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likes | 625 Views
연구개발분야 : 축산 과제관리번호 : 296010-5. 한국형 젖소용 개체유도사양 전산시스템과 낙농개체관리서비스 ( DIMS)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개발기간 : 1996.10.28∼2001.10.25(5년간). 주관연구기관 : 축산기술연구소 총괄연구책임자 : 김남철(종축개량부장) 세부과제 책임자 : 이현준(제 1세부과제) 이상철(제 2세부과제)
E N D
연구개발분야 : 축산 과제관리번호 : 296010-5 한국형 젖소용 개체유도사양 전산시스템과 낙농개체관리서비스(DIMS)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개발기간 : 1996.10.28∼2001.10.25(5년간) 주관연구기관 : 축산기술연구소 총괄연구책임자 : 김남철(종축개량부장) 세부과제 책임자 : 이현준(제 1세부과제) 이상철(제 2세부과제) 류일선(제 3세부과제) 이학교(제 4세부과제)
⊙ 연구개발의 목표 - 낙농종합기록관리를 바탕으로 한 개체사양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의 농가 편이적 개발과 신속,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체계 (Record-Keeping System) 확립 - 전문분야별 전문가와 농가간 상담체계 확립을 통한 낙농 종합컨설팅서비스조직의 전국규모로의 확대구축 -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농가와 서비스 조직의 운용 방법확립과 시스템장애요소발굴 및 해소방안 개발 Ⅰ. 주요 연구개발 목표 및 연구내용
1. 세부 1과제낙농 개체유도사양 전략 및 사양관리 상담 서비스 체계 개발2.세부 2과제사료 가치 신속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기의 한국형NIR검량선 개발연구3. 세부 3과제 농가 개체번식효율증진을 위한 서비스 및 상담 시스템 개발4. 세부 4과제낙농육종관리를 위한 대농민 상담 서비스 시스템 개발 1. 과제 구성 Ⅱ. 연구개발추진체계
2. 연구개발 추진체계 ◎ 낙농종합기록관리시스템 개발 젖소 출납동태, 사료영양, 젖소번식,교배, 산유능력검정, 개량 등 각종 낙농목장의 종합적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통합 시스템(Integrated System) 개발 ◎ 낙농종합상담서비스시스템 구축 ◈ 농가사료 신속분석 및 품질평가 등 농가현장 분석진단 서비스 체계 확립 ◈ 사료영양, 질병번식, 육종 등 분야별 전문가 상담서비스체계 구축 ◎ 시스템 관리와 농가활용 장애요소 발굴해소 ◈ 회원농가 및 시스템 관리 ◈ 시스템 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 농가 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3. 세부추진 체계 ◎ 낙농종합기록관리시스템 개발 신속하고 안정적인 젖소 종합기록보존 및 분석 프로그램의 시스템화 (Rapid & Stable Dairy Record-Keeping and Analysis System) 세부 1과제 ◈ 사양관리프로그램 : 생리적 단계별 젖소영양관리 및 목표유량유도사양 프로그램개발(농가실증시험) ◈ 시스템 총괄개발 : 각 프로그램의 통합, 경영관리, 발육관리 및 농가정보 관리 프로그램 등 총괄 개발 세부 3과제 ◈ 젖소번식관리 프로그램 : 축군 및 개체별 번식관리지침 구현 ◈ 혈통관리 프로그램 : 근친억제 교배계획관리 프로그램 ◈ 질병관리 프로그램 : 질병치료 및 예방접종관리 프로그램 세부 4과제 ◈ 젖소 산유능력검정관리 프로그램 : 산유량기록관리 및 산유능력분석 프로그램 ◈ 선형 및 외모심사관리 프로그램
◎ 낙농종합상담서비스시스템 구축 세부 1과제 ◈ 회원관리 ◈ 농가사료 수집분석서비스 및 품질평가서비스 체계 확립 ◈ 사양상담서비스체계 구축 세부 2과제 ◈ 농가사료 신속 성분분석서비스를 위한 NIR검량선 개발체계확립 세부 3과제 ◈ 농가질병번식관리실태 조사분석 ◈ 농가질병번식 현장방문 처방을 통한 번식효율증진 상담 서비스체계 구축 세부 4과제 ◈ 농가자료 신속전송을 위한 송수신모듈개발 ◈ 육종개량상담을 위한 산유능력검정성적 평가 ◈ 농가자료집계 체계 구축
◎ 시스템의 농가활용 장애요소 발굴해소 및 농가지원 ◈ 시스템 관리 ◇ 회원 및 시스템관리 ◇ 시스템 기능개선 및 용량 증설 ◇ 시스템 수정보완(up-grade) ◈ 시스템 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 농가자료 효율적 송수신기술 발굴 도입 ◇ 농가통신환경개선 ◈ 농가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 농가활용교육 ◇ 농가자료입력지원
