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Perioperative Management of Chronic Heart Failure

Perioperative Management of Chronic Heart Failure. Abnesth Analg 2006;103:557-75. R 4 신 승 호. HF classification. HF Classification. Updated ACC/AHA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managing HF include new four-staging classification system Preclinical stages of HF

Download Presentation

Perioperative Management of Chronic Heart Failur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erioperative Management of Chronic Heart Failure Abnesth Analg 2006;103:557-75 R 4 신 승 호

  2. HF classification HF Classification • Updated ACC/AHA guidelines for evaluating and managing HF include new four-staging classification system • Preclinical stages of HF • Complement, not replace, widely used NYHA classification • HF may result from coronary a. disease, HTN, valvular heart disease, cardiomyopathy • Progression of underlying disease • Symptomatic or asymptomatic LV dysfunction • Neurohormonal responses to impaired cardiac performanace • Sympathetic stimulation, salt & water retention, vasoconstrictuin

  3. HF classification • Neurohormonal response • Initially adaptive, but over time become maladaptive • Pulmonary congestion, excessive afterload • Vicious cycle of increased & inefficient cardiac energy

  4. Inhibitors of Renin-Angiotensin system

  5. ACE inhibitors ACE Inhibitors • Mechanism of action • Decapeptide 인 angioitensin-I 을 분해해서, angiotensin-II 로 만드는 enzyme 인 ACE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의 protease activity 를 억제 • ACE 는 또한 bradikinin 을 대사 • ACE inhibitor 사용시, 혈액 및 조직의 bradykinin 증가 • Cough, angioedema 등 유발 • Several useful action in CHF • Potent vasodilator • Angiotensin-II, norepinephrine 의 농도 감소 • Bradykinin, NO, PGI 의 농도 증가 • ADH 및 aldosterone 의 분비 억제 신장의 water, salt 재흡수 억제 • Sympathetic nerve ending 에서, angiotensin-I 의 receptor 결합이 증가  norepinephrine 의 release 억제 • In tissue • Angiotension-II mediated ventricular & vascular remodeling 억제

  6. ACE inhibitors • Clinical Evidence

  7. ACE inhibitors • 위의 임상적인 연구를 확장해서 • ACE inhibitor 를 first-line preventive therapy 로사용 • Broad spectrum • LV systolic dysfunction with or without Sx (class B-D) • High risk patient for vascular disease, DM, and traditional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de (Class A) • ACE inhibitor 사용시 주의해야 하는 경우 • Low systolic BP (<80mmHg) • Marked renal dysfunction ( Serum Cr level > 3.0mg/dL) • Serum potassium concentration >5.5 mMol/L • Renal artery stenosis,LV outflow obstruction • Contraindication • Pregnancy • Hx of porphyria • Cardiogenic shock, angioedema, anuric renal failure

  8. ACE inhibitors • Perioperative implication • 마취약제, surgical procedure, patient positioning, blood loss • RAAS, SNS 에 영향 • Chronic ACE inhibitors medication • Should be continued ?, or withdrawn  controversy • Patient treated with ACE-I • Prone to hypotension with induction & maintenance of G/A • Intravascular volume deficit • 일반적인 마취 약제에 의해 발생하는 SNS effect (venous polling of blood,reduced CO, low BP) 를상쇄하는 angiotensin-II 의 effect 가 감소 • Rykwaert-Colson et.al • Chronic ACE-I 환자의 경우, 약 22% 에서, 수술 1일 동안, severe hypotension 발생 • Induction 후의 BP, HR 의 instability 는 LV dysfunction 여부와 관계없이, ACE-I 복용 환자에게서 발생 • ACE-I 복용 환자에게 발생하는 Hypotension 은 마취 종류 (general, spinal, epidural, CSE) 에 따른 incidence, severity 는 불명확

