m^2 솔라판넬 상품(대체에너지 일반 포함) 관련 정보http://www.mrsolar.com(판매상품 사례)32W 판넬 (0.6 m2: 1.43m x 0.42 m) : $250 (30만원, $1:1200원)160W (2.5m^2) : $690 (828,000원)* 소요 태양광발전 시스템 견적: (위도가 비슷한 Virginia 선택)http://www.mrsolar.com/sizing.htm
태양전지 소요면적 계산 : • 발전량일사량(W/m^2) * 전지면적(m^2) *전지효율(%)*조사시간(h) • 일사량 : 약 1kW/m^2 (청명한 날) • 전지효율 : 약 10% 내외 • 조사시간 : 흐린날 등 고려 연 평균 하루에 3~4시간 (3.84시간) • 1 m^2 당 전력생산 : 1kW/m^2 * 1 m^2 * 0.1 * 3.84 hr/day= 0.38 kWh/m^2 • 하루 12 kwh 전기 소모하는 가정인 경우12 / 0.38 = 31.6 m^2 • 직류에서 교류 전환과정에서의 손실 : 30% 수준 • 31.6 /0.7 = 45.1 => 50 m^2
태양전지의 수명 • 25~30년 • 발전부위가 실리콘이므로 반영구적이나 • 실제로 조립하는데 유리, 알루미늄, 접착제 등의 수명이 30년 내외 • 태양광 발전의 종류 • 계통연계형 : 한전 계통선과 연계시켜 낮에 발전되는 전력 가운데 일부는 소비하고 잉여전력은 계통선으로 보내며, 야간이나 흐린 날에는 전기를 받아서 쓴다. 1999년 현재 1 가정 규모(3kW)로 4000만원 정도 예산 • 독립형 : 계통선으로부터 전기의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생산/소비3kW규모에서 축전지의 비용으로 약 5000만원 정도 예산
소수력 발전 • 수력발전의 분류 • 초소형 수력발전 : 100kW 이하 • 소수력발전 : 100kW ~ 10 MW • 일반(대형) 수력발전 : 10 MW • 국내에서는 3000kW 이하의 경우 소수력으로 분류 • 수력발전의 특징 • 값싼 재생에너지원 • 초소형 또는 소수력의 경우 발전단가 면에서 불리한 상황으로 전개 • 수자원 및 수문예측과 관련된 기술발전으로 경쟁력이 점차 강화 • 환경영향이 있으나 사전 관리로 극복이 가능 • 소수력의 경우 분산형 발전시스템으로 적용성이 있음 • 풍력 등에 비해서 비교적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음
국내 소수력 자원 • 자원량 : 582,000kW • 개발가능량 : 147,000kW • 현재 개발량 : 31,920kW • 발전소 수 : 16 (소수력) • 여건 • 소수력 발전의 입지가 자연낙차가 크지 않아 이에 맞는 계획요구 • 저낙차용 수차의 개발이 시급 • 국내 소수력발전소의 평균설비용량은 약 2000kW이고 대부분 낙차가 큰 곳에 위치 • 양수발전 • 하부저수지와 상부저수지를 만들어 주간에 전력의 수요가 많을 때 상부저수지의 물로 보통의 수력발전 • 사용한 물은 하부 저수지에 저장해 두었다가 야간이나 휴일과 같이 전력이 남아돌 때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상부저수지로 퍼올림 • 상부에 물을 올릴때 수차는 펌프로, 발전기는 모터로 역이용 가능
발전단가의 비교 (cents/kWh) • 분 류 1995 2020 • 화석연료 대형/중앙집중식 4~6 • 화석연료 소규모분산형 8~12 • 대규모 수력 3~13 2.6~11.2 • 소수력 4~14 3.6~10.1 • 조력 6.7~17.2 6.1~11 • 풍력 5~9.8 2.5~7.3 • 태양열 20~24 8~10 • 태양광발전 21~29 8~22 • 지열 5~8 5~7
(소)수력발전에서의 가용 에너지 • 유량 * 수두 • 낙차 • 0.61 m 이하의 수두는 적용 불가 • 낙차가 적은 경우 유량으로 보상될 수 있으나 고가(대용량)의 터어빈이 요구 • 총수두 : 터어빈 방류구와 유입구사이의 수두 • 순수두 : 총수두에서 관내 마찰손실 등을 제외한 수두 • 일반적으로 저수두, 저속의 터어빈의 효율이 고수두, 고속의 터어빈에 비해 낮다 • 따라서 저수두, 저속의 터어빈 제품은 찾기 어려움 • 발전효율은 대체로 40~70% 수준, 평균적으로 55% 수준 • 동력계산 • 총수두(m) * 유량(cms) * 효율 * 9,81 : kW • 예) 수두 : 15 m, 유량 : 0.02 cms, 효율 : 55% => 1.62 kW