서버 측 젖소 개체 정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MS SQL 7.0 운영체계(O.S)Windows NT Server 4.0 웹 서버IIS 4.0 ASP + JavaScript Internet 농가 측 Web Browser ◎ 낙농종합기록관리시스템 개발 분산•소멸성 농가자료의 실시간 수집과 영구 보존을 위한 세계최초의 인터넷구현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Real-Time Record-Keeping System) : 개발비 505,5000천원, 1998 Ⅲ. 연구개발 결과 1. 운영 환경 홈페이지운용(dims.nlri.go.kr)
업무 흐름도 조 합 농 가 관리자 조합관리 사용자관리 사용신청 승인 농가 개체정보 관리 출납관리 혈통관리 번식관리 검정관리 코드관리 발육관리 사양관리 질병관리 경영관리 홈페이지운용(dims.nlri.go.kr)
시스템 필수 운용 4개 관리 프로그램 개발완성
효 과 ▣ 과학낙농을 위한 분석자료 실시간 농가제공 출납 관리 ◈ 목장 내 젖소의 월별, 기간별 동태변화 한 눈에 파악
번식관리 정밀 번식관리 자료 및 관리지침서 제공
검정관리 착유우 개체ㆍ그룹별 목표유량관리를 위한 정밀분석자료 농가제공
사양관리 보유젖소 개체ㆍ11개 그룹별 목표유량을 위한 정밀 사료 및 영양관리, 10일간격 사료급여지시서 농가제공
경영관리 목장 내 기간별 현금 수입과 지출 내역관리 및 분석자료 농가제공
Treats Payment for Feeds (F= 1,000\/Heads) Milk Income (M= ,000\/Heads) Differ(M-F) Recommended by NRC(M) 663 2,875 2,212 DIMS(L) 944 3,888 2,944 Differ(L-M) 281 1,013 732 ◈ 유도사양 농가 실증시험 젖소의 분만초기 3단계의 목표유량 유도사양 프로그램이 홀스타인 착유우의 건강 및 산유량에 미치는 영향 농가실증시험(분만전 21-분만후 180일 : 201일간) 일일 산유량 일일 산유량 35% 향상 배합사료비 40% 증가 배합사료비 : 우유판매소득(천원/두당) 두당 일일 4,067원 소득증가
◎ 낙농종합상담서비스시스템 구축 세부 1과제 ◈ 회원관리 : 380농가(2002. 2월 현재) ◈ 농가사료 수집분석서비스 및 품질평가서비스 체계 확립 회원농가 사료 성분 신속분석서비스 및 검량선 효용성 비교분석 ○ NIR분석기 확보 : NIRS 6500 1대 도입(2000년 10월, 120,000천원) 농가사용 사료 1,194점 분석 사양상담 검량선 효용성 분석 : 개발NIR 검량선과 화학 분석치 및 외국 상용 검량선 비교(17종) 우수 : 건초 4종(알팔파, 톨폐스큐, 연맥 및 볏짚) 부분 보완 : 12종(TMR 등) 불량 : 1종(어린송아지사료) 사료 성분 신속분석 및 품질평가 체계 시료 수집 및 NIR분석 → 통보(E-mail, 혹은 유선) → 농가 사료급여량 상담 결정 고 수분 조사료 품질평가 ↑ ―┛ → pH, NH3-N, NaCl, VFA분석 → Flieg(1966)법에 의한 평점 등 고려 고 수분조사료 급여량 상담
세부 2과제 ◈ 농가사료 신속 성분분석서비스를 위한 NIR검량선 개발체계확립 ○ NIR분석기 확보 : (초기) NIRS 4,500 1대, NIRS 6500 1대 임대 (후기) NIRS 6500 1대 도입활용(1999년 10월, 100,000천원) ○ NIRS-version 5.2를 이용한 시료 수집 및 NIR검량식 유도(3년차까지 연구) 시료수집, 분석 →분쇄 및 무처리 → 검량선 수집 →통계분석(PLS) → 검량식 사료샘플의 전처리와 무처리로 처리방식을 나누어 분석하고, 샘플 수를 증가하여도 검량식의 오차 값이 감소하지 않음 ○ WinISI Ⅱ- version 1.02를 이용한 시료 수집과 NIR검량식 유도(3년차 이후 연구) 시료수집, 분석→ 검량선 수집 →통계분석(MPLS: 수정PLS통계분석법 →검량식 확립 MPLS(Modifie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에 의한 검량선 분석 이후 검량선의 신뢰값 이 급격히 향상 : 총 17종 중 16종의 사료에 대한 검량식이 개발되어 4종은 즉시 활용가능 하고, 12종은 일부성분에 대한 보완을 위한 검량선 추가수집 후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
