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k likes | 2.15k Views
윤활의 기초. 윤활유의 기능 윤활용어 윤활관리 ( 사용유 분석 ). 윤활의 정의. 윤활이란 ? 서로 상대운동을 하는 두 표면간에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는 것 ( 두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 ). 윤 활 제 란 ?. 마찰을 줄여주는 모든 물질 마찰되는 부분을 윤활하여 마찰을 적게하고 , 마모를 방지하며 동력소모를 줄여 장비효율을 증가. 윤활작용. 냉각작용. 세척작용. 부식 방지. 윤활제의 기능 (1). 밀봉작용. 분산작용. 절연작용. 열매체작용. 윤활제의 기능 (2).
E N D
윤활유의 기능 • 윤활용어 • 윤활관리(사용유 분석)
윤활의 정의 • 윤활이란 ? • 서로 상대운동을 하는 • 두 표면간에 발생되는 마찰을 • 줄이는 것 • (두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
윤 활 제 란? • 마찰을 줄여주는 모든 물질 • 마찰되는 부분을 윤활하여 • 마찰을 적게하고, 마모를 방지하며 • 동력소모를 줄여 장비효율을 증가
윤활작용 냉각작용 세척작용 부식 방지 윤활제의 기능(1)
밀봉작용 분산작용 절연작용 열매체작용 윤활제의 기능(2)
윤 활 제 윤활유(오일) 그 리 스 윤 활 제
윤 활 제 구 성 윤활유 증주제 첨가제 윤활 기유 그 리 스
기 유(Base Oil) • 광유(Mineral) • 파라핀계 기유 • 나프탄계 기유 • 합성유 • PAO, PAG, Silicon, Ester • 지방유
첨가제(Additive) • 요구되어지는 성질을 부여하거나, 부족한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화학적 첨가물 • 산화방지제, 방청제 • 청정분산제, 소포제 • 유성향상제, 점도지수향상제 • 극압제, 유동점강하제 • 부식방지제, 유화제
점 도 (Viscosity) • 흐름에 대항하는 액체 자체의 저항력을 수치화 한것. • 점도는 윤활유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성상 • 점도는 윤활막 형성의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따라서 윤활유의 내하중성능을 결정한다. • 같은 조건하에서는 저점도의 액체가 고점도의 액체보다 훨씬 쉽게 흐른다. • 점도의 표시는 산업용의 경우Centistokes 자동차용은SAE 번호로 표시한다.
ISO 점도 등급 • 산업용 윤활유의 점도 등급은 ISO에서 정한 등급을 사용한다.(ISO VG) • 각 점도등급은 동점도의 일정범위를 나타낸다. • 센티스톡(Centistokes, cSt)의 단위를 사용한다 • 40ºC에서 측정된 수치를 이용한다. • 각 등급의 중간값은 상,하위것과 50%의 수치가 차이가 난다.
A COMPARISON OF DIFFERENT VISCOSITY SCALES Kinematics viscosity centistokes 5 6 7 8 9 10 125 15 20 25 30 35 40 50 75 100 150 200 250 300 500 750 1000 Redwood No. 1 seconds 38 40 45 50 55 60 70 80 90 100 125 150 200 300 500 700 1000 2000 5000 Saybolt Universal seconds 40 45 50 55 60 70 80 90 100 125 150 200 300 500 750 1000 2000 5000 Engler degrees 1.35 1.4 1.6 1.7 1.8 1.9 2 2.5 3 3.5 4 5 6 8 10 12.5 15 20 30 40 50 75 1000 5
ISO 점도 등급 등급 중간점도 점도 범위 (cSt @ 40ºC) 최소 최대 2 2.2 1.98 2.42 3 3.2 2.88 3.52 5 4.6 4.14 5.06 7 6.8 6.12 7.48 10 10 9.0 11.0 15 15 13.5 16.5 22 22 19.8 24.4 32 32 28.8 35.2 46 46 41.4 50.6 68 68 61.2 74.8 100 100 90 110 150 150 135 165 220 220 198 242 320 320 288 352 460 460 414 506 680 680 612 748 1000 1000 900 1100 1500 1500 1350 1650