터어빈의 종류 • 프란시스 수차 (Francis turbine)물의 압력을 이용하는 형식대부분의 수력발전에 이용 • 펠톤 수차 (Pelton turbine)낙차가 큰 곳에서 물의 분출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 • 카플란 수차 (Kaplan turbine)반동형 수차, 운동에너지와 압력에너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수차프로펠러식과 유사한 낙차범위에서 사용유량과 낙차의 변화가 많은 수력발전소에서 안정적으로 운전가능우리나라 소수력발전소에 적용하기 유리
수차의 비속도 (specific speed) : Ns • 단위낙차 1m 위치에서 단위출력 1kW를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1분간의 회전수 • Ns = NP1/2/He5/4 N : 수차의 정격 회전속도 (rpm) He : 유효낙차 P : 낙차 He에서의 수차의 정격 출력 (kW) • 수차의 형식과 적용낙차 • 수차의 형식 적용낙차(m) 비속도 펠톤 150~800 12~23 (< 4300/(He+195)+13) 프란시스 40 ~ 500 65~350 (< 2100/(He+25) +35) 카플란 5 ~ 80 350~800 (Ns 는 21000/(He+17) +35 이하)
예제) • 유효낙차가 300m이고, 유효출력이 2400kW, 정격회전속도가 640rpm의 수차의 비속도와 적합한 수차를 결정하라 He = 300m, P = 2400kW, N = 640 rpm Ns = 25.1 펠톤 : 4300/(300+195)+13 = 21.7 : 25.1보다 작으므로 곤란 프란시스 : 2100/(300+25)+35 = 41.5 : 25.1보다 크므로 적정
소수력발전 계획 • 수문, 가용 수자원의 평가 : • 평균 낙차, • 유량 (시간 vs. 유량) • 유량자료가 없는 경우 강수량을 이용하여 추정 • 적정 수차의 선정 : 소수력의 경우 프로펠러 또는 카플란식이 적합 • 비속도 계산 • 적정 터어빈의 결정 • 생산된 전력의 소비 또는 판매 방법 • 인접 지역에서의 소비 • 또는 한전계통으로 판매 • 경제성 분석 • 시설비용 • 토목건설비용 • 기타 부대시설 • 전력판매량
소수력개발을 위한 검토사항 • 후보지 결정 • 법적 적합성 여부 • 날짜와 월별실적 평균 방류량에 의한 이론출력 산출 • 후보지의 경제성과 주위환경 등 입지여건 파악 • 유효낙차 결정 • 과거 10년간 일편균수위 분석 • 손실수두 산정 • 설계수위, 평균수위 및 정격수위 산정 • 사용수량 결정 • 유입량 및 방류량 분석 • 저수지 모의 운영 • 수문자료와 하류 용수공급 검토 • 시설용량 결정 • 발전사용수량 및 정격낙차 결정 • 수차형식 및 댓수 결정 • 수차발전기 효율을 적용 최적 시설용량 계산
연간경비 산정 • 산정기준 설정 • 총사업비 산정 • 연간경비 산정 • 연간수익 산정 • 연간 발전량 산정 • 소수력 구입단가 적용 • 연간 수익 산정 • B/C 분석 • 발전원가 계산 • B/C계산
http://www.solarelectric.com/products/level3_43.htm(마이크로 터어빈) Head range: 20 to 600 feet ·Flow Range: 4 to 250 GPM ·Maximum 12 Volt Power: 700 Watts ·Maximum 24 Volt Power: 1400 Watts ·Maximum 48 Volt Power: 2500 Watts (with additional fan) Head range: 5 to 200 feet ·Flow range: 40 to 400 GPM ·Maximum Power: 1000 Watts ·Voltage is user-set from 12 to 48 VDC 1gpm(gallon per minute)=0.06309 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