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 likes | 827 Views
제 6 강 기억. 문제제기 : 1. 현재 발생하는 사실을 기억할 수 없다면 정체성은 ? ( 메멘토 ) 2. 왜 잊고 싶은 일은 잊혀지지 않으며 , 기억하고 싶은 것은 기억되지 않는가 ? 정의 : 과거 경험을 기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 기록내용을 참조하여 현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정 기억 연구 : 예비적 구분 시간적 구분 : 감각기억 , 단기기억 ( 작업기억 ), 장기기억 의식 여부 :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 내용 기분 :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E N D
문제제기: 1. 현재 발생하는 사실을 기억할 수 없다면 정체성은? (메멘토) 2. 왜 잊고 싶은 일은 잊혀지지 않으며, 기억하고 싶은 것은 기억되지 않는가? • 정의: 과거 경험을 기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 기록내용을 참조하여 현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정 • 기억 연구: 예비적 구분 • 시간적 구분: 감각기억, 단기기억(작업기억), 장기기억 • 의식 여부: 명시적 기억과 암묵적 기억 • 내용 기분: 일화기억과 의미기억 • 형태적 구분: 서술기억과 절차기억 • 과정적 구분: 부호화, 저장, 인출
부호화, 저장, 인출 • 기억과정의 특징 • 부호화(encoding): 정보가 기억에 저장되는 형태 • 저장(storage): 부호화된 경험의 신경계 기록(흔적) • 인출(retrieval): 저장된 모든 기억흔적 중에서 특정한 것을 선택하여 “기억해 내려고 시도하는” 시점 -> 회상과 재인 방법 활용
기억의 단계이론 (stage theory): 이중 기억이론 • 기억체계의 차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저장용량의 차이 • 단기기억의 특징: 계열적 망라적 탐색 • 기억폭: 단기기억의 경우 Miller의 마법의 수 7. • 기억 폭 확장은 청크로 재부호화 형성과 관련. • 이중 기억 이론의 증거: 자유회상 실험 결과 초두효과와 최신효과가 나타남 • 되뇌기의 역할: 단기기억을 장기로 전환 (가정)
변화된 관점: 적극적 기억의 체제화 능동적 과정으로서의 단기기억: 작업기억(working memory) 유지형 되뇌기의 한계: 장기기억으로 전환의 어려움 정교화 되뇌기(처리수준 이론): 더 깊은 정보처리, 관계의 의미 부여할수록 장기기억에 유리 제한된 것은 저장용량이 아니라 처리용량 구성요소: 음운 루프(고리), 시공간 스케치판(잡기장), 중앙집행부(통제센터)
음운 루프: 말소리에 근거한 정보를 유지 조작. • 시공간 스케치판: 시각적, 공간적 정보에 대해 음운 루프와 동일한 기능 수행. • 중앙집행부(통제센터): 주의를 통제하고, 음운 루프와 시공간 스케치판의 정보 통합. 예) “더더더더”라고 소리를 내면서 “기악운다름아”를 읽기는 어려우나, 손으로 탁자를 톡톡치면서 읽기는 쉽다.
장기기억으로부터의 회상 - 인출단서(힌트)의 사용 -> 설단현상의 이해: 알고 있는 것을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저장되어 있으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이름의 첫글자나 음절의 수가 효과적 해소 단서. 인출의 실패는 기억의 실패가 아님을 시사. 예) 동창생 이름 - 맥락(무드)과 인출: 부합성 원리(부호화 특정성 원리: 인출시 맥락과 부호화 맥락이 일치할 때 회상 높음). 상태의존 기억, 기분일치 효과 - 처리수준이론: 처리되는 수준이 깊을수록 오래 기억 - 도식(schema)과 각본(script): 특정 대상이나 연속적 사건에 대한 지식의 조직화. 도식과 일치하는 것을 더 잘 기억. 회상은 관찰한 실제와 자신의 도식에 영향을 받음.