세부 3과제 ◈ 농가질병번식관리실태 조사분석 ○ 젖소 번식·질병진단서비스체계구축을 통한 집단우군의 효율적인 번식·질병진단 서비스를 위해 우리나라 젖소를 사육하고 있는 낙농가중 4개지역 26농가 젖소 2,369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문제점 및 개선책을 파악하여 그 예방책과 서비스 구축을 도모하고자 수행 ○ 번식관리현황은 2,369두중에서 433두를 분석, 수태율 55.65%, 번식장애율 10.85% ○ 젖소 번식용 성빈우 721두 대상 분석 결과, 번식률이 55.1%, 평균공태기간이 255.8일, 수태당 종부회수가 1.73회, 번식장애발생율이 11.2%, 평균산차가 2.34 그리고 분만후 수태에 소요되는 일수는 352.4일로 나타났다. ○ 그리고 번식장애상황에 대하여 327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번식장애율이 25.6%, 그 중 영구황체가 28.6%, 자궁내막염이 25.0%, 난포낭종이 20.2%, 난소기능휴지가 19.1%, 기타가 7.1%로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영양상태, 연령, 분만계절 등의 영향으로 분석 ○ 난소질환이 높은 비율로 발생한 원인은 분만후 유량의 증가에 따른 영양소의 공급 불충분으로 난소와 자궁의 회복이 지연된 것으로 분석
세부 3과제 ◈ 농가질병번식 현장방문 처방을 통한 번식효율증진 상담 서비스체계 구축 ○ 농가번식현황분석과 젖소 질병·번식의 집중관리시스템 적용결과 (1) 농가번식현황분석 평균수정회수가 1.69회, 수태당 평균수정회수가 1.75회, 분만후의 첫 수정 평균일이 113.2일, 평균 공태일은 255.6일로 나타나 저조하였으며 자궁질환발생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2) 수태율 제고를 발정동기화프로그램의 적용시험 (가) 발정동기화 프로그램적용시험 4가지의 처리프로그램 PGF₂α 25㎎(1회), PGF₂α 25㎎⇒PGF₂α 25㎎, CIDRplus ⇒PGF₂α 25㎎, CIDRplus+EBZ5㎎⇒PGF₂α 25㎎를 적용실시한 결과, 발정발현일과 발정발현율은 2.8∼4.0일, 66.7∼100.0%로 높게 나타나 우군의 번식률향상에 기여할 것 으로 사료됨. (나) 분만후 발정동기화 프로그램적용시험 분만우에 대한 GnRH(0.0204㎎buserineactate)⇒PGF₂α 25㎎을 적용한 결과, 발정발현일과 발정발현율은 4일과 100.0%로 나타나 양호하게 나타났다. (다) 난소낭종처치 프로그램 적용시험 난포낭종우에 대한 조기치료와 발정발현을 유도한 결과, 13두중 10두가 치료되어 76.9%의 발정이 발현되었다. ○ 회원농가의 번식·질병기록초기화 및 상담서비스체계구축 실태조사 155농가 중 젖소번식(30개 지역 74농가 1,731두), 질병(5개 지역 9농가 212두)기록 초기화 및 상담서비스체계를 구축 중에 있으며, 이 중 번식기록 관리에서는 매우 양호 : 20, 대체로 양호 : 54, 저조 : 81 농가로, 질병 기록관리에서는 매우 양호 : 6, 대체로 양호 : 3, 저조 : 146 농가로 조사되었다.
세부 4과제 ◈ 농가자료 신속전송을 위한 송수신모듈개발 ○ 젖소 산유능력 검정사업 추진실태 조사 분석 및 효율적인 대농민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체계 검토 ○ 자료 입력체계를 위한 송수신 모듈개발 및인터넷을 이용한 자료 교환 시스템 구축 - 농가자료 : TEXT문서 형태로 작성(작성양식 5종 개발) web을 통한 upload(ASP를 통한 대화형 web구현), 또는 ftp를 통한 upload - web을 통한 download(ASP를 통한 대화형 web구현), 또는 ftp를 통한 download(미리 작성된 파일을 다운로드) - 농가자료 일괄입력용 송수신모듈로서 엑셀 파일 29개 개발 운용 개체MASTER,구입MASTER,능력정보, 번식DETAIL, 번식MASTER, 사료선택, 사료재고, 사료MASTER, 산유량, 선형심사, 수입MASTER, 영양소표준MASTER, 예방접종MASTER, 외모심사, 우유생산MASTER, 월별질병현황, 유성분-유질, 일별동태집계, 입력주의사항, 정액능력정보, 정액재고, 정액혈통정보, 정액MASTER,지출MASTER, 질병치료MASTER, 체위MASTER, 체중MASTER, 편입MASTER, 혈통MASTER (29개) ◈ 육종개량상담을 위한 산유능력검정성적 평가서비스 농가 및 조합 보유 젖소의 개체별 산유능력 순위평가 결과 농가 송달, 딤스 관리 농가의 산유능력 향상효과 비교분석 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자료분석을 통한 젖소 능력 비교 평가 운용 체계를 확립함.
