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likes | 708 Views
Chapter 14 무선 LAN (Wireless LAN). 14 장 무선랜. 14.1 IEEE 802.11 14.2 블루투스 14.3 요 약. 14.1 IEEE 802.11. IEEE has defined the specifications for a wireless LAN, called IEEE 802.11, which covers the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Architecture MAC Sublayer
E N D
Chapter 14 무선 LAN (Wireless LAN)
14 장 무선랜 14.1 IEEE 802.11 14.2 블루투스 14.3 요 약
14.1 IEEE 802.11 IEEE has defined the specifications for a wireless LAN, called IEEE 802.11, which covers the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ArchitectureMAC Sublayer Physical Layer
IEEE 802.11(계속) • IEEE 802.11 • 무선 LAN에 대한 명세 • 구조 • 기본 서비스 세트 (BSS, basic service set) • 확장 서비스 세트 (ESS, extended service set)
IEEE 802.11(계속) A BSS without an AP is called an ad hoc network; a BSS with an AP is called an infrastructure network.
IEEE 802.11 (계속) Basic service sets(BSSs)
IEEE 802.11 (계속) Extended service sets(ESSs)
IEEE 802.11 (계속) • 지국 유형 • 무전이 이동성(NO-Transition Mobility) • BSS 전이 이동성(BSS-Transition Mobility) • ESS 전이 이동성(ESS-Transition Mobility) • 물리층 • 비트를 신호로 변환에 대한 명세(무선주파수)
IEEE 802.11 (계속) MAC layers in IEEE 802.11 standard
IEEE 802.11 (계속) CSMA/CA flowchart
IEEE 802.11 (계속) CSMA/CA and NAV
IEEE 802.11 (계속) Example of repetition interval
IEEE 802.11 (계속) Frame format
IEEE 802.11 (계속) Subfields in FC field
IEEE 802.11 (계속) Control frames
IEEE 802.11 (계속) Values of subfields in control frames
IEEE 802.11 (계속) Addresses
IEEE 802.11 (계속) Addressing mechanisms
IEEE 802.11 (계속) Hidden station problem
IEEE 802.11 (계속) The CTS frame in CSMA/CA handshake can prevent collision from a hidden station.
IEEE 802.11 (계속) Use of handshaking to prevent hidden station problem
IEEE 802.11 (계속) Exposed station problem
IEEE 802.11 (계속) • Use of handshaking in exposed station problem
IEEE 802.11 (계속) Physical layers
IEEE 802.11 (계속)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ISM) band
IEEE 802.11 (계속) Physical layer of IEEE 802.11 FHSS
IEEE 802.11 (계속) Physical layer of IEEE 802.11 DSSS
IEEE 802.11 (계속) Physical layer of IEEE 802.11 infrared
IEEE 802.11 (계속) Physical layer of IEEE 802.11b
14.2 BLUETOOTH Bluetooth is a wireless LAN technology designed to connect devices of different functions such as telephones, notebooks, computers, cameras, printers, coffee makers, and so on. A Bluetooth LAN is an ad hoc network, which means that the network is formed spontaneously.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 ArchitectureBluetooth LayersBaseband Layer L2CAP
블루투스 (계속) •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무선 LAN 기술 • IEEE 802.15 표준안 • 무선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로 정의
블루투스 (계속) Piconet
블루투스 (계속) Scatternet
블루투스 (계속) Bluetooth layers
블루투스 (계속) • 무선층(radio layer) • 대역 • 79개의 채널의 2.4 GHz ISM 대역 • FHSS • 물리층 의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방식 • 초당 1,600번 도약 • 다른 주파수로 도약하기 전 625ms(1/1,600s)동안 주파수 사용 • 거주시간(dwell time)은 625ms • 변조 • GFSK(가우시안 대역 필터)라고 불리는 FSK 사용 • 비트 1은 반송 주파수보다 높은 값으로 표현 • 비트0은 반송 주파수보다 낮은 값으로 표현
블루투스 (계속) • 기저대역층(baseband layer) • LAN에서의 MAC 부계층과 비슷 • 마스터와 슬레브는 타임 슬롯(time slot)을사용 통신 • 타임 슬롯 길이는 거주시간(625ms)와동일 • TDMA • 접근 방식으로 TDMA 사용 • TDD-TDMA(time division duplexing TDMA) • 반이중 양방향 통신
블루투스 (계속) Single-secondary communication
블루투스 (계속) Multiple-secondary communication
블루투스 (계속) • Frame format types • 프레임 형식 • 1-슬롯 626ms – 259ms = 366ms 필요 • 2-슬롯 3×625ms – 259ms = 1,616ms • 5-슬롯 5×625ms – 259ms = 2,866ms
블루투스 (계속) • 접근 코드(access code) • 피코넷의 프레임간의 구별 • 헤더 • 주소 : 7개까지 슬래이브 지정 • 유형 : 상위 계층 데이터 유형 정의 • F. : 흐름 제어 • A. : 확인 응답 • S. : 순서 번호 • HEC. : 헤더 오류 정정 • 페이로드 • 0~2,740비트의 길이
블루투스 (계속) • L2CAP data packet format • LAN에서의 LLC 부계층과 비슷 • 다중화 • 분할 및 재조립 • 서비스 품질 • 그룹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