  9. ACE inhibitors • Perioperative implication • Long-term ACE inhibitors treatment 가 spinal anesthesia 시 발생하는 BP 감소를 악화 시키지는 않음 • AVP, norepinephrine 의 작용으로, RAAS 의 inhibition 을 보상 • 수술전 ACE-I 복용을 일시 중단하는 것 만으로도, intraoperative hypotension, hypovolemia 를 예방, 완화 • 88 명의 심장 수술 환자 연구에서, • Induction 후, iv enalapril 투여는 CPB 가동전, cardiac enzyme level 을 감소 • ACE-I 투여는, kidney 보호 효과 • Aortocoronary bypass 환자 에서, 수술전 captopril 투여시, 대조군에 비해, CPB time 동안 renalblood flow 및 GFR 이 더 잘 유지 • Aortic-abdominal surgery • Pretreatment with single dose of enalapril before induction • Smaller reduction in CO, GFR during aortic clamping, 수술후 CCR 증가 • Organ protective effect of ACE-I • Routine prophylatic use 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

  10. ACE inhibitors • Perioperative implication • In nonsurgical setting • Benefit of RAS modulation of ACE-I • 수술 전까지 ACE-I 복용을 유지시키는 것에 대한 이득 vs 부작용(hypotension) • 완전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음 • Anesthesiologist • Continue the medication • 짧은 시간의 hypotension 의 경우, sympathomimetics (ephedrine), alpha agonist (phenylephrine), 주의 깊은 volume expansion 등 으로 극복가능 (ephedrine) • Non-cardiac surgery 또는, CPB weaning 시 위의 처치에 반응 하지 않은 hypotensin 의 경우, AVP 를small bolus (1-2 U) 또는 infusion (4-6 U/h) • Spinal or epidural anesthesia • Severe refractory Hypotension • Beta adrenergic stimulation with epinephrine (0.5-1 micrograms/min) 고려 • G/A 시 점진적인 iv anesthetics 사용, 혹은 ketamine 또는 etomidate 등의 hypotension 유발 가능성이 낮은 마취 약제 사용

  11. ACE inhibitors • Perioperative implication • 마취된 환자에게 ACE-I 와 amiodarone 병행 투여시 Hypotension 유발 빈도 증가 • Aprotinin 과의 병행 투여는 CPB 후, renal insufficieny 발생 증가 • 짧은 기간 동안, ACE-I 복용 중단은 ACE-I 의 long-term benefit(remodeling 억제) 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Cardiac surgery 에서, ACE-I 복용의 중단 • Induction 시의 hypotension, CPB weaning 시 vasoconstrictor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12. ARBs ARBs (Aldosterone receptor blockers) • Mechanism of action • Chronic ACE-I therapy 시, angiotensin-II 및 aldosterone 이 증가 하는 경우가 있음 • Substrate Angiotensin-I 의 축적, non-ACE dependent pathway • Non-ACE dependent angiotensin-II 는 LV remodeling 및 HF 유발 • AT1 receptor effect • Selective AT1-blockers • Angiotensin-II 에 의한 vasoconstricton, sodium retention, norepinephrien 분비 억제 • LV hypertrophy 및 interstitium fibrosis 를 억제, delay • AT2 activity (NO release, vasodilation) 은 유지됨

  13. ARBs • Clinical evidence • ARBs are suitable alternatives to ACE-I • Symptomatic HF 이면서, ACE-I 에 side effect (persistent cough, angioedema, hyperkalemia, renal dysfunction ) • Standard ACE-I , BB 에 추가해서 ARBs 를 쓰는 것은 이득이 없음

  14. ARBS • Perioperative implication • 만성적으로 ARBs 투여시, • Induction 시 hypotensin incidence 증가 • CPB 중 혹은 weaning 시 vasoconstrictor 사용이 증가 • 다른 Anti-hypertensive 및 ACE-I 와 비교시 • 일반적인 vasopressors (ephedrine, phenylephrine) 등에 대한 반응 감소 • ARBs 복용을 24 시간 이상 중단시. • Hypotension 빈도가 감소 • 마취된 환자에게서, refractory hypotention 시 • Vassopressin or vasopressin analogs 사용 • Hypotension 발생시, bradycardia 동반 가능성이 높음 • 특히, Sufentanyl 등의 vagotonic drug 사용시 • 노인 환자의 경우, 예방적인 glycopyrrolate (0.2mg) 사용이 권장

