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 likes | 1.97k Views
연속적 기능유도의 개념과 그 적용. 중심교합위 (centric occlusal position). 중심교합위 (COP) 란 ?. 이상적인 경우 악관절의 중심위가 최대 교두감합과 일치하는데 이때를 중심교합위라 한다 . 악관절의 중심위 : 악관절이 생리학적으로 후방으로 한계를 이루고 있는 위치 과두는 관절원판의 구조 안에 위치하고 있고 모든 조직들이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로서 모든 진단 및 치료 수단의 치료 전 기준 위치 (reference position=RP) 역할을 한다. 중심교합위. 중심위.
E N D
중심교합위(COP)란? • 이상적인 경우 악관절의 중심위가 최대 교두감합과 일치하는데 이때를 중심교합위라 한다. • 악관절의 중심위:악관절이 생리학적으로 후방으로 한계를 이루고 있는 위치 • 과두는 관절원판의 구조 안에 위치하고 있고 모든 조직들이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로서 모든 진단 및 치료 수단의 치료 전 기준 위치(reference position=RP) 역할을 한다.
중심교합위 중심위
Centric occlusion(영어권) • 습관적 교두감합(habitual intercuspidation) • 중심위와 최대 교두 감합위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 경우. • 악관절 기준으로 수복하는 경우(CR)에는 치아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차단한 상태에서 악간관계를 설정해야 한다.
악관절 기준의 악간관계 설정 • 중심위 • 근육과 인대가 이완된 상태에서 과두가 가장 높으면서 후방위치 • 옆으로 밀려나지 않은 위치에 존재 • 시술자의 통제 아래 스스로 그 위치를 찾을 수 있어야 함 • 환자가 편안하게 느껴야 한다.
악관절 기준의 악간관계 설정 • 상악 모형을 두개골에 상응하게 장착하기위해 • 주요 기준면을 안와 평면축(axis-orbital-plane, AOP) 으로 한다.
좌측 안와변연의 최하단점과, 생리학적인 후방한계위치를 위하고있는(CR) 하악의 접번축의 좌우측 중점에 의해서 결정된다.
안와평면축을 교합기로 옮기기 위한 두가지 방법 • 1. 평균값에 의거하여 옮김(임의형) • 2. 운동축점(kinematic axis point) 을 규정해서 정확히 옮김
1.임의형 안궁 이전 • 평균값의 원칙에 의거해서 만들어진 상악 안궁을 교합기로 이전
2. 접번축의 정확한 설정 • 환자가 개구운동을 하면 B, C 등의 점들은 모두 I 에서 II로 움직이지만 오직 축점(A)만은 제자리에서 회전을 한다. 이러한 원칙을 접번축을 설정하는데 이용
방법 • 1.접번축 locator 를 하악에 견고히 부착 • 2.이 lacator 에 부착된 과두를 향한 침이 개폐운동시 한자리에서 회전할때까지 핀을 조정한다.
3. 그 다음 중심위에서 양쪽의 시작점을 피부 위에 표시 • 4. 제 3 의 기준점(좌측 안와 하방) 역시 피부 위에 표시한다.
5. 안궁을 사용하여 상악 모형을 교합기로 이전 • 6. SAM 교합기의 절치유도판은 안와평면축상에 위치하고 교합기의 접번축은 하악의 접번축에 해당한다. • 7. 하악 모형을 CENTRIC RECORD 를 이용하여 교합기에 장착
전방운동 • 정의 • 과두가 좌우 대칭인 상태로 동시에 ,균일하게 전방 및 하방으로 진행하는 활주운동 • 전방 활주 유도는 상악 전치의 변연융선상에 존재한다.