◈ 농가자료집계 체계 구축 ▣ 전국 낙농산업 현황을 집계ㆍ가공한 국가 통계자료 실시간 제공 조합별, 도별, 전국별 낙농통계자료가 실시간 자동분석 집계됨
◎ 시스템의 농가활용 장애요소 발굴해소 및 농가지원 ◈ 시스템 관리 ◇ 회원 관리 - 회원관리 : 2002년 2월 현재 전국 79개 조합, 378농가 회원 가입 ◇ 시스템 기능개선 및 용량 증설 - NT서버 1대 증설(2000. 10월), 농가자료 출력용 인쇄기 구입(2000년 10월) ◇ 시스템 수정보완(up-grade) : DIMS 2.1(시스템 검증 중) - 홈페이지 화면 및 기능 개선 : 바탕, 입력, 조회화면의 신선 단순화면구성, 통계집계 시스템 추가 - 유도사양프로그램 추가 및 영양소요구량 기준조정(NRC1988→JRC1999), 10,000Kg이상 축군용 목표유량 유도사양프로그램 추가, 사료급여량 개체별 조정기능 추가
◈ 시스템 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 농가자료 효율적 송수신기술 발굴 도입 ○ 대용량 자료 전달장애 해소 : 자료실 및 게시판을 이용한 대용량 기술정보의 PDF파일 변환 보급 ◇ 농가통신환경개선 ○ 산간오지 낙농가의 인터넷속도 저조로 DIMS시스템 활용장애해소 - 고속인터넷(ADSL등) 설치 지도 - 위성인터넷 무상보급사업(정보통신부)유치 : 2000-2001, 2년간 DIMS회원 235농가 설치(137,750천원 상당)
◈ 농가활용 장애요소 발굴 및 해소 ◇ 농가 컴퓨터(인터넷) 및 DIMS시스템 운용기능 저조 ○ 농가순회방문교육 : 47개 시군, 150농가 개별 순회 방문 교육 실시, 자료 및 설명 CD제공 ○ 자료실 및 게시판을 통한 교육 ○ 농림부(농림수산정보센터&농업119대학) 농업인정보화교육과정 2001년 시범교육실시 : 2001년 12월 11-14, 18-21(2회) 6개반 84명 양성, 경상대(경남대학교시설), 한경대(한경대 중앙전산실 및 철원군 농업기술센터) ◇ DIMS활용 능력부재 및 여력이 없는 농가에 대한 농가자료입력지원 ○ 초기화지원 : 사이버목장 초기화가 어려운 대규모농가 12, 지역별 시범농가 20 ○ 지속적 지원 : 나이가 많아 교육효과가 없는 농가 2
◎ 시책건의 반영 및 계획 ○ 2000년도 위성인터넷 지원사업 DIMS회원농가에 지원 :135농가(87,750천원상당) ○ 2001년도 위성인터넷 지원사업 DIMS 회원농가에 지원 :100농가(50,000천원 상당) ○젖소개체관리시스템, 낙농전문S/W과정 신설 시범교육 : 2001.12.11∼21 (6개반 84명 전문교관요원 및 낙농반 수료, 한경대 및 경상대) ○ 위성인터넷지원사업 지속확대 및 애로사항 해소 : 정통부 및 한국통신 건의 (2002 계획) ○젖소개체관리시스템, 낙농전문S/W과정 전국적 확대 : 농림부 건의(2002 계획) Ⅳ. 연구성과 활용실적 및 계획 ◎ 특허출원 및 계획 ○ 젖소개체관리서비스(DIMS) 프로그램 2.0 : 2001. 출원 ○젖소개체관리서비스(DIMS) 프로그램 2.1 : 2002년 출원 예정 ◎ 영농활용 ○ 딤스(Dairy Individual Management Service ; DIMS)시스템을 활용한 개체유도사양의 착유우 생산성 향상효과 : 진흥청 영농활용
◎ 간행물 및 책자 발행보급 ○ 슈퍼젖소 이렇게 만듭니다.(행정간행물 31255-51890-37-9802, 1998.10) ○축산기술정보의 은행(행정간행물 31255-51890-57-9801, 1998.10) ○낙농산업정보화의 현재와 미래(11-1390271-000069-14, 2001.10) ○젖소개체관리서비스(DIMS)시스템활용(11-1390271-000078-01, 2001.12) ○축산컨설팅 전문과 과정 낙농,농협, 2001(공저) : 개체관리프로그램시연(DIMS)시연 ◎ 심포지엄개최 및 정책세미나 발표 ○ 제1회 낙농산업정보화 심포지엄(낙농산업 정보화의 현재와 미래) : 축산연 종축개량부, 2001. 10.5(발표 : DIMS시스템의 낙농산업 정보화에서의 위치와 구상 ; 이현준) ○ 한국형 젖소 사양표준 제정위원회 세미나 및 협의회 참석 및 발표 : 축산연 종축개량부, 12월14일, 한국사양표준과 젖소개체관리시스템(DIMS)의 연계
