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likes | 742 Views
데이터 통신.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 재 광. 수업계획. 과목명 : 데이터 통신 학점 및 이수구분 : 3 학점 , 전공필수 주당시간 : 강의 (3 시간 ) 수강대상 : 컴퓨터공학과 담당교수 : 이 재 광 연 구 실 : 공과대학 90704 호 전화번호 : 7559( 구내 ) E-mail : jklee @netwk.hannam.ac.kr. 수업목표.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통신에 대한 기본 원리 및 구조 , 표준을 이해한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술과 개념을 이해한다.
E N D
데이터 통신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 재 광 한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수업계획 • 과목명 : 데이터 통신 • 학점 및 이수구분 : 3학점, 전공필수 • 주당시간 : 강의(3시간) • 수강대상 : 컴퓨터공학과 • 담당교수 : 이 재 광 • 연 구 실 : 공과대학 90704호 • 전화번호 : 7559(구내) • E-mail : jklee@netwk.hannam.ac.kr
수업목표 •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통신에 대한 기본 원리 및 구조, 표준을 이해한다 •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술과 개념을 이해한다
수업 방법 • 지난 수업 내용을 정리하고 추가 질문을 받는다 • 수업 내용을 제시하고, 수업을 진행한다 • 강의 내용에 대한 요점을 정리한다
평가 방법 • 평가기준 : 절대평가 • 중간고사 : 30% • 기말고사 : 30% • 과제물 : 30% • 출석 : 10%
교재 및 참고문헌(계속) • 이재광외 2명,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교보문고, 2001 • Behrouz Forouzan, “Introduction to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McGraw-Hill, 2001 • 안병호, 박정훈, “데이터 통신론”, 이한출판사, 1996 • 김종상 역,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통신”, 희중당, 1995 • 채기준, 김준년, “데이터 통신 및 분산망”, 희중당, 1995 • 성승희, 이인행, “데이터 통신과 프로토콜”, 홍릉과학출판사, 1991
목차 1. 서론 2. 기본 개념 3. OSI 모델 4. 신호 5. 부호화 6. 디지털 데이터 전송 : 인터페이스와 모뎀 7. 전송 매체 8. 다중화
목차(계속) 9. 에러 검출 및 수정 10. 데이터 링크 제어 11.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12. 근거리 통신망(LAN) 13. 도시 통신망 14. 교환 15. 점 대 점 프로토콜 16. 디지털 종합정보통신망
목차(계속) 17. X.25 18. 프레임 중계 19. 비동기 전송방식 20. SONET/SDH 21.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2. 전송층 23. OSI 상위계층 24. TCP/IP 프로토콜 : 1부 24. TCP/IP 프로토콜 : 2부
1장 서론 1.1 데이터 통신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1.2 데이터 통신 1.3 네트워크 1.4 프로토콜과 표준 1.5 표준화 기구 1.6 요약
1.1 데이터 통신을 배워야 하는 이유? • 네트워크로 인한 생활과 업무처리 방식 변화 •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요구 •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 어떤 종류의 기술을 사용하는가? • 어떻게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가? • 급변하는 정보 환경에 언제 어떤 기술을 채택하는가? 이러한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
1.2 데이터 통신 • 둘 또는 그 이상의 지점간에 2진(binary) 정보 전송 처리 • 특정 형태의 전송매체(전화선 같은)를 통한 두개의 장치간 데이터 교환(0 또는 1의 형태)
기본 특성 • 데이터 통신이 갖는 3가지 기본 특징 • 전달성(Delivery) • 정확한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장치 또는 사용자) • 정확성(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 • 적시성(Timeliness) • 주어진 시간 내에 데이터 전달
