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Seetalk Box 설치 및 운용 자료

Seetalk Box 설치 및 운용 자료. 목 차 1 개요 2 설치시 주의 사항 3 하드웨어 설치 방법 3.1. Cable 연결 3.1.1. Ethernet 케이블 연결 3.1.2. FXS port 3.1.3. PSTN Backup port 3.2. 케이블 연결 거리 3.2.1. Ethernet 3.2.2. Analog 회선 4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4.1. PC 설정 4.1.1. IP 자동설정. 4.1.2. IP 수동 설정 4.2. 장비 접속

Download Presentation

Seetalk Box 설치 및 운용 자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Seetalk Box 설치 및 운용 자료

  2. 목 차 1 개요 2 설치시 주의 사항 3 하드웨어 설치 방법 3.1. Cable 연결 3.1.1. Ethernet 케이블 연결 3.1.2. FXS port 3.1.3. PSTN Backup port 3.2. 케이블 연결 거리 3.2.1. Ethernet 3.2.2. Analog회선 4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4.1. PC 설정 4.1.1. IP 자동설정

  3. 4.1.2. IP 수동 설정 4.2. 장비 접속 4.3. 장비 설정 4.3.1. System Information & Admin Password 4.3.2. IP Setting 4.3.3. CSS Sever Setting 4.3.4. Speed Dial 4.3.5. DHCP Sever Setting 4.3.6. Port Forwarding 4.3.7. Status (CCS Server) 4.3.8. Restart 4.3.9. Upgrading & Misc. Options

  4. 1개요 본 절에서는 Seetalk Box의 외관 형상을 이용한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전원 케이블을 시스템의 후면 DC전원에 연결하고, AC/DC 어댑터의 다른 쪽 부분을 전원 소켓에 연결한다. 2 설치 시 주의 사항 시스템 설치 시 다음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제품의 해체(외부의 전원 어댑터 포함)는 공급회사 혹은 대리점의 인가된 기술자가 실시해야 하며, 인가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해체해서는 안 된다. (2) 제품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 장비를 설치 할 때 정전기 방지 팔찌를 착용한다. (4) 전원 공급을 위한 상전압(AC 110~220V) 연결을 위한 전원 코드는 반드시 제품과 함께 제공된 것을 사용하거나, '전'자 마크가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5) 장비의 운용을 위한 주변환경은, 섭씨 0 도에서 40 도 사이를 유지해야 하고, 공기순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8) 전원 품질이 양호한지 확인한다. (전등이 깜박거리거나 주위에 대형 모터가 있을 경우) (7) 모든 케이블류는 전원 스위치가 Off된 상태에서 연결하거나 뽑는다.

  5. (8) 전면에서 바라볼 때 시스템의 양 옆에 환풍을 위한 구멍이 있으므로 벽면 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한다. (9) 장비 위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지 않는다. 3 하드웨어 설치 방법 (1) 편평한 표면 위에 장비를 놓는다. (2) Rubber feet가 모두 붙어 있는지 확인한다. (장비 냉각에 필요) (3) 시스템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한다.

  6. 3.1.Cable 연결 그림1은 Seetalk Box의 후면에 연결되는 Cable들을 보여준다. <그림 1> Seetalk Box 시스템 연결도. PC Network

  7. 3.1.1. Ethernet 케이블 연결 본 시스템은 두 개의 Ethernet Port, 즉, LAN Port 와 WAN Port를 제공한다. WAN Port는 10Base-T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하여 ADSL 모뎀이나 케이블 모뎀과 연결되며, LAN Port는 PC 또는 HUB와 연결된다. WAN Port와 모뎀을 연결할 때는 straight 케이블을 사용하며, LAN Port가 여러 대의 PC 접속을 위하여 HUB에 연결될 때는 cross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러나, LAN Port가 한 대의 PC에 직접 연결될 때는 straight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본 케이블은 제품과 함께 제공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구입해야 하며, 최대 길이가 85m를 넘지 않도록 한다. <그림 2> RJ45 cable (UTP cable)

