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likes | 436 Views
후반기 이명박 정부 ,. 공정사회를 위한 교육과제는 ?. 공동 설문조사 결과. □ 기 간 : 2010. 10. 4 ~ 10. 13 □ 대 상 ○ 교수ㆍ학자 그룹 : 203 명 ( 공동 주최 학회 소속 ) ○ 교원 그룹 : 773 명 □ 방 법 :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 한국정책학회 / 한국행정학회. 후반기 이명박 정부 정책기조인 ‘공정한 사회 ’ 에 대한 생각. 교수ㆍ학자.
E N D
후반기 이명박 정부, 공정사회를 위한 교육과제는? 공동 설문조사 결과 □ 기 간 : 2010. 10. 4 ~ 10. 13 □ 대 상 ○ 교수ㆍ학자 그룹 : 203명 (공동 주최 학회 소속) ○ 교원 그룹 : 773명 □ 방 법 :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 한국정책학회 / 한국행정학회
후반기 이명박 정부 정책기조인 • ‘공정한 사회’에 대한 생각 교수ㆍ학자
이명박 정부의 전반기 정책기조와 내용이 • ‘공정한 사회’와 부합되는지 여부 교수ㆍ학자
‘공정한 사회’의 지나친 강조로 인한 역차별 발생 가능성 교수ㆍ학자
‘공정한 사회’를 위한 교육부문의 기여 여부 교수ㆍ학자
교육을 통해 개인적 성공을 이룰 가능성이 높은 사회인지 여부 교수ㆍ학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부여의 관점에서 본 공정여부 교수ㆍ학자
헌법의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과 가장 가까운 실현 방안 교수ㆍ학자
교육부문에 있어 저소득층, 특수아동 다문화 가정 자녀, 새터민 등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여부 교수ㆍ학자
유·초중·고·대학 등 일련의 교육과정(process)에 공평한 접근기회 여부 교수ㆍ학자
학생들이 ‘공정’ 등 사회적 정의에 충분히 교육을 받고 있는지 여부 교수ㆍ학자
사교육이 향후 직업 및 소득 등 분배에 미치는 영향 교수ㆍ학자
학벌, 재력, 가정배경 등의 요인이 어느 단계의 교육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지 여부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학생인권조례 제정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무상급식 확대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 고교평준화 확대(특목고, 외고, 자율형 사립고 등 억제)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학업성취도 평가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 09 개정 교육과정 (수업시수 교과군별 20% 범위내 조정)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입학사정관제 확대 교수ㆍ학자
입학사정관제 확대 정책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교원능력개발평가(학생, 학부모만족도 조사) 교수ㆍ학자
교육현안 또는 정책이 ‘공정한 교육’에 기여하는지 정도 ○공모를 통한 교장임용 확대(일반 승진형 교장과의 형평) 교수ㆍ학자
교육과학기술부 및 진보교육감의 교육정책에 교원들의 의견이 공정 반영되고 있는지 여부 교수ㆍ학자
‘공정한 사회’를 위해 교육부문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 교수ㆍ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