구성 요소(계속) • 메시지(Message) • 전송되는 정보(데이터) • (문자, 숫자, 소리, 영상, 그림 등) • 송신자(Sender)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 • (컴퓨터, 전화기, 비디오 카메라 등) • 수신자(Receiver) • 메시지를 받는 장치 • (컴퓨터, 전화기 , TV 수상기)
구성 요소(계속) • 전송매체(Medium) •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물리적인 경로 (꼬임선(twisted pair wire), 동축선(coaxial cable), 광케이블(fiber-optic cable), 레이저 또는 무선파) • 프로토콜(Protocol) • 데이터 통신 수행 규칙들의 집합
1.3 네트워크(Networks) • 전송 매체 링크로 서로 연결된 장치(node)들의 집합. • 장치(Device) • 네트워크상의 다른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컴퓨터, 프린터 등) • 링크(Link) • 통신 채널(communication channel)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 • 많은 작업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나누어서 처리 • 장점 • 보안/캡슐화(Security/encapsulation) • 시스템 설계자는 전체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대화의 내용을 제한할 수 있다(예 : ATM(Automated Teller Machine)) •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s) • 하나의 시스템이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공간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분산처리(Distributed processing)(계속) • 신속한 문제 해결(Faster problem solving) • 한 문제에 대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수행하게 되면 한대의 컴퓨터가 처리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 • 중복성을 통한 안전(Security through redundancy) • 같은 시간에 같은 프로그램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실행하게 되면 중복성을 통하여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 공동 작업(Collaborative processing) • 여러 대의 컴퓨터와 여러 사용자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서로 대화할 수 있다(예 : MUD게임)
성능(Performance) • 전달시간이나 응답시간 측정 •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성능이 결정된다 • 사용자 수 • 전송 매체 유형(데이터 전송률)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신뢰성(Reliability) • 장애 빈도 수 • 장애 발생 후에 네트워크 회복 시간 • 큰 재난 • 화재, 지진, 도난과 같은 재난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보안(Security) • 불법적인 접근(Unauthorized access) • 사용자 ID • 패스워드 • 암호 기술 • 바이러스(Virus)
응용(Application) • 마케팅과 판매 (Marketing and sales) • 금융 서비스 (Financial service) • 제조 (Manufacturing) • 전자메시지 (Electronic message) • 디렉토리 서비스 (Directory service) • 정보 서비스 (Information service) • 전자 문서 교환 (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원격회의 (Teleconferencing) • 이동 전화 (Cellular telephone) • 케이블 TV (Cable television)
1.4 프로토콜과 표준(Protocol & Standards) • 프로토콜(Protocol) • 데이터통신 수행 규칙들의 집합 • 주요 요소 • 구문(Syntax) • 데이터 구조나 형식 • 표현되는 데이터 순서(예:송신자, 수신자, 메시지 순) • 의미(Semantics) • 각 비트가 갖는 의미 • 타이밍(Timing) • 수신자와 송신자간의 데이터 전송 시간과 속도 조절
표준(Standards) • 표준 • 통신기기 시장을 개방적이고 경쟁적으로 만들기 위한 관리 문서 • 국제 또는 국내의 데이터 통신 기술 및 처리에 대한 호환성 보장
표준(Standards)(계속) • 법률 표준(by law standard) • 공식적으로 공인된 기관에 의해 입법화된 표준 • 사실 표준(by fact standard) •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의 기능성을 규정하기 위해 생산자들에 의해 제정된 표준 • 특허(proprietary) • 영리기관이 자사 제품의 기본 원리를 개발한 것 • 비특허(nonproprietary) • 집단이나 위원회에서 개발하여 공개한 표준
