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likes | 247 Views
天安. 2-3 조정은 , 이지혜. 천안의 역사. 삼한시대 : 마한의 땅이었고 , 백제의 대록 군과 감매현 · 순치현 이었다가 고구려의 사산 현 지역이 되었고 , 통일신라 시대에 는 대록과 백성의 영현이었다 . 고려시대 : 930 년에 3 국의 요충지라 하여 천안 부로 개칭하였다가 목종 때 이를 폐지하였으며 현종 때 천안이라 하고 지사부를 두어 다스렸다 . 또 , 충선 왕 때 영주로 고치고 공민왕 때 천안 부로 다시 고쳤다 .
E N D
天安 2-3 조정은,이지혜
천안의 역사 • 삼한시대: 마한의 땅이었고, 백제의 대록 군과 감매현·순치현 이었다가 고구려의 사산 현 지역이 되었고, 통일신라 시대에 는 대록과 백성의 영현이었다. • 고려시대: 930년에 3국의 요충지라 하여 천안 부로 개칭하였다가 목종 때 이를 폐지하였으며 현종 때 천안이라 하고 지사부를 두어 다스렸다. 또, 충선 왕 때 영주로 고치고 공민왕 때 천안 부로 다시 고쳤다. • 조선시대: 1416년 다시 천안 군으로 개칭하고 문종 때 명산으로 불렀다. 1895년 지방관제를 개정하여 모산·돈의 면을 아산 군에, 덕흥은 신창 군에, 신종은 예산군과 당진군에 편입시켜 공주 부 천안 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에 속하였다.1914년에 천안 군이라 불렀고, 1963년 천안 읍과 환성 면이 합쳐져 천안시로 분리되었다. 1983년 구룡리를 천안시로 편입하였고, 1991년 천원 군을 천안 군으로 환원하였으며, 1995년 쌍봉동을 쌍용동과 봉명 동으로 분동하고, 천안 군 ·시가 통합되어 도농복합형의 천안시가 되었다.2001년 현재 2읍 10면 13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안의 행정구역 삼국시대 - 위례성, 대목악군, 사산현 고려시대 - 천안부, 목주, 직산 조선시대 - 천안군, 목천군, 직산군 1914.3.1 - 3개 군이 천안군으로 통합 1963.1.1 - 천안시와 천원군으로 분리 1991.1.1 - 천원군을 천안군으로 개칭 1995.5.10 - 천안시·군 통합 1999.10.11 - 대룡동과 남산동을 통합하여 중앙동으로 명칭 변경 2002.1.1 ? 직산면과 목천면 읍승격
<면적> 면적은 636.49㎢이다. 동쪽은 충청북도 진천 군·청원군, 북쪽은 경 기도 안성군·평택시, 남쪽은 연기군·공주시 와 접하고, 서쪽으로 는 아산시와 접경한다. 2읍 10면 13동으로 이루어져있다. <인구> 면적: 636.38㎢ 인구: 44만 5485명(2002) 인구밀도 : 700명/㎢(2002) 가구수 : 15만 1536세대(2002) 천안의 면적과 인구
천안의 상징물(1) 천·지·인의 이미지를 천안의 영문 첫글자 C를 기본으로 표현 타원의 진취적 기상과 교통(청색), 교육(적색), 문화 (녹색)의 중심도시를 표현 흥 타령에 어우러진 춤사위를 나타냈으며,국토의 중심, 21 세기 천안인을 나타냈고, 하 단부분의 회색은 편안한 땅 을 나타냄 시마크
천안의 상징물(2) 천안의 생명 원천인 충절 사상의 핵심인 유관순 열 사의 정신과 사상을 기본 으로 천안시 마스코트가 지닌 정체성을 높혔고, 그 표현은 우리나라의 보 편적 얼굴형을 지닌 용기 와 당당함이 깃든 낭자의 모습을 기본형상으로 표 현 하였다. 마스코트-횃불낭자
천안의 상징물(3) 농특산물 생산의 근 원이 되는 태양과 땅을 캐릭터화 하여 소비자에게 친근감 을 주도록 표현하였 고, 충절천안의 로 고를 삽입하여 신뢰 도를 높였다. 브랜드 마크
천안의 상징물(4) 시조-비둘기 시화-개나리 시동물-용 시목-능수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