SAE VISCOSITY GRADES FOR ENGINE OILS 1 (SAE J300MAR93) Viscosity (cP) at Temp (oC), Max. Viscosity4 (cSt) at 100oC SAE Viscosity Grade Cranking Pumping Min. Max. OW 3.8 3,250 at -30 30,000 at -35 5W 3.8 3,500 at -25 30,000 at -30 10W 4.1 3,500 at -25 30,000 at -25 15W 5.6 3,500 at -15 30,000 at -20 20W 5.6 4,500 at -30 30,000 at -15 25W 9.3 6,000 at -30 30,000 at -10 20 5.6 <9.3 30 9.3 <12.5 40 12.5 <16.3 50 16.3 <21.9 60 21.9 <26.9
Normal Base Oil Polymer-Thickened Oil Viscosity Temperature Polymer Thickening Multigrades Are Polymer-Thickened, Which Reduces Rate of Viscosity Reduction with Increase in Temperature The Polymers Used for Multigrades Are Called “Viscosity Improvers”
SAE VISCOSITY GRADES (GEAR OILS) SAE Viscosity Grade 75W 80W 85W 90 140 250 Maximum Temperature for Viscosity of 150,000 cP, oC - 40 - 26 - 12 ------ ------ ------ Viscosity @ 100oC Minimum Maximum cSt cSt 4.1 ---- 7.0 ---- 11.0 ---- 13.5 <24.0 24.0 <41.0 41.0 ----
1500 2000 1000 1000 880 800 250 50 600 460 500 320 400 220 300 140 40 200 150 100 100 80 30 68 90 60 46 50 20 40 32 85W 30 22 20 80W 15 10W 10 10 8 7 75W 6 5W 5 5 4 3 3 2 2 Kinematics Viscosity (cSt at 40oC) SAE Viscosity Grades - gear oils ISO Viscosity Grades SAE viscosity grades - engine oils A COMPARISON OF VISCOSITY CLASSIFICATIONS
점 도 지 수 (Viscosity Index) • 오일의 점도가 온도에 어떤 영향을 받는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1. 액체의 점도는 온도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2. 온도가 올라가면 점도는 낮아진다(묽어진다) 3. 점도지수가 높은 오일은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변화가 작음을 의미한다 4. 광범위온도 영역에서 운전되는 기계의 윤활시에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점 도 지 수 Shell Tellus 46 Shel Tellus TX46
주 도(Penetration) • 그리스의 묽고 단단한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 • 혼화주도:1분간 60회 혼화한 후 측정 • 불혼화주도:혼화하지 않고 측정
주 도 NLGI Worked Penetration Description Typical Application Class (0.1 mm ,25 C) 000 445 - 475 fluid 밀폐기어 00 400 - 430 semi fluid 밀폐기어 0 355 -385 very soft 중앙급지시스템 1 310 - 340 soft 중앙급지시스템 2 265 - 295 medium soft 볼, 롤러 베어링 3 220 - 250 medium 고속베어링 4 175 - 205 stiff 고속 저하중 베어링 5 130 - 160 very stiff 개방기어 6 85 - 115 block 개방기어 액상 고상
적 점(Dropping Point) • 그리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반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최초온도 • 적점의 60~70%를 최고사용한계온도로 본다
전단안정성 (Shear Stability) • 영구적인 점도 상실에 저항하는 오일의 능력을 의미한다. • 고온에서 매우 심한 기계적 응력을 받는 오일의 경우 점도 및 점도 지수가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 긴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오일(다급 점도 엔진오일)의 경우 기계적응력에 의해 고분자물질이 파괴되어 잘게 부서질 수 있다. • 윤활유의 기유(Base oil)을 선정할 때 매우 중요하다.
