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816 Views
악성중피종 국가통계.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에는 악성중피종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가 필요한 실정 통계 청 , 국립암센터 ,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에서 악성중피종에 대한 자료가 있으나 , 데이터의 출처가 각각 다르며 , 누락된 경우가 있다 . 우리나라 악성중피종 환자수 및 사망자 수 등을 정확히 파악 각 기관별 데이터 추출 , 신뢰 성 확인 각 기관별 자료원 , 충실도 확인 , 신뢰성 여부 확인 신뢰 성 있는 국가통계자료 제출. 각 기관별 관련 사업. 자료별 자료원 비교.
E N D
필요성 • 현재 우리나라에는 악성중피종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가 필요한 실정 • 통계청,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에서 악성중피종에 대한 자료가 있으나, 데이터의 출처가 각각 다르며, 누락된 경우가 있다. • 우리나라 악성중피종 환자수 및 사망자 수 등을 정확히 파악 • 각 기관별 데이터 추출, 신뢰성 확인 • 각 기관별 자료원, 충실도 확인, 신뢰성 여부 확인 • 신뢰성 있는 국가통계자료 제출
자료 신청 계획(통계청) • 사망원인통계 • 자료 제공 가능 년도 : 1997~2008년 • 자료제공 범위 • 개인식별자료(주민번호)는 제공하지 않음 • 이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망원인통계 마이크로데이터 셋의 연계를 요청하는 경우 • 연계요청시 이용자가 제공하는 자료의 소유권 여부, 연계신청 목적, 자료 특성(자료생성기관명, 생성방법, 생성대상자 특성 등)을 명시 • 이용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연계신청 목적으로만 활용될 수 있는 최종 데이터 셋 이여야 하며, 적합한 연계변수(주민번호) 보유시에만 연계 가능 • 이용자가 사망원인의 연계를 요청하는 경우 연계변수(주민번호) 삭제 후 자료제공 • 사망여부의 확인(사망일 등)만을 요청하는 경우 연계변수가 미삭제 된 자료도 제공 가능
목적(통계청_사망자자료) • 지역, 연령별 악성중피종에 의한 사망 파악 • 석면공장, 석면광산 등 석면관련산업과 악성중피종에 의한 사망과의 상관성 분석 • 석면구제법 중 대상지역 선정 시 기초자료 활용 가능 • 현 경동아파트 500m 이내 거주민들에 대한 사망원인자료 분석 • 연계변수(주민번호)가 있는 경우 연계 분석 가능 • 전국, 부산지역과 비교 분석
자료 절차 계획(통계청) 자료제공범위 : 연도별 사망원인 항목 결정 (1997~2008년)
자료 절차 계획(통계청) 자료 가공 : 연도별, 항목별 선택
계획(통계청) • 연도별 항목별 자료 제공 절차 수행 • 연계변수를 이용한 자료 제공 여부 절차 확인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 보고 자료와 비교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 보고된 case에 대한 주민번호 확보 가능 여부(?) • 연계변수를 이용한 자료 제공 여부 확인 • 감시체계에서 보고된 사람의 사망원인이 중피종인지에 대한 일치성 확인 • 자료의 신뢰성 확인 가능(?)
결과(통계청_사망자료) • 사망원인통계자료의 신뢰성 평가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 보고된 자료와 사망원인통계자료와 비교 • 악성중피종으로 판명된 사람이 실제 사망시 사망원인이 중피종에 의한 사망인지? • 악성중피종으로 판명된 사람이 실제 사망시 사망원인이 무엇으로 나타났는지? • 필요항목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의 주민번호 (2001년~2007년) • 사망원인통계의 사망원인1, 사망원인2(2002년~2008년)
결과(통계청_사망자료) • 중피종에 의한 사망자 • 성별 비교 • 지역별 (시도, 구시군) • 연도별 비교(1997~2008) • 전체비교 • -> 석면관련산업의 유무에 따른 비교 • 필요항목 • 성별 • 주소지(시도) • 주소지(구시군) • 사망_년 • 사망원인1 • 사망원인2
목적(국립암센터_암등록사업) • 연도별· 지역별 악성중피종의발생율 • 진단 후 생존기간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와 국립암등록사업에서 보고된 자료의 일치성 파악 • 조건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서 보고된 사람들의 연계변수(주민번호)의 입수(?) • 국립암등록사업에서의 자료 활용 승인 여부(?)
계획(국립암센터) • 연례 보고서의 년도별 발생 추이 정리 • 열람 가능한 자료의 확보 • 자료 요청서와 연구계획서 작성 • 열람 항목 : 나이, 성별, 초진일, 원발부위, 사망일, 진단방법 • 연계변수(주민번호)를 이용한 일치성 확보 가능 여부 확인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정순희 교수님)에 보고된 case의 주민번호 확보 가능 여부 • 국립암등록센터 연계변수를 이용한 일치성 확보 가능 여부 확인
결과(국립암센터)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악성중피종관련 M-code : 조직학적 진단명(Morphology)
결과(국립암센터) • 지역별 발생 추이 • 연도별 발생추이(1998~2005년) • 전후년도에 대한 보고서 및 자료 확인 가능 여부 • 전체(1998~2005년)에 대한 지역별 발생추이 • 시도별, 구시군별 발생추이 비교 • 석면관련산업과의 연관성 • 연도별(1998~2005년)에 대한 지역별 발생추이 • 시도별, 구시군별 발생추이 비교 • 석면관련산업과의 연관성 • 필요항목 • 주소
결과(국립암센터) • 생존기간 • 중피종 환자들의 생존기간 파악 • 필요항목 • 초진일, 사망일 • 진단방법 파악 • 중피종 환자들의 진단방법 • 필요항목 • 진단방법(EX. 임상검사)
결과(국립암센터) • 국가암등록사업에 등록된 악성중피종의 환자와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 등록된 환자와의 일치성 여부 확인 • 국가암등록사업의 미 등록율 확인 • 조건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 보고된 환자들에 대한 주민번호 활용 가능 여부 확인 • 국가암등록사업의 연계변수를 이용한 비교 가능 여부 • 필요항목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에 보고된 환자들에 대한 주민번호
국립암센터와악성중피종 감시체계의 진단방법 비교
대상자 • 악성중피종 감시체계 등록자 • 연산동500m 이내 거주자 • 연신초등학교 재학생(1984~199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