◎ 홍보(TV, 신문보도, 전문지 게재) • ○ KBS-TV고향의 아침 : 01. 2.28, 사이버목장시대 • ○ 신문보도 • - 중앙지 : 축산농가에 무료 위성인터넷(동아일보, 2001.8.16) • - 전문지 : • . 사이버낙농, 젖소개체관리서비스시스템 : 축산신문,01.2.27, 한국영농신문,01.5.7, • 한국농정신문, 01. 5.10 • . 낙농농가 위성인터넷 무상설치지원 : 경도일보 8/14, 수도권일보 8/17, 한국영농 • 신문 8/20, 전업농신문 8/21, 연합뉴스 8/15 • . 젖소개체관리서비스시스템 회원모집 : 축산신문 8/10 • . 낙농산업 정보화 심포지엄 : 축산신문 10/12, 축산경제신문 10/15, 농수축산신문 • 10/18 • . 디지털 낙농가 천안 윤경중씨, 젖소개체관리서비스시스템 활용 : 농민신문 10/26 • 지방지 : • ○ 사이버 축산 영농시대 개막 : 세종신문 3/3 • ○ 낙농산업 정보화심포지엄, 천안 미래낙농산업 한 축 : 천안신문 10/15
◎ 전문잡지 게재 ○ 개체종합기록관리 시스템의 중요성과 활용요령 : 월간축산 2001 4월호, ○ 컴퓨터영농|딤스(DIMS) : 언제 어디서든 돌보는 사이버목장 디지털농업 2001 6월호 ◎ 낙농가 교육실적 및 계획 ○ 농업인정보화교육(낙농전문 S/W활용과정) : 딤스교관요원과정 한경대(철원군농업기술센터), 12/11∼21 (5개반 73명), 경상대 12/18 ∼21(1개반 11명), 계 84명 ○ 축산컨설팅 전문가과정 : 농협축산교육센터(8월29일) ○ 2002년도 농업인정보화교육(낙농전문 S/W활용과정) 전국 10개 농업특성화 대학 주관 전국적 실시 계획(시책건의)
◎ 학회발표 및 계획 ○ Survey on the Reproductive disorder of Dairy Cattle : 제 43차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 대회(1999) *구두발표 ○ Comparison of various estrus synchronization used to enhance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iry cows : 제 43차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1999) *포스터 발표 ○ Survey on the Reproduction Disorder in Dairy Cattlesin Korea : 제 22차 세계우병학회 발표초록 제출(독일 하노버, 2002. 8. 18∼23) ○ A Dairy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to Consult Reproduction and Disease to Korean Dairy Farmers : 제 22차 세계우병학회 발표초록 제출(독일 하노버, 2002. 8. 18∼23) ○ On-Line Dairy Record-Keeping and Analysis Service System of Korea : Dairy Sci. 게재 계획 : 2002년 11월경
◎ 후속연구 지속 : DIMS활용농가의 생산성향상 효과 연구 2002년이래 3년간 축산연 기본경상과제화 추진, 농가지원지속, NIR검량선 추가개발 계속 ◎ 시스템 보완 개발 계속 : 통신환경개선 및 D/B증설,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 전국 낙농가확대보급을 위한 홍보 및 교육 지원 계속 : 전국낙농가 전원 회원화 추진 ◎ 중국 등 동남아시아 신흥낙농성장잠재국가에 대한 기술이전 추진 (상담 중) Ⅴ. 금후 추진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