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제조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모듈형 제품과 조율형 제품 비교 중심으로

제조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모듈형 제품과 조율형 제품 비교 중심으로. 2011.12.14 석사 2 학기 서동엽. 1. Introduction. 기술 혁신의 원천 (source ) 무엇 일까 ?. 기술 주도 기술혁신 (technology-push hypothesis) 과 수요주도 기술혁신 (demand-pull hypothesis) 대해서 오랫동안 이론적 논쟁을 벌여왔 음 ( Dosi , 1982).

kaori
Download Presentation

제조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모듈형 제품과 조율형 제품 비교 중심으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조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모듈형 제품과 조율형 제품 비교 중심으로 2011.12.14 석사 2학기 서동엽

  2. 1. Introduction 기술혁신의 원천(source) 무엇일까? 기술 주도기술혁신(technology-push hypothesis)과 수요주도 기술혁신(demand-pull hypothesis) 대해서 오랫동안 이론적 논쟁을 벌여왔음(Dosi, 1982) 사용자(user)와 공급자(supplier)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식학습이 기술혁신의 중요한 원천으로 부각(Von Hippel, 1988)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supplier, user 그리고 다른 다양한 source에 의해서 innovation이 발생되고 있음 밝혀 내어 과거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내부)로부터만 혁신활동이 나온다고 믿었던 시각이 외부에서도 나온다는 점을 알려주고 있어 오늘날 open innovation 이론의 틀을 제공 Von Hippel이 제시한 제품의 혁신이 공급자(supplier)로부터 온다는 시각에서 제조업체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

  3. 2. Literature review 2.1 Social capital theory(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은 한 개인이 그 안에 참여함으로써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사회구조 혹은 사회적 관계의 한 측면(Coleman, 1990)

  4. 2. Literature review 2.1 Social capital theory(사회적 자본) 구조적 차원(Structural Social Capital) • 네트워크의 존재유무와 당사자 간 전반적인 연결형태를 의미하며,연결망과 연결구조를 포함(Nahapiet & Ghoshal, 1998) • 개인이나 조직 단위의 연결성, 빈도, 관계의 긴밀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Lee, 2009) • 사회적 관계를 통한 연결은 중요하고 가치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높여준다(Coleman, 1990) • 구조적 사회 자본분석 방법: • 네트워크의 밀도(density), 중심성(centrality), 구조적 동질성(structural equivalence)과 같은 네트워크의 구조나 형태에 의해 연결망 구조를 파악(Burt, 1997) • 관계의 긴밀성, 접촉 빈도 등과 같이 연결망의 강도에 의해 파악(Granovetter, 1983)

  5. 2. Literature review 2.1 Social capital theory(사회적 자본) 관계적 차원(Relational Social Capital) •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관계 특성(Granovetter, 1992) • 신뢰, 규범, 의무, 정체성 등의 개념으로 사용(Nahapiet and Ghoshal, 1998) • 기업의 경쟁우위는 관계적 자산에 달렸다고 보며, 관계적 자산(relational rents)은 관계특유자산, 지식공유루틴, 상호보완적 자산 및 역량, 효율적 지배구조로 구성되며 각 요소 별 관계적 사회자본 형성을 촉진하는 프로세스는 신뢰(trust)가 바탕이 된다고 설명(Dyer와Singh, 1998) • 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네트워크 일수록 시장정보와 기술정보를 잘 습득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성장과 혁신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Maurer et al, 2011)

  6. 2. Literature review 2.1 Social capital theory(사회적 자본) 인지적 차원(Cognitive Social Capital) • 사회적 당사자 간 공동의 목표나 가치 공유, 그리고 언어나 의미 체계 공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Nahapiet and Ghoshal, 1998) • 집단적 목표와 열망 등 공유된 비전을 제공한다(Tsai and Ghoshal, 1998) • Inkpenand Tsang(2005)는 공통된 목표(Congruent goal)와 공유 문화(Shared goal)가 인지적 사회 자본의 대표적 차원 • 지식의 교환과 결합을 위해서는 공통된 코드와 언어의 공유가 필요(Nahapiet & Ghoshal, 1998)