  15. Aldosterone receptor antagonist Aldosterone Receptor Antagonist • Mechanism of action • Traditional effects of mineralocorticoid receptor blockade • Natriuresis, diuresis, potassium retention • Nonrenal effect • Decreased myocardial collagen formation, increased myocardial norepinephrine uptake, decreased circulation norepinephrine levels, normalizetion of baroreceptor function, increased HR variabilty, reduce endothelial dysfunction, increased NO bioactivity • Conservation of potassium • Long-term complication  Hyperkalemia

  16. Aldosterone receptor antagonist • Clinical Evidence • Randomize aldactone evaluation study (RALES) • Stage C, NYHA 3-4 • Standard therapy 에 추가해서, spinorolactone (26mg/d) 사용시, mortality 감소 • 추가적인 연구에서, spinorolactone 환자의 장기적 사용은 hyperkalemia related mortality & morbidity 증가 • Eplerenone • Spinorolactone의 common side effect (gynecomastia) 감소 • Symptomatic HF 환자에서, ACE-I, loop diuretics, BB 와 병행 투여시, mortality 감소 • Aldosterone receptor blocker 사용은 • Endothelial function, 운동 부하, EF, collagen formation 등에서 모두 이로운 효과 • Aldosterone receptor blocker의 indication • 더 확장 되어야 함 • Asymptomatic systolic LV dysfunction

  17. Aldosterone receptor antagonist • Perioperative Implications • Anesthesia 와 연관된 hypotension 유발 여부는 불분면 • Life-threatening hyperkalemia 유발 가능에 유의 • 다른 RAS blocker 와 병행시 risk 증가 • Preexisting renal insufficiency, DM, anemia 시 발생 증가 • 환자에 대한 red cell transfusion 시 유의 • 마취 전, 마취 중 potassium level 에 대한 측정, 감시

  18. BB Beta-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 Mechanism of action • Beneficial effect of BB , in CHF • Improved systolic function, myocardial energetics, and reversal of pathologic remodeling • 심근 대사 에너지원을 Free fatty acid 에서 glucose 로 전환 • Ischemia 시 glucose 가 더 유용한 에너지 원 • 병적인 neurohormonal activation 을 상쇄 • 수술, 마취, HF 에 의한 • Natriuretic peptide, fetal-like beta-myosin, SERCA2 등의 myocyte 의 systolic dysfunction 을 유발하는 gene 의 down regulation • 심근의 excitation-contracton coupling 억제 • Chronic beta-adrenergic blockade • Excessive SNS stimuation 을 완화 • LV remodeling 을 reversal

  19. BB

  20. BB • Clinical evidence • 오랜 기간 동안, BB 는 HF 환자에게 사용되지 않음 • Negative inotropic effect • 여러 연구를 통해, BB 의 유용성 입증 • Improve energetics, ventricular function 의 회복, remodeling reversal • 모든 BB 가 HF 환자의 outcome 을 향상 시키지는 않음

  21. BB • Clinical evidence • Asymptomatic HF patient 환자에게 recommended • 임상적으로 사용시, BB 는 small dose 로 시작해서, 점차 증량해서 사용 • Classification ofBB • 1st generation (nonselective beta-1, beta-2 blockade) • Propralnolol, timolol • Not recommended HF • 2nd generation (selective beta-1 blockade) • Additional cardiovascular activity 없음 • Bisoprolol, atenolol • 3rd generation (beta-1, beta-2 blockade, vasodillator effect) • 추가 적인 이로운 효과 보유 • Bucindolol, carvedilol, labetarol • Carvedilol 의 경우, insulin sensitivity 증가 • Carvedilol 이 다른 BB 에 비해 더 효과적 (COMET trial)