1.5 표준화 기구 • 표준제정위원회, 협의회(Forum), 법규 기관간의 협조를 통해서 개발 • 표준제정위원회(Standards Creation Committee) 1.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국제 표준 기구 • 1947년 창설된 다국적 기구(82개국) • 자발적인 기구 • 상호호환성, 품질개선, 생산성 향상, 가격저하 모델 제공 • 다양한 분야(과학/기술/경제적 활동)의 국제 표준 제정 기구 • 대표적인 노력 : OSI 모델
표준화 기구(계속) 2.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s Sector) • 국제전기통신연합-전기통신표준영역 • UN 산하기구 • 통신에 대한 국제 표준 개발 • 대표적인 표준 • V series(전화선상의 데이터 전송) • X series (공중 디지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전송) • ISDN • Broadband ISDN
표준화 기구(계속) 3.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 미국 표준 기관 • 미연방정부와 무관한 사립 비영리법인 • 미국의 임시 표준의 국가조정기구 역할 • 미국 경제 증진 방안을 위한 표준 채택 • ITU-T에 제안서 제출 • ISO내에서 미국 대표 4.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 전기 전자 공학회 (IEEE 802 : 근거리 통신망 표준) • 전기,전자, 무선공학 등 제반 관련 분야의 학술 증진, 창안, 제품 품질 제고
표준화 기구(계속) 5.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 미국의 전자 산업 협회 (EIA-232-D, EIA-530 등) • 표준 제정, 업계 로비 6. Telcordia • 텔코디아(이전의 Bellcore) • 벨 연구소에서 설립한 회사 • ANSI에 주요 표준 초안 제공
표준화 기구(계속) • 포럼(Forum) • 현재 사용중인 모델과 협의 사항에 대한 표준화 작업 촉진을 위한 협의회 • 신기술 시험, 평가, 표준제정 1. 프레임 중계 협의회 (Frame Relay Forum) • DEC, Northern Telecom, Cisco, Stratacom사에 의해 수행 • 현재 북미, 유럽, 환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40여 개국 회원 • 주요 안건:흐름제어, 캡슐화, 변환, 멀티캐스팅 • 결과를 ISO에 제출
표준화 기구(계속) 2. ATM 협의회와 ATM 컨소시엄 • 사설교환기 업체와 중앙교환국 업체들로 구성 • 상호 운용성을 위한 서비스 표준화 3. ISOC와 IETF • 인터넷 업체, 인터넷 공학 전문팀 • 주요 임무 : 인터넷 성장과 발전 촉진 • 인터넷 표준 기구 • SNMP, bridge, router, 라우팅 프로토콜 성능 표준 검토
표준화 기구(계속) • 법규 기관 • 모든 통신은 정부 기관 통제 • 라디오, 텔레비전, 유선통신을 조정하여 공공 이익 보존 1.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 미연방통신위원회 • 미국 내 및 국제 교역에 관한 권한 • 모든 상품은 반드시 승인 후에 판매
표준화 기구(계속) –국내 표준 기관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http://www.tta.or.kr • 1988년 12월 설립 • 통신 사업자,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 및 단체 등의 상호 협력과 유대 강화 • 국내외 정보통신분야의 최신기술 및 표준에 관한 각종 정보 수집, 조사 연구 및 보급•활용 • 정보통신 산업 및 기술 진흥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
표준화 기구(계속) –국내 표준 기관 • 한국산업표준원(KISI) • http://www.kisi.or.kr • 산업표준 연구 개발 • 표준화 국제 협력 및 진흥 • 북한 표준 연구 • 정보산업 표준화 • 자본재 표준화 • KSSN(한국 표준 정보망)운영
표준화 기구(계속) –국내 표준 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표준연구센터 • http://pec.etri.re.kr • 1989년 ETRI내 설립 • 초고속 정보통신 기반을 위한 표준/규격/기준 관련 기술의 연구 개발 주도 • 정보통신 산업체 중심의 표준화 활동 기반 조성 • 핵심 표준 기술의 산업체 이전 및 제공 • 국내 표준 활동 강화를 통한정보통신 시장의 균형적인 발전 및 활성화
표준화 기구(계속) –국내 표준 기관 • 한국전자거래진흥원(KEB) • http://www.keb.or.kr • Korea EDI/EC Board • 한국 표준 전자문서(KEDIfact) 제정, 고시 • 세계 전자문서 표준인 UN/EDIFACT 보급과 제정 활동 참여 • 전자 거래 실현에 필요한 표준 연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