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0 likes | 1.5k Views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건설현장 감전재해예방. EMS 정보지원자료.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자료. 2006. 10. 목 차. 건설현장의 전기 사용 특성. 접지에 의한 감전재해 예방.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재해 예방. 가설 배전계통 및 배선관리. 기타 가설전기 안전관리. Ⅰ . 건설현장의 전기 사용 특성. 건설현장 전기위험 특성. 습한 옥외작업이 많다 . 공정 진행에 따라 작업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한다 .
E N D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건설현장 감전재해예방 EMS정보지원자료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자료 2006. 10
목 차 건설현장의 전기 사용 특성 접지에 의한 감전재해 예방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재해 예방 가설 배전계통 및 배선관리 기타 가설전기 안전관리
Ⅰ.건설현장의 전기 사용 특성 건설현장 전기위험 특성 • 습한 옥외작업이 많다. • 공정 진행에 따라 작업위치가 계속적으로 변한다. • 굴착, 해체 등 가설건설현장의 배전계통 또는 기존의 고정설비 등에 손상을 입힌다. • 케이블과 설비의 중량물 적재 또는 이동에 의한 손상 발생 • 기존 또는 신규 가설설비 등의 충전여부에 대해 혼란 • 여러 협력업체의 작업자들이 자체 기기와 설비를 사용 관리의 어려움
가설전기 안전관리의 취약점 • 임시동력을 사용 • - 전압강하로 인한 설비 과부하 운전 우려 • - 추가적인 설비 증설 ·변경 등으로 중복투자 초래 • 전기 전문가가 아닌 불특정 다수에 의해 취급 ·사용 • - 불특정 다수가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인출 및 배선연결 • 충전부 접촉 위험성 증대 • - 문어발식 전선연결사용, 임의 배선 연결 • - 터미널 러그 등 규격화된 전선부속품 미사용 • - 충전부 방호덮개 제거 • - 접지 및 누전차단기 미사용 등
이동식 전기기계·기구를 주로 사용 • - 안전조치 보다는 전기기계·기구 사용자에 따라 감전재해 예방효과가 좌우됨 • 공정마다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가 다양하고 일부 임대 또는 반입된 전기기계·기구를 사용 • - 부적절한 전기기계·기구 사용을 통제 ·관리하기 어려움
가설전기 안전관리 • 전기위험 관리 및 통제를 위한 관계규정 마련 • - 전압강하로 인한 설비 과부하 운전 우려 • - 추가적인 설비 증설 ·변경 등으로 중복투자 초래 • 전기 전문가가 아닌 불특정 다수에 의해 취급 ·사용 • - 불특정 다수가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인출 및 배선연결 • 충전부 접촉 위험성 증대 • - 문어발식 전선연결사용, 임의 배선 연결 • - 터미널 러그 등 규격화된 전선부속품 미사용 • - 충전부 방호덮개 제거 • - 접지 및 누전차단기 미사용 등
Ⅱ.접지에 의한 감전재해예방 전기기계·기구의 접지란? • 전기기기의 일부를 대지와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등전위로 만드는 것 • 보호(기기)접지와 계통접지로 분류 - 보호(기기)접지 금속부분을 대지에 접속하여 과대한 전압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상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는 것 → 인명과 설비의 보호
- 계통접지 고압 수 ·변전설비에 적용, 고압과 저압에 혼촉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변압기 2차측(중성선)에 설치 • 접지대상 1.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금속제 외피 및 철대 2. 고정설치되거나 고정배선에 접속된 전기기계·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중 충전될 가능성이 있는 비충전 금속체 - 지면이나 접지된 금속체로부터 수직거리 2.4m, 수평거리 1.5m이내의 것 - 물기 또는 습기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 - 금속으로 되어 있는 기기접지용 전선의 피복·외장 또는 전선관 등 -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볼트를 넘는 것
3.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다음 금속제 - 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과 궤도 - 전선이 붙어있는 비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 - 고압(750V 초과 7,000V 이하의 직류전압 또는 600V 초과 7,000V 이하의 교류전압)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주변의 금속체 칸막이·망 및 이와 유사한 장치 4. 코드 및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중 아래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볼트를 넘는 것 -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고정형 전동기계·기구 - 고정형·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계·기구 - 물 또는 도전성이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전동기계·기구 - 휴대형 손전등 5. 수중펌프를 물탱크 등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그 탱크(탱크를 수중펌프의 접지선과 접속)
접지적용 예외 1.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기계·기구 2. 절연대 위 등과 같이 감전위험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3. 비접지방식의 전로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건설현장에서 개별 전기기계·기구 접지 방법 • 옥외 변대에서부터 4심 케이블을 포설하여 3심은 동력선으로, 1심은 접지선으로 활용하는 방법과 주접지선 1가닥을 동력선과 별도로 포설
접지선은 모든 배·분전반 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 전기기계·기구의 접지는 전원 인출 시 주접지선과 연결하거나 콘센트를 통해 접지 • 사용자 측의 잘못으로 접지가 누락되지 않도록 콘센트, 플러그 및 중간 접속기(케이블 릴 등)는 반드시 접지극이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4심 전선을 사용
접지전류(Ig) 전위상승(E[V]) 대지 접지전극 0 접지저항 측정 • 접지저항의 정의 • 접지전류(Ig ; 또는 사고지락전류)가 접지전극을 통해 대지에 유입되면 접지전극 주변에 전위상승(GPR: Ground Potential Rise, E(V))이 발생하는데, 전위 상승치와 접지전류와의 비[E/Ig(Ω)]를 그 접지전극의 접지저항(Rg)이라고 한다.