  22. BB • Clinical evidence • Guildelines • Stage B-D HF • Long-term BB 사용을 포함 • Iv inotrope 나 vasodilator 를 필요로 하는 decompensatin 인경우 사용 중지 • 질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고, mortaliy 감소 • DM 환자의 경우라도, 기본적인 HF tripletherapy 에 BB 는 포함 되어야 함 • BB, ACE-I, aldosterone antagonist

  23. BB • Perioperative Implication • High risk cardiac patient with ischemia, arrythmia, HTN and history of these condition • Preoperative cardiac evaluation 시 ischemia 가 발견된 환자 • 이러한 환자 들에게, 예방적인 BB 투여는 ischemia 및 arrythmia 예방에 효과가 있음 • PerioperativeHTN, ischemia, 등이수술 전후로 발견될 때, 또는 이전에 질병이 존재 했지만, 치료받지 않은 경우 • Perioperative treatment (BB)가 즉각 이루어 져야 함 • 대다수의 경우, high-risk patient 에 대한 perioperative BB treatment 는충분히 이루어 지지 않음 • 수술 직전, 단지 HF 치료를 위해 BB treatment 를 시작 하는것은 모험적인 것 • 장기적으로 BB 복용중인 환자에 대해, 수술전 BB 복용을 중지시키는 것은 매우 위험

  24. Adjunctive Drugs Adjunctive Drugs • LV dysfunction, symptomatic HF • Diuretics, Digoxin 등 • Diuretics • Rapid symptomatic relief • ACE-I, BB 에 의한 이로운 효과를 극대화 • Older pt 에서, BB 와 병행 투여시, pulse pr 를 줄임 • Pulse pr 가 증가시, 고령 환자에서, cardiovascular outcome이 악화 • HF 악화에 의한, 입원이나 mortality • Non-potassium sparing 투여 환자의 경우 오히려 증가

  25. Adjunctive Drugs Adjunctive Drugs • Digoxin • ACE-I, BB, diuretics 투여 에도 불구 하고, symptom 이 있는 LV dysfunction, HF 환자에게 효과적 • Chronic HF 환자에서 mortality 를 증가 시키지 않는 유일한 inotopic drug • Digoxin 투여는, HF 악화를줄임 • No effect on survival

  26. Adjunctive Drugs • PerioperativeImplication • 장기간의 diuretics 투여는 electolyte imbalance, 특히 hyperkalemia 유발 • 마취 중, hypotension, arrythmia 유발가능 • Perioperative cardiovascular death 와는 연관 없음 • Digoxin treatment 의 complication • Life-threatening and difficult to diagnose and treat • Narrow therapeutic range • Digoxin toxicity 의 악화 요인 • Hypomagnesemia, hypercalcemia, hypokalemia • Treatment of digoxin toxicity • Electrolyte imbalance 교정, antiarrhythmic agent (phenytoin) • Digoxin antibody • 수술전 digoxin 의 투여 지속여부는 controversial • 하지만, digoxin 의 inotropic effect 는더 짧은 반감기를 가진 다른 약제로 대체 가능 • 고령 환자의 경우, digoxin 투여 중지가 바람직

  27. Management of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HF

  28. IV vasodilators • Reduce ventricular filling pressure & SVR • Stroke volume 및 CO 을 증가 • Nitroglycerin • Recombinant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Nesiritide) • Acute HF and dyspnea • Endothelial, vascular smooth m 의 natrouretic peptide receptor 에 결합 • Venous, arterial vasodilation • HR 변화 및 cardiac inotropic effct 없음 • Diuresis effect & coronary vasodilation • Rapid onset ( 2분), 반감기 (18분) • Inperioperative setting • Starting infusion dose (0.005 micrograms /min kg) without bolus • SVR (<800 dyne s cm -5) • ACE-I, BB 사용시 • Acute decompensated HF 시, 증상 완화.