상악 중,측절치의 설측 활주유도 s 는 편평한 유도인 s1과 급경사의 유도인 s2 의 두 선으로 나뉜다. • 대부분 s2 가 치아 장축과 거의 평행으로 진행한다. • S2 가 매우 가파르게 서있는 경우 전치에 손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전방운동 방향으로의 활주 유도(상악 전치의 설측면) 는 악관절을 통해 경사도를 맞추어야 한다. • 필요한 만큼 경사지면서도(구치가 명확히 이개되게끔) 가능한 편평하게 하는 것이 좋다. • 이를 위한 교합기의 요구조건 •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 • 만곡의 형태로 과두를 전방으로 유도가능 • 치아에서 얻고자 하는 활주유도를 교합기의 절치유도판을 통해 조절 가능할 것
수평과로의 경사(horizontal condyle path inclination, HCPI) • 수평과로경사는 과로(CP) 가 안와평면축(AOP) 의 기준면과 형성하는 각도 • 이를 위한 교합기 과두 BOX 요구사항 • 시상측 활주로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해야함 • 활주로의 구부러짐이 다양해야함 • 최소한 내측방 운동의 방향과 굴곡이 다양해서 Bennett movement 를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 절치 유도판은 치아 움직임의 경사와 방향을 재현해 잴 수 있어야 한다.
전방유도조절 후방유도 조절
외측방(laterotrusion) 과 내측방(mediotrusion) 운동 • 내측방운동-과두가 전방,내방,하방으로 움직임 • 외측방운동-과두가 외측으로 움직임 • 외측방운동시 유도의 종류 • 1. 절치-견치 유도 • 2. 군기능
절치-견치 유도 전방운동시 상악 절치부와 견치부, 하악 절치부와 견치부 제 1 소구치가 운동을 하고다른 치아들은 즉시 교합이개 된다. 외측방운동시 견치만 유도
연속적 기능 유도(sequential function) • Slavicek • 안와평면축 을 기준으로 상악 구치의 기능적인 형태 연구 • AOP 를 기준으로 기능적 할선을 도해적으로 나타낸 것을 보면 절치- 견치 군이 측절치에 비해 월등히 유도각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측방운동과 내측방운동에 관한 요약 • 측방운동의 유도 요소와 관련하여 유치악 환자에서의 세가지 개념 • 1)P.K thomas 에 따른 견치 유도 • 2)군유도 • Slaavicek 에 따른 견치 우세를 동반한 연속적 유도 • 모든 개념의 특징은 내측방운동측에서는 아무런 유도와 접촉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목표 • 악관절의 움직임과 전치의 움직임이 잘 어울리는 전방운동 유도. 이 전방유도 덕택에 구치 이개가 충돌할 위험 없이 최소로 이개된다. • 전제조건 • 환자의 내측방으로의 악관절 운동 파악 • 교합기에서 이 운동을 설정가능해야함 • 교두와 진출로의 위치를 기하학적으로 올바르게 설정
1. 삭제되지 않은 치형에 하악의 대구치,소구치의 교두정, 견치와 하악전치의 절단면을 표시한다. 나중에 교두정이 오게 될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 이 점들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삭제된 치형에 추가로 그려 넣는다.
2. 이렇게 그러진 active centric line(하악) 은 이상적인 경우 passive centric line(상악 소구치 및 전치의 변연융선과 구치의 중심와를 연결하는 선) 과 일치한다.
3. 심미적-기능적인 선(상악 전치 절단연,견치의 교두정, 구치들의 비기능 교두정 을 연결하는 선) 과 passive centric 선 사이에 전방운동과 측방운동에서의 기능적 활주 유도가 위치한다. • 상악의 기능교두는하악의 변연 융선 부위와 와에 자리한다.
4. 삭제한 치형위에 왁스로 cone 을 만들어 active centric line 을 만든다. • 5.하악의 기능교두가 상악과 만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상악에 만든다. • 하악 소구치의 협측교두와 제 1 대구치의 근심 협측 교두를 맞은편 치아의 인접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 제 1 대구치의 원심협측교두는 상악 제 1 대구치의 중심와를 향한다.
