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likes | 454 Views
<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 일어난 까닭 :1894 년 2 월 동학농민운동이 발발 전라도 고부군수인 조병갑의 학정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지만 그 원인은바로 세도정치가 극에 달아있던 세도가문에 의한 독재적 정치로인해 삼정의 문란과 정치의 한계 그리고 왕권의 약화로 국난이 계속되자 이로인해 많은 반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 그 중 1811 년 12 월 평안도를 거점으로 봉기한 홍경래난이 동학의 시발점인데 홍경래의 난은 다음과 같은 명분을 내세웁니다 . ↓ 최제우. <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
E N D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일어난 까닭:1894년 2월 동학농민운동이 발발 전라도 고부군수인 조병갑의 학정에 반발하여 시작되었지만 그 원인은바로 세도정치가 극에 달아있던 세도가문에 의한 독재적 정치로인해 삼정의 문란과 정치의 한계 그리고 왕권의 약화로 국난이 계속되자 이로인해 많은 반란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 중 1811년 12월 평안도를 거점으로 봉기한 홍경래난이 동학의 시발점인데 홍경래의 난은 다음과 같은 명분을 내세웁니다. ↓최제우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① 반봉건 근대 민족 운동 : 노비문서의 소각, 토지의 평균 분작 등 주장 ② 반침략적 민족운동 : 외세의 침략에 맞선 국권 수호 운동 ③ 영향 : 갑오개혁에 영향(신분제도의 철폐), 의병운동에 가담 ④ 역사적 한계 : 근대 사회 건설의 구체적인 방안 결여 갑오개혁:갑오개혁의 의의 : 조선 후기 이후 새로운 사회를 기대하는 농민들의 움직임에서 시작하여 개화 운동으로 이어진 전통 사회를 개혁하려는 민족의 욕구가 담기 개혁으로써 정체, 경제, 사회의 각종 제도를 근대적으로 개혁하려는 성격을 띕니다. 결과: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두 개혁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신분제도의 철폐를 주장하였다. 차이점:동학 농민운동은 반 외세적 성격 역시 띠고 있는 반면에 갑오개혁은 친일 내각에 의해 실행된것이어서, 반 외세적 성격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