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 현 대시 ’ 갈래 학습

국문학 이야기. ‘ 현 대시 ’ 갈래 학습. 창가의 뚯. 창가란 ?. 서구식 곡조에 개화 ․ 계몽 사상을 담아 노래한 시가 ( 詩歌 ). 개화기 직후 : 가사나 민요에 바탕을 두면서 새로운 변형을 시도함. 창가의 내용. 내용. 근대적 문물 제도 : 경부철도가 ( 최남선 ) 자주 독립 : 애국가 ( 김철영 ), 독립가 의병 운동 : 창의가 ( 신태식 ). 3. 의의 : 개인적 감정보다는 집단적인 이상과 현실적인 문제 의식. 신체시의 뚯 (1910 년대 ). 신체시란 ?.

jenna-mckay
Download Presentation

‘ 현 대시 ’ 갈래 학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문학 이야기 • ‘현대시’ 갈래 학습

  2. 창가의 뚯 • 창가란? 서구식 곡조에 개화․계몽 사상을 담아 노래한 시가(詩歌) 개화기 직후 : 가사나 민요에 바탕을 두면서 새로운 변형을 시도함

  3. 창가의 내용 • 내용 근대적 문물 제도 : 경부철도가(최남선) 자주 독립 : 애국가(김철영), 독립가 의병 운동 : 창의가(신태식) 3 의의 : 개인적 감정보다는 집단적인 이상과 현실적인 문제 의식

  4. 신체시의 뚯(1910년대) • 신체시란? 창가와 근대시의 과도기적 형태인 새로운 형태의 시로, 작자의 창작 의식이 어느 정도 작용함 형식과 운율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짐

  5. 신체시의 내용 개인의 정서가 충분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형식과 운율이 매우 자유로워짐 • 내용 3 새 시대의 인간상과 포부를 노래함 →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6. [자유시․경향시] 1920년대 자유시 출현, 개인적 정서와 민족적 운율의 결합, 서구 문예 사조의 수용, 경향시 등장

  7. [자유시․경향시] 1920년대 ① 개인적 정서에 민족적 운율을 깊이 있게 결합시킴 ② 계급주의 시가 창작됨 : [경향시] ★ [경향시] : 언어를 매우 거칠게 사용했으나, 시의 영역을 넓혔으며, 정치적 성향을 띤 문학으로, 목적 의식을 강조하였다. (KAPF, 신경향파, 프로 문학) ③ 시조 부흥 운동 전개 : 이은상의 양장시조 ④ 서구 문예 사조 수용 ⑤ 작품 : 불놀이~주요한(최초의 자유시), 진달래꽃~김소월(민요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국경의 밤~김동환(최초의 서사시), 논개~변영로, 임의 침묵~한용운

  8. [순수시․주지시] 1930년대 시문학파 (순수시파) 특징: 엄격한 시어의 선택, 영롱한 언어미 추구, 세련된 기교를 추구함 작가: 정지용(고향), 김영랑(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박용철(떠나가는 배)

  9. [순수시․주지시] 1930년대 모더니즘파(주지시파) 특징: 감각적(회화적) 기교를 중시함 작가: 김광균(언덕), 장만영

  10. [순수시․주지시] 1930년대 생명파 특징: 인간 생명의 본질을 탐구함 작가: 서정주(자화상), 유치환(깃발)   기타 작가․작품 : 오감도(이상), 난초(이병기)

  11. 국문학의 암흑기] 1940년대 민족어(民族語)를 지키겠다는 마음가짐 저항 시인 : 이육사(절정), 윤동주 (참회록) 청록파 : 조지훈(승무), 박두진(해), 박목월(윤사월)

  12. 국문학 이야기 • ‘현대시’갈래 학습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