6. 교합면 측정판을 이용하여 #46 치아의 원심 협측 교두의 높이를 구성한다. • 나머지 교두들은 이 면과 닿지 않는다. • 제 1 대구치의 근심협측 교두와 견치의 교두정-약0.5mm • 소구치들 –약 1.0mm 정도
7. 하악 기능교두들을 완성한 후 이들과 만나는 상악 변연 융선을 교합점에 따라 wax-up 한다. • 남은 교두들의 올바른 위치와 길이 및 유도와 fissure 의 방향들은 하악운동을 하면서 만들어 나가야 한다.
측방 활주운동을 위한wax-up • 활주 유도의 경사도는 전치를 통해 후방 악관절 유도와 전방 유도에 맞춘다. • 조절가능한 절치 유도판을 사용해 기울기를 구성한다. • 수평과로경사(HCPI) 의 각도와 bennet 각도에 따라 소형 컴퓨터나 표를 사용해서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아유도를 찾아내서 절치 유도판을 조절하기 위한 수치로 기록
이 조절수치를 이용해 환자에게 적합한 연속적 기능유도를 wax-up 하는데 후방치아에서 전방부로 갈수록 유도는 점점 더 경사가 심해진다. 근심쪽에 있는 치아가 그 뒤에 있는 치아를 외측방 운동과 내측방운동상에서 보호한다. 결국 절치-견치군이 주된 유도를 맡게 된다.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경사가 심해지는 연속적 기능유도
내측방운동측의 교합 이개는 전방운동 유도로의 경사도와 이 유도로의 길이에의해 결정되는데 측방으로 이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활주유도의 길이를 측정한다.
상악과 하악의 기능교두들이 내측방운동 방향으로 서로 닿지 않으면서 엇비껴 지나가기 위한 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내측방운동 유도, 즉 Bennett 장치의 조절과 굴곡이다. • 활주유도의 최종점 (F2)을 찾아내기 위해 이 유도궤도의 길이에 맞게 내측방운동측의 과두 BOX 에 전방운동장치를 끼워 넣는다. • 절치 유도판은 운동측으로 회전시키고 절치유도핀이 유도판의 경사면에 위치하게 한다.
측방으로 위치된 하악 기능교두의 위치를 파랑색 작은 CONE 으로 상악 치아 위에 표시해 둔다. • 이 편심위치에서 상악 제 1 대구치의 비기능 교두도 설정한다.
하악이 측방운동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연융선에 오는 교합점과 파랑색 교두정(F2) 사이에 하악 제 1 대구치의 유도로를 WAX-UP 한다.
마찬가지로 측방운동시에 내측방운동측의 기능교두들의 길이와 위치를 점검한다. 이때 접촉이 일어나면 기능교두의 위치를 교정해야 한다.
#27 치아의 내측방운동측과 #16 치아의 측방운동측, 하악 제 1 대구치의 측방운동 부분이 완성되고 나면 교합기를 다시 조절한다. • 절치유도판을 반대로 회전시키고 #26 치아의 경사도에 맞춰 조절한다.
반대측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측방운동시 걸리는 부분이 없게끔 WAX-UP 을 마무리 짓는다. • 교합기를 #15 치아의 유도에 맞게 조절한다. • 절치판의 기울기를 경사가 상당히 심한 #15 치아의 유도에 맞추고 전방유도장치를 좌측 과두 Box 에 장착하고 제 2 소구치의 F2 점을 하악 제 2 소구치의 기능교두와 접촉하도록 만든다. • 이제 원심측으로 상당히 큰 규모로 교합이개 되는 것을 뚜렷이 볼 수 있다.
#15 치아의 전방운동 부분과 맞은 편에 위치한 #26 치아의 내측방운동 부분을 완전히 형성한다.제 2 소구치의 전방운동로로 인해 #26 치아의 내측방운동로에 방해되는 것이 없는지 점검(freedom in eccentric)