  8. RJ-45 Plug (WAN Port) 연결 RJ-45 Plug (Modem) Pin Signal Pin Signal TX+ 1 TX+ TX- 2 TX- RX+ 3 RX+ NC 4 NC NC 5 NC 1 2 RX- 6 RX- 3 4 5 NC 7 NC 6 7 NC 8 NC 8 <그림 3> Ethernet Port 핀 연결도 <테이블 1> WAN 포트와 모뎀간의 연결

  9. RJ-45 Plug (WAN Port) 연결 RJ-45 Plug (PC) Pin Signal Pin Signal TX+ 1 TX+ TX- 2 TX- RX+ 3 RX+ NC 4 NC NC 5 NC 1 2 RX- 6 RX- 3 4 5 NC 7 NC 6 7 NC 8 NC 8 <테이블 2> WAN 포트와 PC간의 연결

  10. RJ-11 Plug (Analog phone/Fax) 연결 RJ-11 Plug (Seetalk Box,102) Pin Signal Pin Signal 1 NC 1 NC 2 NC 2 NC 3 Ring 3 Ring 4 Tip 4 Tip 5 NC 5 NC 6 NC 6 NC 3.1.2. FXS port 일반전화 및 FAX연결을 위한 Port이며, RJ-11 Connector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과 연결 된다. <테이블3> FXS 포트의핀연결테이블

  11. RJ-11 Plug (Analog phone/Fax) 연결 RJ-11 Plug (Seetalk Box,102) Pin Signal Pin Signal 1 NC 1 NC 2 NC 2 NC 3 Ring 3 Ring 4 Tip 4 Tip 5 NC 5 NC 6 NC 6 NC 3.1.3. PSTN Backup port CO(Central Office) Trunk와 접속하기 위한 Port이며, RJ-11 Connector를 이용하여 PSTN 또는 PBX의 FXS I/F와 연결된다. <테이블 4> PSTN 백업 포트의 핀 연결 테이블

  12. 3.2. 케이블 연결 거리 Seetalk Box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최대 거리는 다음의 규격을 준수한다. 3.2.1. Ethernet 10BaseT Ethernet최대 허용 거리는 330 feet (100 meters)이다. (IEEE 802.3규격 준수) 3.2.2. Analog회선 Analog회선의 최대 허용 거리는 전화기 혹은 터미널장비를 포함하여 최대 허용 loop 저항인 600ohms까지 가능하다.

  13. 4 소프트웨어 설치 방법 4.1. PC 설정 Seetalk Box에 PC를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Telnet이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장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1.2의 서비스망 구성도에 따라 시스템을 설치한 다음 PC에 192.168.1.1과 192.168.1.253 사이의 IP를 할당하여야 한다. 4.1.1에서는 Seetalk Box의 DHCP 서버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의 유동IP설정 방법을 기술하고 4.1.2에서는 DHCP 서버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PC에서 자동으로 IP를 할당받지 못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 IP를 할당할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4.1.1. IP 자동 설정 Seetalk Box는 내부 PC에 사설 IP를 자동 할당하는 DHCP 서버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장비가 DHCP 서버 기능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 내부 PC는 다음의 설정을 통하여 사설 유동IP를 자동으로 할당 받을 수 있다. 제품 출하 시 기본적으로 DHCP 서버 기능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14. 1.시작 프로그램에서 제어판을 실행한 후 “네트워크 연결” 아이콘을 더블 클릭한다.

  15. 2.네트워크 연결 창의 로컬 영역 연결을 더블 클릭한다. 3.로컬 영역 연결 상태 창의 속성 탭을 클릭한다.

  16. 4.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의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선택한 다음 속성 탭을 클릭한다. 5.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 정보 창에서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O),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사용(E)을 선택한다.

