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likes | 391 Views
Ⅲ. 물질. 2. 산과 염기의 반응. 3. 중화 반응 (3) 중화반응과 열 (4) 염의 생성과 용해성. (3) 중화 반응과 열 ( 중화열 ) 1) 중화열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①열량 : 반응하는 H + 과 OH - 양에 따라 달라짐 . H + + OH - → H 2 O + 열. 연구 7. [ 자료해석 ] 염산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중화열. 2) 용액의 온도와 중화점
E N D
Ⅲ. 물질 2. 산과 염기의 반응 3. 중화 반응 (3) 중화반응과 열 (4) 염의 생성과 용해성
(3) 중화 반응과 열(중화열) 1) 중화열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①열량 : 반응하는 H+과OH-양에 따라 달라짐. H+ + OH- → H2O + 열 연구7 [자료해석]염산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중화열
2) 용액의 온도와 중화점 ① 중화점 : 혼합하여 주는 산의 H+ 수와 염기의 OH-수가 같아 모두 반응 할 때 ② 중화열 : 중화점일 때 열이 가장 많이 발생 -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음. ③ 온도 변화를 이용하면 중화점을 알아냄.
(4) 염의 생성 반응과 용해성 1) 염 :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하여 생성된 물질HCl + NaCl → H2O + NaCl(산) (염기) (물)(염)
2) 염의 생성 반응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H2SO4 + Ba(OH)2 → BaSO4+ 2H2O ⓑ 산과 금속의 반응 Mg + H2SO4 → MgSO4 + H2 ⓒ 금속 산화물과 산의 반응 CaCO3 + 2HCl → CaCl2 + H2O ⓓ 염과 염의 반응 BaCl2 + MgSO4 → BaSO4+ MgCl2
3)염의 용해성 ① 염의 물에 대한 용해성 : 염은 구성하는 이온에 따라 물에 녹기도 하고 녹지 않기도 하지만 NH4+ , NO3-, K+, Na+등이 포함된 염은 물에 잘 녹는다. 물음12
② 염의 용해성 -:잘녹음 -:앙금 이온 질산 염화 황산 탄산 (NO3-) (Cl-) (SO42-) (CO32-) 나트륨 NaNO3NaCl Na2SO4Na2CO3 (Na+) 칼륨 KNO3 KCl K2SO4K2CO3 (K+) 암모늄 NH4NO3NH4Cl (NH4)2SO4(NH4)2CO3 (NH4+)
<염의 용해성> 이온 질산 염화 황산 탄산 (NO3-) (Cl-) (SO42-) (CO32-) 마그네슘Mg(NO3)2MgCl2MgSO4MgCO3 (Mg2+) 칼슘 Ca(NO3)2 CaCl2CaSO4CaCO3 (Ca2+) 바륨 Ba(NO3)2BaCl2BaSO4BaCO3 (Ba2+) 은(Ag+) AgNO3AgCl Ag2SO4Ag2CO3 • <염의 용해성> -:잘녹음 -:앙금 • 이온 질산 염화 황산 탄산 • (NO3-) (Cl-) (SO42-) (CO32-) • 마그네슘Mg(NO3)2MgCl2MgSO4MgCO3 • (Mg2+) • 칼슘 Ca(NO3)2 CaCl2CaSO4CaCO3 • (Ca2+) • 바륨 Ba(NO3)2BaCl2BaSO4BaCO3 • (Ba2+) • 은(Ag+) AgNO3AgCl Ag2SO4Ag2CO3
(3) 중화 반응과 열(중화열) 1) 중화열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 ①열량 : 반응하는 H+과OH-양에 따라 달라짐. H+ + OH- → H2O + 열 2) 용액의 온도와 중화점 ① 중화점 : 혼합하여 주는 산의 H+ 수와 염기의 OH-수가 같아 모두 반응 할 때 ② 중화열 : 중화점일 때 열이 가장 많이 발생 -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음. ③ 온도 변화를 이용하면 중화점을 알아냄. (4) 염의 생성 반응과 용해성 1) 염 :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이 결합하여 생성된 물질HCl + NaCl → H2O + NaCl (산) (염기) (물) (염) 2) 염의 생성 반응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H2SO4 + Ba(OH)2 → BaSO4+ 2H2O
2) 염의 생성 반응 ⓐ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 H2SO4 + Ba(OH)2 → BaSO4+ 2H2O ⓑ 산과 금속의 반응 Mg + 2HCl → MgCl2 + H2 ⓒ 금속 산화물과 산의 반응 MgO + 2HCl → MgCl2 + H2O ⓓ 염과 염의 반응 BaCl2 + MgSO4 → BaSO4+ MgCl2 3) 염의 물에 대한 용해성 ①염의 용해성 : 염은 구성하는 이온에 따라 물에 녹기도 하고 녹지 않기도 하지만 NH4+, NO3-, K+, Na+등이 포함된 염은 물에 잘 녹는다.
② 염의 용해성 -:잘녹음 -:앙금 이온 질산 염화 황산 탄산 (NO3-) (Cl-) (SO42-) (CO32-) 나트륨 NaNO3NaCl Na2SO4Na2CO3 (Na+) 칼륨 KNO3 KCl K2SO4K2CO3 (K+) 암모늄 NH4NO3NH4Cl (NH4)2SO4 (NH4)2CO3 (NH4+) 마그네슘Mg(NO3)2MgCl2MgSO4MgCO3 (Mg2+) 칼슘 Ca(NO3)2 CaCl2CaSO4CaCO3 (Ca2+) 바륨 Ba(NO3)2BaCl2BaSO4BaCO3 (Ba2+) 은(Ag+) AgNO3AgCl Ag2SO4Ag2CO3
목표 : 중화반응에서 농도가 같은 염산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부피비를 알아본다. 정리 1) 발생한 열량을 비교하기 위해 2) 실제 반응하는 용액의 차이 때문 3) 반응 부피비=1:1 [자료해석]염산과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중화열
[연구 7] 위험하다. 염산이 유독성 기체라서 피부에 접촉하면 위험함. 연구 7
[물음11] (1)NH4Cl(2)KNO3 (3) (CH3COO)2Ca [물음12] 물에 잘 녹는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질산염 일부만 녹는 염 : 황산염, 탄산염, 염화물 물음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