접지저항은 대지와의 전기적 접속이 잘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낮을수록 감전방지에 바람직하다.접지봉(극) 수를 늘리거나 접지극의 크기(단면적)를 크게, 접지봉(극)을 더 깊게 매설할수록 접지저항은 낮아진다. • 접지저항은 접지전극이 매설되어 있는 주변의 토양성질(토양의 종류, 수분함량, 온도 등)에 의해 좌우된다. • 접지저항 측정방법 1.HOOK-ON 방식 : 클램프 CT를 접지선에 물린 상태에서 기능 선택 스위치를 Ω 위치에 놓으면 LCD에 접지저항값이 표시됨2.전위차계 방식 : 접지전극 E와 보조접지전극 P(전위보조전극) 및 C(전류보조전극)를 일직선상(E-P-C)에 놓고 측정※ E-P간의 간격을 넓게 배치
Ⅲ.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재해예방 누전차단기란 ? • 교류 600V 이하의 저압전로에서 인체의 감전사고 및 누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기 • 누전, 절연파괴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지락전류가 일정값 이상이 될 경우 전동기계·기구의 전로를 차단 • ELB(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GFCI(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RCD(Residual Circuit Device) 등 • 정격감도전류 30mA, 동작시간 0.03초 이내에 작동
누전차단기 설치대상 대지전압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를 사용하거나 감전위험이 높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누전차단기를 설치 1.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 장소 2. 철판, 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3. 임시배전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누전차단기 설치 시 유의사항 • 누전차단기는 분기회로 또는 전기기계·기구마다 접속하고 배·분전반에 설치 • 분기회로, 즉 콘센트 회로에 접속하는 누전차단기는 감전보호가 주목적이므로 정격감도전류 30㎃인 것을 설치
정격감도전류 100㎃ 또는 200㎃의 누전차단기 용도는 30㎃의 후비(Back-up)보호용이나 배선용차단기(NFB)의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전방지를 주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지양 • 누전전용(지락보호 전용) 누전차단기는 별도의 과전류 보호 장치를 설치 • 누전차단기를 전로에 접속 시 전원측과 부하측을 반대로 접속할 경우 누전차단기 트립 코일이 소손되므로 주의 • 3상용 누전차단기를 단상선로에 접속할 경우 전원 접속은 3상용 누전차단기 R, T상에 접속 ※ 누전차단기 동작 원리 사고지락전류Ig에 의한 자계가 영상변류기에 나타나 검출 → 차단기 동작
접지와 누전차단기와의 관계 • 누전에 의한 감전방지를 위해 접지는 필수, 누전차단기는 선택 • - 모든 전기기계·기구는 접지를 기본으로 하고 특히, 대지전압 150V를 초과하거나 철판, 철골 위 등과 같이 감전위험이 높은 장소에서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할 경우 접지에 부가하여 누전차단기를 설치·사용해야 한다. • 건설현장의 경우, 220V를 사용하는 이동형 전기기계·기구 콘센트 전원 측에는 접지와 동시에 누전차단기를 설치·사용
Ⅳ.가설 배전계통 및 배선관리 현장 배·분전반 설계 및 제조 • 빈번한 접촉에 따른 반복 사용에 의한 적용상의 유연성 •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구조 • 쉽게 손상되지 않는 견고한 구조 • 잠금 스위치 및 단로 수단 구비
현장 배·분전반 배치 및 관리 • 부하 사용 장소에 근접된 곳에 필요한 수량의 분전반을 배치 사용부하를 적절히 분산하면서 과다한 이동전선의 연장사용 등을 예방 • 전기안전 관리 담당자를 지정·운영 불특정 다수에 의해 분전반이 취급·관리되는 것을 예방 • 현장의 불안전한 전기기계·기구 사용 실태를 점검 및 개선 올바른 전기기계기구의 사용을 유도 • 전원 인출은 가급적 콘센트 및 플러그를 통해 인출하도록 설치 전기전문가 외의 접근을 통제 • 콘센트 전단에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과전류 보호겸용) 부착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 보호판(절연덮개)을 설치, 금속제 분전함의 외함은 반드시 접지 • 분전반은 잠금장치를 하고 “취급자 외 조작금지”표지를 부착전기안전 담당자 연락번호 등을 반드시 명기하여 긴급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함 • 옥외 분전반 등의 외함은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로 설치, 그 밖의 옥외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외함은 방수·방진구조를 갖춰야 함 • 전선의 정격용량 이상을 초과하여 문어발식전선 접속 금지 과열에 의한 화재 예방