  17. 6.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 정보 창의 확인 버튼을 누르고 지금 까지 열려진 설정 창 을 모두 닫는다.

  18. 7.도스 창을 열고 “ipconfig”명령을 실행하여 IP Address, Subnet Mask, Default Gateway 값을 확인한다. IP Address가 192.168.254.1에서 192.168.254.253 사이의 한 값으로 설정되고 Subnet Mask가 255.255.255.0, Default Gateway가 192.168.254.254이어야 한다. [c:\]ipconfig Windows IP Configuration Ethernet adapter 로컬 영역 연결: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IP Address. . . . . . . . . . . . : 192.168.254.10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 . . . . . . . : 192.168.254.254

  19. 4.1.2. IP 수동 설정 4.1.1의 설정에 의해서 PC가 정상적으로 유동 IP를 할당 받지 못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고정 IP를 할당할 경우 4.1.1의 1~4 과정까지는 동일하게 수행한 다음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 정보”창이 나타나면 다음의 과정을 수행한다. 1.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 정보 창에서 “다음 IP 주소 사용(S)”을 선택하고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를 입력한다. Seetalk Box가 고정 IP를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DNS 서버 주소도 함께 입력한다. IP 주소 : 192.168.254.1 ~ 192.168.254.253 중의 한 값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254.254 ㈜ Seetalk Box가 DHCP 프로토콜에 의해 IP를 할당 받는 경우 장비 설정이 완료된 후에 4.3.7의 “장비 상태”의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하고 그 값을 입력한다.

  20. 2.확인 탭을 클릭한 후 열려진 설정 창을 모두 닫는다. 3.도스 창에서 “ping 192.168.254.254”를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응답을 받으면 PC에서 장비에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된다. [c:\]ping 192.168.254.254 Pinging 192.168.254.254 with 32 bytes of data: Reply from 192.168.254.254: bytes=32 time=3ms TTL=255 Reply from 192.168.254.254: bytes=32 time=3ms TTL=255 Reply from 192.168.254.254: bytes=32 time=2ms TTL=255 Reply from 192.168.254.254: bytes=32 time=1ms TTL=255 Ping statistics for 192.168.254.254: Packets: Sent = 4, Received = 4, Lost = 0 (0% loss), Approximate round trip times in milli-seconds: Minimum = 1ms, Maximum = 3ms, Average = 2ms [c:\]

  21. 4.2. 장비 접속 PC와 Seetalk Box의 LAN 포트가 10Base-T UTP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을 켠 후 상태 LED가 깜박이기 시작하면 WEB을 통하여 장비에 접속이 가능한 상태다. 이때 WEB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주소 창에 “http://192.168.254.254:8000”을 입력한 후 엔터

  22. root ***** 로그인 창이 나타나면 사용자 이름 “root”, 암호 “admin”을 입력한다.

  23. 다음과 같은 초기 화면이 나타나면 장비와 접속이 완료된 상태다

  24. 4.3. 장비 설정 4.3.1. System Information & Admin Password 현재 소프트웨어 버전 및 하드웨어 주소를 확인하거나 장비 관리자의 로그인 암호를 변경한다. 현재 비밀번호와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Change Password버튼을 클릭한다.

  25. 4.3.2. IP Setting 현재 장비의 IP 주소 할당 방법, 하드웨어 주소를 확인하거나 변경한다. 변경된 값이 반영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재 시작해야 한다.