유동점(Pour Point) • 오일의 흐름성을 유지하는 최저온도를 의미한다.(왁스형성) • 저온에서 운전되는 기계의 윤활에 중요하다. • 인화점(Flash Point) • 불꽃에 의해 오일증기가 점화되는 최저온도를 의미한다.(오일증기의 발화 혹은 자연발화와는 직접연관은 없다) • 물질의 인화성에 따라 법적 규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발화점(Fire Point) • 불꽃에 의해 오일증기 지속적으로 점화되는 최저온도
산화안정성(Oxidation Stability) • 산화현상에 저항하는 오일의 능력을 의미한다 • 광유계 오일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한다. • 산성물질, 카본, 슬럿지, 바니쉬 및 라커상의 물질이 생성된다 • 오일의 수명 또는 보관기간 등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산화 (Oxidation) • 윤활유 주성분인 탄화수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제3의 물질로 변하는 현상 • 산화원인 • 공기, 열, 촉매(철,구리,녹,먼지), 수분 • 산화결과 • 부식성 산 및 슬러지를 형성 =>사용수명 단축
전산가(Total Acid Number,TAN) • 1g의 오일시료에 포함된 산성물질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량을 측정 • 투여된 KOH의 량과 같은 당량의 산성물질이 시료에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mgKOH/g)
항유화성(Demulsibility) • 오일에 혼합된 물을 분리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 물의 혼입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터어빈,콤푸레셔 및 유압장비에 매우 중요한 성상 • 방기성(Air Release) • 유면밑에 잡혀있는 공기방울(bubble)을 유면위로 내보내는 오일의 능력을 나타낸다. • 시료의 부피가 0.2%줄어들때까지, 유면내에 잡혀있는 공기방울이 빠져나가는데 필요한 시간(분)으로 나타낸다. • 국부적인 오일막손상,과열 및 동력손실 등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기포성(Foaming) • 유면위에서 오일 및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거품(foam)의 형성정도를 나타낸다. • 과도한 교반이나 air leak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외부로 부터 수분이나 기타 불순물 혼입에 의해 악화된다. • 펌프,기어 및 비산급유에 의해 윤활되는 기계장치에 윤활불량 또는 기계적 망실을 가져올 수 있다.
상용성(Compatibility) • 오일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다른 물질과 혼합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 사용윤활유는 고무재질의 씰 및 호스와 상용성이 있어야 한다. • 그외 플라스틱, 접착제 혹은 페인트와의 상용성도 매우 중요하다. • 일부 합성유의 경우 금속표면을 공격하기도 한다.
왜 사용유 분석을 하는가? 오일의 상태를 분석 더 사용할 수 있는가 판단 문제발생시 해결책을 찾고자
사용유 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 설비 유지 비용 감소 • 설비 가동 비율 증가 • 설비 안전도 증가 • Oil Drain 간격 연장 • 장비수명 연장 비용절감
사용유 분석 장비 상태 파악 금속분 함량 체크 윤활유 상태 파악 물리적/화학적 체크 사용유 분석의 구성
------ ------ 사용유 분석 동점도 TBN/TAN 수분 인화점 불용해분 금속분 함량
점도 (Viscosity) • 윤활유의 가장 중요한 • 특성으로 사용유 분석의 기본 • 점도의 증가/감소 확인으로 • 판단
점도 (Viscosity) • 자동차용 윤활유 • 40℃ : 신유대비 +/- 20% • 산업용 윤활유 • 40℃ : 신유대비 +/- 10%
Viscosity Time 점도 증가의 원인 및 영향 영 향 • 유동 저항성 증가 • 열 분산력 감소 • 저온 유동성 감소 점도증가 산 화 불용해분 증가 수분 함량 이종오일 혼입 부적절한 오일 사용
Viscosity Time 점도 저하의 원인 및 영향(점도 증가보다 위험성이 큼) • 영향 • 윤활막 감소 • 마모율 증대 • 씰링기능 감소 낮은 점도 이종 오일 혼입 연료유 혼입 첨가제 고갈 부적절한 오일사용
------ ------ 수 분(Water Content) 영 향 접촉면의 오일을 제거 => 마모 & 손상 녹발생 => 산화촉진 불순물이나 열화생성물과 결합 => 슬러지 생성 => 산화촉진
------ ------ 수 분(Water Content) • 관리 선박용 윤활유 => 0.2~0.5 wt% 이하 산업용 윤활유 유압유, 터빈유, 냉동기유 : 0.2 wt% 이하 기어유, 습동면유 : 1.0 wt% 이하
------ ------ 수 분(Water Content) • Crackle Test란? 오일 속에 수분이 혼입되어 있는지 알아 보는 간이 시험법 Positive : 수분 혼입으로 판단 => 정밀 테스트 Negative : 수분 혼입이 없슴
Acid TAN Acid 전산가 (Total Acid Number) 윤활유내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성분의 양 정제도가 잘 된 윤활유에는 유기산이나 무기산이 없다.
Acid TAN Acid 전산가 (Total Acid Number) 관리치유압유,기어유, : 1.3 mg/KOH 이하터빈유 : 0.3 mg/KOH 이하 전산가 운전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