  29. IV vasodilators • Recombinant Brain natriuretic peptide (BNP) • Pulmonary artery pr 감소 • Acute tolerance 없음 • NTG 에 비해 부작용 적음 • Dobutamine 에 비해, VT 및 cardiac arrest 빈도 감소 • Vasodilator, nesiritide 는 dobutimine이나 milinone 에 비해, mortality oddratio 가 낮음 • Side effect • Renal failure • FDA recommand • Nesiritide 는 입원 환자에게만 사용 되어야 하며, • Acute decompensated HF 시에만사용 • 단순히, diuresis 및 kidney protection 용도로의 사용은 금기

  30. Inotropes • 장기적인 inotropes (milinone, inamrinone) 사용은 mortality 증가 • 그럼에도, dobutamine, milinone 등의 inotrope 이 decompensated HF 치료에 사용되어 옴 • 근거가 되는 자료가 부족함에도, 사용되는 실정 • e.g 심장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에서, ventricular assist device 사용을 피하기 위해 • Levosimendan, new cAMP-independent positive inotropes • No negative effect outcome effect • Acute decompensation of chronic HF • Calcium 에 대한 myocyte sensitivity 증가 (during systole) • Diastole 시 calcium over load 를 유발하지 않음  inotropic performance 증가, diastolic performance 유지 • K ATP channel 을 open • Vascular smooth m  vasodilation • Cardiac m 에서, ischemia 에 대해 protection • Dobutime 과 비교해서, 1month mortality 증가

  31. Invasive theapy • Drug treatment 가 효과가 없을시 • Ventricular assist device • Biventricular pacing • Coronary bypass • Heart transplantation

  32. Current Clinical practice • Diagnosis • P/Ex, medical Hx, ECG, echocardiogram, CXr • BNP • < 100 pg/ml  HF is highly unlikely • > 500 pg/ml  HF is highly likely • Treatment • LV dysfunction 의 dysfunction 을 예방 • HTN, coronary artery disease 가 LV dysfunction 의 주원인 • 따라서, HTN, 및 hypercholesterolemia 가 존재 시 즉각적인 교정에 들어 가야 함 • DM, HTN, hypercholesterolemia 가 있는 경우, • cardiovascular risk 가 높은 경우 즉각적으로 ACE-I 및 BB 사용이 고려 (normal contractile function 인 경우라 하더라도) • Asymptomatic LV dysfuncion (EF<40%) stage B • ACE-I + BB

  33. Treatment • Symptomatic HF patient (stage C) • ACE-I 및 BB 에 추가해서 diuretics 사용 • Sx 완화, pulmonary congestion 치료, pph edema 완화 • 다른 치료에 Sx 이 존재 하는 경우 • Dogoxin 투여 고려 • ACE-I , ARBs 에 금기 이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 • Isosorbid dinitrate, hydralazine 등 고려 • Stage D • Based on hemodynamic status • Symptomatic treatment with diuretics, vasodilators • Palliative iv inotropes

  34.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하는 Stage D 혹은 decompensated Stage C pt • Pulmonary edema 를치료 하기 위해 tracheal intubation 과 positive ventilation 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 환자들이 table 에 똑바로 누울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regional anesthesia 는 시행 되는 경우가 적음 • crystalloid 투여에 신중 • Induction & maintenance anesthetic agent • 어떤한 약제도 다른 약제보다 우수하거나 하지 않음 • 모든 iv, volatile agent 사용 가능 • 약제의 선택 보다는 수술중의 fluid management 및 medical treatment 가 더 중요 • Invasive BP monitoring • TEE • BP 가 떨어지는 경우, volume 문제인지, ventricular function 문제인지, arterial vasodilation 문제인지 감별에 도움 • Pulmonary artery catheterization • TEE 가 준비 되지 못한 경우, 유용

  35. Hypotension 시, 많은 양의 Blood, colloid, crystalloid 투여가 필요로 하는 경우 • 반드시 true hypovolemia 있는지 확인 • Diuretics 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 일반 적인 furosemide dose 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음 • Continuous infusion of • Furosemide (20mg/hr) • Nesiritide(0.005-0.01 micrograms/kg min) • Perioperative transfusion • Hemodynamically stable with history of HF • Intravascular volume overload 에 유의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