  26. 1. 고정 IP 고정 IP인 경우에는 IP 주소 설정 방법으로 “고정IP”를 선택하고 운용자가 고정 IP 설정 테이블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를 직접 입력하고 WAN IP Setting버튼을 누른다. 2. 유동 IP(ADSL) Seetalk Box가 ADSL망에 접속되어 PPPoE프로토콜로 IP를 할당 받을 경우 IP 주소 설정 방법으로 “유동IP(ADSL)”를 선택하고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받은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서비스 이름을 입력한 다음 WAN IP Setting버튼을 누른다. 3. 유동 IP(DHCP) Seetalk Box가 케이블망에 접속되어 DHCP프로토콜에 의해 IP를 할당 받을 경우에는 IP 주소 설정 방법으로 “유동IP(DHCP)”를 선택한 다음 WAN IP Setting버튼을 누른다. “고정 IP 설정”, “유동 IP(ADSL) 설정” 테이블의 값은 입력할 필요가 없다. 4. Mac 주소 설정 Seetalk Box의 하드웨어 주소를 변경한다. 인터넷 서비스 업체 중 하드웨어 주소로 인증할 경우 등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하드웨어 주소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27. 4.3.3. CSS Server Setting 게이트키퍼 주소, H.323 ID, FXS 포트에 할당된 전화번호, Backup 포트에 연결된 국선 전화를 이용하기 위한 액세스 코드, 지역 번호 삽입 여부 등 인터넷 전화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28. 4.3.4. Speed Dial 특정 전화 번호에 대해서 단축 다이얼을 지정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단축 다이얼로 “01”을 설정하면 버튼 0과 1을 누르자 마자 단축번호에서 지정된 번호로 호가 시도 되므로 011~, 019~, 등의 번호로는 착신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축번호는 *, # 등 사용하지 않는 번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9. 4.3.5. DHCP Sever Setting DHCP 서버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내부 PC에 할당할 IP 시작 주소와 최대 Client 수를 입력하고 Apply 버튼을 누르면 DHCP 서버 기능이 동작한다. DHCP 서버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IP 주소 할당 상태” 테이블에는 현재 할당된 IP 주소와 해당 PC의 하드웨어 주소가 함께 출력된다.

  30. 4.3.6. Port Forwarding 외부에서 Seetalk Box의 공인 IP를 가지고 WAN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을 사설 IP를 가진 내부의 특정 시스템으로 중계하여 외부에서 내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IP 주소 192.168.254.10을 가진 PC에서 FTP 데몬이 TCP 포트 21번에 Listen하고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이 내부망 전달 포트를 설정하고 외부에서 “ftp xxx.xxx.xxx.xxx(WAN IP 주소)”를 실행하면 외부에서 192.168.254.10으로 ftp 접속이 가능하다.

  31. 4.3.7. Status (CSS Sever) LAN 포트 및 WAN 포트의 IP 할당 상태 및 전화 접속 상태를 보여준다

  32. 4.3.8. Restart 시스템의 변경된 설정 값을 적용하거나 관리자의 필요에 의해 시스템을 재시작 시킨다.

  33. 4.3.9. Upgrading & Misc. Options S/W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정하거나 로그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34. 1. S/W Auto Upgrading Feature S/W 자동 업그레이드 “사용함”을 선택하고 서버 주소가 주어지면 Seetalk Box가 리셋될 때마다 TFTP 서버로부터 업그레이드할 파일 일부를 다운 받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면 전체 이미지를 다운 받아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자동 리셋된다. 다운로드 실패 시에는 현재 S/W를 수행한다. 2. FTP daemon status S/W 수동 업그레이드 “가능 상태”를 선택한 다음 적용 버튼을 누르면 FTP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업그레이드 관련 파일(flash_boot.x.x, newflash.x.xx.bin, boot.scr, boot.bat, bootip.bat)의 압축을 푼 다음 도스 창을 열고 해당 디렉토리에서 배치 파일을 실행시키면 업그레이드가 시작된다. LAN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내부 PC에서 업그레이드 할 경우 “boot”를 실행하고 외부에서 업그레이드할 경우에는 “bootip ip_address”를 실행한다. ip_address는 Seetalk Box의 WAN 포트 IP 주소이다. 3. 로그 기능 Seetalk Box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미리 지정된 로그 서버(UDP 포트 514)로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이 있다. 로그기능 “사용함”을 선택하고 로그 서버 주소를 입력한 다음 적용 버튼을 누르면 로그 기능이 활성화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