임시배선 및 이동전선 관리 • 옥내에 시설하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이동전선 가용성이 좋은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이상인것을 사용 •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저압의 이동전선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한 1종 캡타이어 케이블 및 비닐캡타이어 케이블 이외의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이상인 것을 사용 •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이동전선1종 캡타이어 케이블 및 비닐캡타이어 케이블 이외의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이상인 것을 사용(용접용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제외)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이동전선 1종 캡타이어 케이블 및 비닐캡타이어 케이블 이외의 캡타이어 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이상인 것을 사용 • 저압의 이동전선에 접속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접지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의 선심하나를 접지선으로 사용하여 분전반 접지모선에 접속 콘센트에서의 이동전선 접지선 접속
접지극 붙이가 있는 꽂음접속기(콘센트 및 플러그)사용 • 사용전압이 다른 콘센트 및 플러그는 상호 접속되지 않은 구조로 하고 외관상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구조로 함 • 임시배선은 지중 또는 가공으로 포설, 도로 및 통로노출 금지 • 이동전선을 서로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절연성능 이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테이프로 전선 절연층 두께의 1.5배가 되도록 감아서 연결 • 걸기형 콘센트와 플러그를 케이블에 설치한 후 접속 전선에 장력이 걸려도 빠지지 않도록 함 • 옥외에서 연결할 경우 방수형 콘센트 및 플러그를 사용
Ⅴ.기타 가설전기 안전관리 전기기계·기구 안전관리 임시 수전설비 안전조치 • 임시수전설비는 구획된 장소에 설치하고 관계자 외 출입 통제를 위한 위험표지판 부착, 잠금장치 설치 • 구획된 장소 주위에 울타리를 설치하고 울타리는 [울타리 높이+ 울타리로부터 충전부까지의 거리] ≥ 5m이상이 되도록 설치 • 금속제 울타리 접지
이동형 투광등 및 조명설비 • 조명등 파손 및 감전방지를 위해 전구 보호망을 설치하고 배선은 가공 상태에서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테이핑 • 등기구 파손 시 감전방지를 위해 반드시 전원을 차단 후 교체 • 투광등은 접지선이 포함된 다심형 케이블을 사용하여 금속제 등기구에 접지 • 등기구 전선 인입구에 절연패킹이 탈락되지 않도록 관리
교류아크용접기 안전조치 • 용접기 배선은 용접용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 • 용접기의 외함은 반드시 접지하고 단자 접속부는 절연테이프 또는 절연덮개로 방호 • 용접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용접기 가까운 곳에 전용개폐기 또는 안전스위치를 설치 • 교류아크용접기에는 성능검정품인 자동전격방지기를 부착 • 홀더 절연물 파손 시 즉시 교체, 절연내력 및 내열성이 있는 KS 규격품을 사용