  7. 2. Literature review 2.2 제품혁신(Product Innovation) • 기술혁신에는 제품혁신(Product innovation)과 공정혁신(Process innovation)이 있으며, 제품혁신은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능력, 프로세스 혁신은 제품을 싸게 만드는 능력을 말함(Abernathy and Townsend, 1975) • Low and Kalafut(2004)는 제품 혁신을 “정기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 • 제품혁신은 불가피하게 제품의 복잡성을 가져옴 •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을 빠른 시간 내에 출시해야 하는데 하지만 너무 과도한 복잡성은 재고 증가, 생산계획의 복잡성, 예측의 어려움 등 비용이 증가되어 오히려 기업에게 손실은 끼치는 경우가 많음 (Gottredson and Aspinall, 2005) •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기업들은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하부시스템으로 나누어서 개발을 진행하는 모듈화(modularity)전략을 사용하고 있음 (Baldwin and Clark, 1997)

  8. 2. Literature review 2.3 제품아키텍처 특성 모듈러형 제품: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인터페이스가 일정 룰에 따른다면 각각의 요소는 다른 요소와 수시 조정을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그것을 조합만 하면 완성품이 되는 제품 조율형 제품: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 있어, 제품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성능 등의 품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관계를 상호간에 미세 조정하여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제품 Fujimoto Takahiro(1997) 모듈형 제품은 디자인 규칙만 지킨다면 다른 부문과 협의 없이 자유롭게 제품을 계량할 수 있어 신기술을 실험해 성능의 획기적인 개선을 도모하기가 쉽다(Baldwin & Clark, 1997) 제품의 특성에 따라 해당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제품 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으로 보인다

  9. 제품아키텍쳐 특성 조율형 제품 모듈형 제품 구조적 사회자본(Structural Social Capital) 관계적 사회자본 (Relational Social Capital) 제품혁신 (Product Innovation) 인지적 사회자본(Cognitive Social Capital Research Question 제조기업의 축적된 사회적 자본이 제품의 혁신에 기여를 할까? 제품의 특성(모듈형 제품, 조율형 제품)에 따라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지 않을까? <Conceptual Model>

