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likes | 565 Views
식품 첨가물의 위해성. 임종한 ( 인하의대 산업의학과 , 환경정의다음지킴이본부장 ). 아토피 질환. 5-6 세 어린이의 25-40% 가 아토피를 경험 어린이 아이에게서 그 피해가 집중 어린이는 신체의 발달 과정에 중에 있어 면역기능이 잘 발달되어있지 않으며 , 유해물질 섭취시에 이를 해독하고 , 배설하는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 어른보다는 어린들이 과자의 섭취량이 많고 어린이들은 유해물질에 대한 분별능력이 없어 과자의 유해성분에 피해는 어린이들에게 집중됨.
E N D
식품 첨가물의 위해성 임종한 (인하의대 산업의학과, 환경정의다음지킴이본부장)
아토피 질환 • 5-6세 어린이의 25-40%가 아토피를 경험 • 어린이 아이에게서 그 피해가 집중 • 어린이는 신체의 발달 과정에 중에 있어 • 면역기능이 잘 발달되어있지 않으며, • 유해물질 섭취시에 이를 해독하고, 배설하는 기능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으며, • 어른보다는 어린들이 과자의 섭취량이 많고 • 어린이들은 유해물질에 대한 분별능력이 없어 • 과자의 유해성분에 피해는 어린이들에게 집중됨
과자, 몸에 해로운가 ▶ 과자. 몸에 해로운가 - 과자, 과연 아토피 등 병 유발하나 -유해성의 근거와 정도 ▶과자 유해성분 첨가 논란 - 안전기준의 타당성 - 외국의 사례
과자 , 몸에 해로운가 • 식품 첨가물의 승인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 평가 과정을 거치기때문에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용하거나 오용하였을 경우 인체에 위해를 줄 수도 있다. • =>몇몇 식품첨가물에 대해서는 허용치 범위안에서도 어린들에게 아토피 등 몸에 이상 반응을 불러올 수 있다는 명확한 임상적인 증거가 축척되고 있다.
과자 , 몸에 해로운가 • 외국에서 금지된 식품첨가물이 버젖이 국내에서는 사용되고 있다 (발암물질 적색 2호, 아질산나트륨). • 첨가물에 대한 건강모니터링 제도, 감시, 사용후 안전성 평가제도가 있어야 하나 관련자료가 없다. • 민간단체(예: 아토피 아이 지구네트워크)에서는 연 800-1000건의 아토피 사례 발표
식품 첨가물의 사용목적별 분류 • 보존료: 소르빈산, 안식향산 • 살균제: 차아염소산나트륨,표백분 • 산화방지제: 부틸히드록시아나졸(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 착색제 : 식용색소, 녹색 제 3호 • 발색제: 아질산나트륨, 질산칼륨 • 표백제: 아황산나트륨 • 밀가루 개량제: 과산화벤조일, 과항산암모늄 • 조미료: 아미노산제, 핵산제 등 • 산미료: 구연산, 빙초산등
식품 첨가물의 사용목적별 분류 • 착향제: 바닐린, 락톤류 • 팽창제: 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 강화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 유화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등 • 호료: 구아검 • 품질개량제(결착제): 인산염, 종합인산염 • 피막제: 몰포린 지방산염, 초산비닐 수지 • 껌기초제: 에스테르검, 폴리부텐등 • 소포제: 규소수지 • 추출제:n-헥산 • 이형제: 유동파라핀
식품첨가물 • 타르계색소 (적색 2호, 적색 3호, 황색 4,5호) • 식품산업계는 모든 식품첨가물은 잘 검사를 받고 안전하다고 한다. 하지만, 식품첨가물의 역사를 살펴보면, 처음에는 안전하다고 여겨졌던 상당히 많은 식품첨가물이 나중에 건강에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뒤늦게 금지되어짐
식품첨가물 • 적색 2호: 발암물질로 밝혀져 1976년 이후 판매금지됨 • 황색 4호: 고농도시 심장 손상 밝혀져 판매금지됨 • 적색 3호: 과일 칵타일, 캔디 등에 들어가는 체리 색을 인공색소 쥐에서 갑상선암을 일으킨다는 신빙성있는 증 거가 있음. • 황색 5호: 두번째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인공색소 아스피린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알러지 반응을 일으킴.
식품첨가물 • 안식향산나트륨(Sodium benzoate) • 보존료: 미생물의 증식에 의하여 일어나는 식품의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 • 비타 5백 250ml한 팩에서 나온 73mg의 안식향산나트륨은 유럽연합기준의 2배에해당하는 양.5mg/Kg 하루섭취 허용량 몸무게 14kg인아이의 하루섭취 허용량70mg보다 많음.