기억의 왜곡 - 평탄화(leveling): 이야기를 단순하게 만듦 - 첨예화(sharpening): 특정 세부사항을 부각시키거나 지나치게 강조 - 동화(assimilating): 자신의 배경이나 지식에 더 잘 맞게 세부사항을 바꿈. “아는 만큼 보인다” - 목격자 기억(증언)은 사후 정보의 영향을 통해 왜곡가능 -> 유도심문: 순응적 왜곡(기억의 회고적 변형). 차 사고 동영상 제시 후 속도 추정(“접촉” 질문시는 20-30 km/h, “충돌”시는 70-80) -> 친숙성효과: 무고한 시민을 반복제시하면 범인 지목. “밤새 유명인사 만들기 실험”(친숙한 사람을 유명인으로 잘못 판단). 기억원은 없지만 기억하는 것의 문제 - 기시감(déjà vu): 처음 본 것을 과거에 보았거나 체험한 것으로 느끼는 것. 지각적 오류. 암묵적 기억 흔적의 활성화 * 암묵적 기억: 의식하지 못하지만 존재. 조건반사, 피아니스트 연주 - 미시감(jamais vu): 이미 경험하고 익숙해진 사항이 마치 전혀 새로운 경험처럼 느껴질 때. 기억상실증이나 간질에 의해 발생할 수도
기억의 실패 • 망각 • 파지기간의 함수: 무의미 철자 실험 결과 • 이론: 소멸이론과 간섭이론 -> 순행억제(새 애인과 통화 중 옛 애인 이름 부르기)와 역행억제의 예 • 인출단서의 변화: 아동기 기억상실의 경우, 인출맥락의 변화와 부호화 차이 때문
기억의 한계 • 기억이 전적으로 왜곡되지도 않고(녹음기 이론), 전적으로 정확하지도 않다(추론과 재구성에 의한 왜곡이론). • 지각과 마찬가지로 상향적 처리와 하향적 처리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기억향상법: 충분한 되뇌기, 간섭의 최소화, 깊이 처리, 전이적합형 처리, 언어적 약호화, 심상 형성, 정보의 조직화 1) 충분한 되뇌기: “Practice makes perfect" - 반복학습: 정보를 반복할수록 그 정보에 대한 친숙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요 부분에대해 선택적으로 초점을 둘 수 있음 과잉학습(overlearning): 완전 숙달 후 계속해서 추가학습. 120% 학습. 2) 간섭의 최소화(분산학습): 유사한 자료라도 날짜를 달리하면 간섭 줄어듦. 시험 전날 공부할 과목은?
3) 깊이 처리 - 단순 기계적 반복보다 깊이있게 처리하는 것이 유리 - 자료의 의미에 과심을 두고 분석 - 자료에 개인적 의미를 부여 4) 전이적합형 처리 -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는 사실지향적 처리보다 문제지향적 처리가 효과적(Adams et al., 1988) - 검사 유형에 따라 학습방법을 달리해야. 주관식은 주관식으로, 객관식은 객관식으로
5) 언어적 부호화 • (1) 이합법(acrotics): 단어의 머리말 단서 사용. 태정태세문단세 • (2) 두문자법(acronym): 단어의 머리말을 사용해서 단어/문장을 • 만듦. “푸른 산에 불났네” • (3) 기타: 운문, 장단, 운율의 사용 • 6) 심상 형성 • - 연결법: 기억해야 할 항목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삼상 형성 • 장소법(method of loci): 잘 알고 있는 장소에 대해 기억해야 할 • 항목 배치 • - 심상이 효과적인 이유: 이중부호이론. 청크 형성에 도움 • 7) 정보의 조직화: 기억은 조직된 상태로 기억. 10년 후 고교 동창 • 생 이름 얼마나? 예) 노트 정리
손상된 기억 • 진행성 기억 상실증 • 해마 손상환자의 사례 • 코르사코프 증후군이라는 만성 알콜중독증 환자의 사례 • 역행성 기억상실증 • 기억흔적 응고화 가설: 석고 굳기에 비유
명시적 인출과 암묵적 인출의 재고 • 진행성 기억 상실증 환자가 절차적 지식(절차기억)에 손상 없음. -> 비유: 물리학자의 야구 실력. • 암묵적 기억의 손상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