  10. 3. Hypothesis Development 3.1 구조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 구조적 사회 자본을 구축은 buyer와 supplier 관계를 통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Krause et al., 2007) • Buyer와 supplier의 여러 접촉 지점 간의 빈번한 상호 작용은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 교환을 제공(Koka and Prescott, 2002) • Supplier와 빈번한 상호작용은buyer의 빠른 문제 해결과 기업 간 프로세스의 동기화 정도를 촉진(Dyer and Nebeoka, 2000; Heide and Miner, 1992; Uzzi, 1997) • Dyer(1996)에 의하면 대면접촉에 의한 교류가 많은 기업의 경우 제품개발주기가 짧아지고 제품의 품질도 높아진다. 가설 1: 구조적 사회 자본은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11. 3. Hypothesis Development 3.2 관계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 관계적 사회 자본은 buyer와 supplier 간의 관계 성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관계적 자본은 기업의 주요 자원으로의 접근을 허용(Kale et al,. 2000; Uzzi, 1997), 부가 가치 활동(Value-added initiative)에 참여할 인센티브를 제공(Dyer and Singh, 1998; Zaheer et al,. 1998; Johnson et al., 2004),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려는 의지를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한다(Ring and Van de Ven, 1992) • 많은 실증적 연구들이 관계적 사회 자본의 혜택으로 비용개선, 유연성개선, 생산성향상, 품질개선(Cousins et al., 2006; Dyer and Chu, 2003; Lawson et al., 2008; Zaheer et al., 1998), 혁신(Capaldo, 2007)이 있다고 보여주고 있다 가설 2: 관계적 사회 자본은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12. 3. Hypothesis Development 3.3 인지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 Buyer와 supplier가 자원 통합 및 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에 인지적 사회 자본은 자원 교환을 용이하게 함(Nahapietand Ghoshal, 1998; Tsai and Ghoshal, 1998) • 인지적 사회자본은 시너지효과 추구와 동시에 의견충돌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행동 규범(norm)과 공동 목표(collective goal)을 제공(Inkpen and Tsang, 2005; Anderson, 2005; Rossetti and Choi, 2005) • 혁신은 잠재적 수용자가 지니고 있는 기존의 가치관, 필요에 부합해야 쉽게 채택되며사회체계의 가치나 규범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는 그렇지 못한 혁신보다 더 빠르게 확산됨(Rogers, 2003) • 그 결과로 buyer와 supplier가 공동으로 비용, 품질, 배달시간과 같은 운영 성과와 신제품 개발과 같은 전략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지를 강화시킨다. 가설 3: 인지적 사회 자본은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13. 4. 조절효과(제품아키텍처 특성) 4.3 구조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 Buyer와 supplier의 여러 접촉 지점 간의 빈번한 상호 작용은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 교환을 제공(Koka and Prescott, 2002) • Supplier와 빈번한 상호작용은 buyer의 빠른 문제 해결과 기업 간 프로세스의 동기화 정도를 촉진(Dyer and Nebeoka, 2000; Heide and Miner, 1992; Uzzi, 1997) • Dyer(1996)에 의하면 대면접촉에 의한 교류가 많은 기업의 경우 제품개발주기가 짧아지고 제품의 품질도 높아진다. • 특히, 주변부품과의 대응관계가 복잡하고 인터페이스의 룰이 복잡하게 설정되어 있어, 상호의존성이 높은 조율형 제품에서 구조적 사회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임 제안1: 조율형 제품의 경우 구조적 사회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모듈형 제품보다 클 것이다

  14. 4. 조절효과(제품아키텍처 특성) 4.2 관계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 기업 간 관계적 자본(relational rent)을 관계특유자산, 지식공유루틴상호보완적 자산 및 역량, 효율적 지배구조로 구성하여 설명 신뢰(trust)를 바탕(Dyer and Singh, 1998) • Toyota case • 효율화를 위해 기업간 신뢰(trust)를 바탕으로 조립공장 근처에 공급사 공장을 배치(site-specific asset) • 개발센터 내에 공급사 엔지니어를 상주시켜 상호 긴밀한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human-specific asset) • 공급사 간 효율적인 지식의 교환과 결합을 위해 공급업체 협의체를 만들어 제품의 개선점을 찾도록함 (Dyer and Nebeoka, 2000) • 모듈형 제품의 경우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인터페이스만 따른다면 각각의 요소는 다른 요소와 수시 조정을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계가 가능(Baldwin and Clark, 1997) 제안2: 관계적 사회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조율형 제품이 모듈형 제품보다 클 것이다

  15. 4. 조절효과(제품아키텍처 특성) 4.1 인지적 사회 자본  제품혁신 인지적 사회 자본이 많이 축적될수록 조직의 시스템과 조직문화가 공통적이고 이를 통해 외부환경의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그를 통한 협력의 범위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Dyer and Singh,1998). 공급자가 제품개발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지식의 교환과 결합을 위해서는 공통된 코드와 언어의 공유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Nahapiet & Ghoshal, 1998) 조율형 제품의 경우 인지적 사회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 제안3: 인지적 사회 자본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조율형 제품이 모듈형 제품보다 클 것이다

  16. 제품아키텍쳐 특성 조율형 제품 모듈형 제품 구조적 사회자본(Structural Social Capital) H1 (+) P1 P2 H2 (+) 관계적 사회자본 (Relational Social Capital) 제품혁신 (Product Innovation) P3 (+) H3 인지적 사회자본(Cognitive Social Capital <Conceptual Model>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