식품첨가물 • 아황산염 • 용도: 세군 발육 억제, 갈변 방지, 표백작용 (1958년 아황산염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된 물질로 지정 ) • 1908년대 미국에서 아황산염이 천식환자에 민감하다는 연구결과가 알려지면서 아황산염에 대한 우려가 고조 • 천식환자를 위한 라벨을 의무화 • 미국 등지에서는 최근에도 아황산염을 표기를 하지 않은 식품의 경우 전량 회수
식품첨가물 • MSG: Mono-sodium glutamate • 1968년 Kwok이란 중국의사가 중국음식을 먹고 목 뒤가 타는듯한 느낌, 기분이 나른해지며 가슴이 뛰는증상을 호소, 중국음식증후군이라고 명명, MSG는 중국음식 증후군으로 MSG를 주목. • 1987년 FAO/WHO에서 MSG독성이 낮아 ADI를 ‘not specified’ • 하지만, MSG가 천식의 원인이 되며, 열분해산물이 발암성이 있다는 실험결과가 발표
식품첨가물 • Sodium Nitrite • 기능: 첫째-선홍색을 발산시켜 먹음직스럽게 하고 둘째-맛을 부드럽게 하고 셋째-식중독균 등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보관성을 좋게 한다. • 발암물질 • 1970년대 후반부터 독일 등에서는 육가공품에서 아질산나트륨의 사용을 금지
식품 첨가물 신청시 구비 서류 • 명칭, 화학구조, 이화학적 성질 및 순도 • 식품중의 분석 방법, 사용목적, 사용량 및 사용방법 • 외국 사용 예, 효과, 식품첨가물의 1일 섭취량 • 안정성자료(급성, 아급성, 만성독성실험, 번식율 및 최기형성 등 차세대에 미치는 영향, 돌연변이 시험등)
식품 첨가물 안전성의 검토 • 안정성자료(급성, 아급성, 만성독성실험, 번식율 및 최기형성 등 차세대에 미치는 영향, 돌연변이 시험등) • 급성독성 시험, 만성독성 시험, 발암성시험, 최기형성실험, 생화학적 시험등에 관하여 2개이상의 권위있는 시험연구기관에 의한 자료가 구비가 되고 시험성적이 거의 일치하는 것
대안 • 표시제도의 개선: 5가지가 아닌 모든 재료, 첨가물의 표시 • 민감군 천식, 아토피에 유해한 성분이라면 이에 대한 주의 표시 명기 • 1일 섭취량의 합리적 설정 • 금지시켜야 식품첨가물 • 의약품의 수준까지 안전성의 강화 • 시판전 임상실험 자료 제출 의무화
모든 사람들이 피해야 할 첨가물 • 인공색소 • Blue 1, Blue 2, Green 3, Red 2, Red 3, • Yellow 4, Yellow 6 • Acesulfame potassium • Aspartame(Nutasweet) • Cyclamate • Saccharin • Sodium Nitrite, Sodium Nitrate 출처: CSPI
외국에서 금지된 식품첨가물 • 인공색소: Butter yellow, Green 1, Green 2, Orange 1. Orange 2, Orange B, Red 1, red 2, Red 4, Red 32, Sudan 1, Violet 1, Yellow 1 and 2, Yellow 3, Yellow 4, • 착향제: cinnamyl anthranilate, coumarin, oil of calamus, safrole • 감미료: cyclamate, ducin (p-ethoxy-phenylurea) 출처: CSPI
외국에서 금지된 식품첨가물 • 보존제: DEPC(diethyl pyrocabonate), monochloroacetic acid,thiourea • 소포제: cobalt salts • 항산화제: NDGA(nordihydroguaiacetic acid) • 유화제: Myrj45 (polyoxyethylene-8-strearate) 출처: CSPI
환례 보고 • Carmine : 착색제 • 42tp 남자환자 식품첨가물 카르민 분진에 직업적으로 노출 아토피와 천식이 있는 남자 • 카르민에 피부 반응검사 • 호흡기 유발검사에 양성 • Source: Int Arch Allergy Immunol. 2005 Nov;138(3):243-50. Epub 2005 Oct 6.
환례 보고 • 아황산염에 노출 • 와인에 민감하다고 보고하는 천식환자 24명중 • 아황산염에 일회 노출로 폐기능(FEV1)이 유의하게 떨어짐을 확인 • Source: Thorax. 2001 Oct;56(10):763-9.
환례 보고 • 식품첨가물: tartrazine, benzoate,nitrite. • 아토피가 있는 성인에게서 단 1회의 노출로도 질병을 악화시키는 sulfileukotriene 발생 • 이중맹검법으로 실시 • Source: Clin Exp Allergy. 2001 Feb;31(2):265-73.
환례 보고 • Clinical relevance of food additives in adul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 성인들에게서 식품첨가물로 섭취유발 검사에 양성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음. • 어린이의 경우는 식품 알러지가 30%까지 올라감 • Source: Clin Exp Allergy. 2000 Mar;30(3):407-14.
환례 보고 • 안식향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16명의 어린이 (남자아이 9명, 여자아이 7명) • 피부반응검사 • IgE, RAST • 알레르겐 섭취 검사( Oral provocation test) • 안식향산 첨가물을 섭취하지 않을 때 호전으로 확진 • Source: Allerg Immunol (Paris). 1997 Feb;29(2):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