양수기 등 운휴설비 • 양수기, 이동형 수중펌프나 배수펌프 등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다가 장마철에만 사용하는 운휴설비는 반드시 사용 전 절연저항을 측정한 후 사용 • 양수기, 이동형 수중펌프 등의 전원 측에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30㎃, 동작시간 0.03초)를 설치 • 이동형 수중펌프 등의 운반 시별도의 인양로프를 사용(케이블의 인양도구 사용 금지) • 수중펌프나 배수펌프 등은 임의 수리 시 외함 보호등급을 상실하여 감전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업체에 의뢰
이동형 설비 • 작업 중에 위치가 자주 변경되는 승강기, 리프트 등과 같은 설비의 전원은 외장 케이블을 사용 • 설비를 재설치할 경우 설비와 케이블을 이동하기 전에 전원을 차단하고 케이블을 분리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 • 자주 이동되는 설비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연 케이블로 전원과 연결하고 적당한 위치를 선정·보호 • 대전류 설비(16A 이상)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부하상태에서 분리할 때 아크가 발생하여 화상이나 기타 상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플러그나 콘센트를 분리하기 전에 스위치를 차단
휴대용 전기기구 • 휴대용 기기와 리드선은 이중절연구조의 기기를 사용하고 리드선과 플러그는 정기적으로 검사 • 주전원이 220V 또는 그 이상인 현장에서는 저전압 계통(110V 중간탭 접지계통), 무선, 공압기구 등을 선정 • 110V 저전압 계통에서 사용하는 플러그와 콘센트는 220V 플러그와 콘센트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모양이나 색깔(25V 보라색, 50V 흰색, 110V 노란색, 220V 푸른색, 400V 붉은색)로 구분하여 전원 투입 시 오조작 예방 • 단선(비연선)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쉽게 손상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대체 케이블이나 연장 리드선으로 사용 금지
침수된 지하배관 출입 • 여름철 지하에 물이 차거나 침수된 이후 지하실 출입 시 반드시 지하의 모든 전원을 차단 후 출입 • 우천 시에는 인체저항이 급격히 떨어져 감전위험이 높으므로 전기취급을 금지
전기기계·기구 수리 및 점검 전기설비의 점검 • 건설현장(현장 사무실 제외)의 배전계통은 수시 또는 매 3월마다 재시험을 실시, 불량한 선로나 기기는 사용하기 전에 지체 없이 선로에서 분리시켜 필요한 조치를 실시 • 현장 사무실의 설비는 정기적으로 검사(기간 12개월 이하) • 전기전문가가 전기설비의 일상시험과 결함보수작업 실시
휴대용 전기기구 점검 • 휴대용 전기기구의 정비 사항 • ■ 정기 육안검사■ 사용자에 의한 점검■ 필요한 경우, 시험과 검사의 병행 실시
육안검사와 사용자 점검내용 • ■ 노출 전선이 보이는 지 여부■ 케이블 피복이 손상되지 않고 절단 또는 마모 여부■ 플러그의 상태: 외함 파손, 핀 구부러짐, 콘센트 막힘 여부 ■ 케이블에 테이프가 없거나 기타 비정상적 방법으로 처리된 접속점이 없는지 여부 ■ 케이블의 외피가 플러그 또는 기기에 압착되어 있는지 여부 ■ 설비의 외함이 손상 받거나 느슨하지 않은지, 모든 나사는 제 위치에 있는지 여부 ■ 플러그, 케이블 또는 설비에 과열이나 탄 자국 유무 ■ 누전차단기(ELB) 작동 여부
전기기계·기구 철거, 해체 및 시운전 철거 및 해체 • 철거과정에서 전기가 필요한 경우, 철거 건물 내의 전원과는 별개로 설치- 철거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기존 전원설비의 위치확인- 건물을 철거하기 전에 모든 전원 차단 및 유자격자 확인 • 작업 전에 기존전선이 안전하며 관련 선로가 정확한지 확인 기존 전기설비 또는 이와 접속되어있는 기기 등과의 접촉이나 사용에 따른 위험 예방 • 노후 전선과 기기 등의 잠재적 위험원은 철거
건물 또는 구조물 시운전 • 시운전 시 확인사항 • ■ 도급자의 문서화된 시운전 절차 점검 ■ 사용하는 모든 자물쇠와 열쇠는 분명히 확인하고, 주도급자나 도급자가 지정한 감독자에 의해 관리 ■ 시운전하는 동안은 가설 전원의 사용 최소화 • 모든 외함이 완벽 결합되기 전까지 전기계통을 충전 금지시운전 대상이 아닌 기기가 착오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한 임시 경보표지 부착 • 사용 중에 있지 않은 선로와 퓨즈, 소형 차단기의 덮개는 닫은 후 열쇠로 채우고 열쇠는 책임 있는 관리자가 보관
모든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하는 세상,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